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orest Writer Dec 18. 2022

물타기 하다가 대주주가 되지 않으려면

물타기에도 원칙이 필요하다


주식시장에서 대부분의 개인투자자(개미)는 왜 잃기만 하는가에 대한 궁금증, 그리고 그에 대한 원인 분석은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을 해봐도 쉽게 알 수 있다. 가장 큰 3가지 이유.



1. 인내심이 없고 조급하다.

2. 분위기에 쉽게 휩쓸린다.

3. 자산분배를 하지 못한다.



그중에 가장 큰 요인은 역시 자산분배를 못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건 1,2번의 결과로 나타난다고도 볼 수 있다) 흔히 말해 한 종목에 '몰빵'을 하는 것.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이 무색할 정도로 많은 개인투자자들은 상남자답게 야수의 심장으로 몰빵으로 전재산을 집어넣고... 대부분 물려있다.


이런 태도의 결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손절이냐? 아니면 원금회복까지 기다리냐? 수익이 난다는 선택지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다. (마음이 뜨끔하신 분들이 많으리라)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 중에 가장 이해가 안 되는 부류가 있다. 아무리 눈을 씻고 열린 마음으로 보려고 해도 쉽지 않은 유형. 바로 한 종목에서 수천만원씩 손해를 보는 사람들이다. (혼자 부동산하니?)


뉴스나 인터넷 게시판, 커뮤니티 등등에서 흔히 나오는 사례가 있다. 


-OO종목 물렸어요... 마이너스 천만원.

-쏘나타 한대 날렸네요. (약 3천만원 손해)

-저는 제네시스요. (약 5천만원 손해)



사실 주식이란 게 기업의 근본 내재가치에 기반한 가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장이 된 지 일정 시간이 지난 기업의 가격은 대체로 정해져 있다. 특히나 요즘엔 이러한 기업들의 묶음, ETF 거래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가격 변동성이 크지 않다.


즉, 몇 개월 정도의 시간 흐름에선 많아야 플러스 마이너스 10~20% 정도 선에서 가격이 변화하는 종목이 대부분인데, 몇천만원을 잃었다는 건...


도대체 투입 금액이 얼마였단 소리야?



가볍게 추론을 해보자. 한 종목에서 쏘나타 한 대 잃은 사람 (마이너스 3천만원) 의 수익률이 -30% 라고 하면 초기투자금은 1억원이 되고, -50% 라면 초기투자금은 6천만원이 된다.


말 그대로 한 종목에 거의 1~2년 연봉을 들이부은 셈이다. 이건 투자가 아니다. 도박이다.






사실 한 종목에 수천만원을 넣은 사람이 처음부터 한꺼번에 그만한 금액을 전부 넣지는 않았을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그 사람은 다시는 주식에 얼씬도 하면 안 되는 사람이다)


나름 분할 매수를 한다고 처음엔 조금씩 넣어보다가, 떨어지면 조금 더 넣고, 또 밀리면 더 넣고... 등등 이런 식으로 평단가를 낮춰가면서 때를 기다렸을 텐데... 문제가 '때'가 너무 오지 않는다는 것. 도무지 오를 생각이 없어 보이는 주식을 손절하고 포기할까 매일 고민을 할 것이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까? 바로 '원칙'을 세우지 않아서 그렇다. 포트폴리오를 짤 때, 자신의 여유자산 중에서 주식엔 몇 퍼센트, 채권엔 몇 퍼센트, 펀드엔 몇 퍼센트, 다른 곳엔 몇 퍼센트... 등등 이런 식으로 비율을 정해놓고 계획대로 움직여야 하는데, 단순히 종목의 수익률을 위한 평단가를 낮추겠다는 일념에만 사로잡혀서 정작 가장 중요한 분산투자를 전혀 하지 못한 것이다.



투자를 할 때는 전체 여유자금 중에서 주식 비중, 그리고 그 안에서 개별 종목의 최대 비중을 처음부터 세우고 들어가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면 사람 마음이라는 게 '평단가'를 낮추는데만 온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매일매일의 수익률이 현재의 '거래가'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밀렸네? 더 사야지, 아싸! 평단가 낮아졌어, 손실률 낮아졌어", 이렇게 자기 위안만 하게 되는 것이다. 분명한 건, 물타기를 하면 손실률은 낮아지더라도 계속 밀리는 상황에선 전체 손실액이 더 커지게 된다는 점이다. (투입금액이 커졌으니 당연한 일이다) 우리에게 중요한 건 수익금(손실금)이지 수익률(손실률)이 아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넣은 상태에서 -20%는 20만원 손실이지만, 천만원을 넣은 상태에서 -10%는 100만원 손실이다. 수익률 퍼센트는 그저 비율일 뿐이다. 가장 중요한 건 수익 금액 그 자체이다.


그러면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다. "천만원에 +10% 하면 100만원 버는 건데, 만약 100만원만 넣으면 +20% 라도 20만원밖에 못 버는 거 아닙니까?"


물론 종목 하나에 대해서는 그렇게 된다. 하지만 천만원을 100만원씩 10군데로 나눈다면 어떨까? 물론 10개가 다 오르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5개 오르는 수익을 먹고, 나머지 5개를 기다리는 동안, 앞서 먹은 5개의 이익으로 다른 곳에 재투자를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처음에 밀렸던(잊고 있었던) 5개도 언젠가는 올라온다. 누구나 다 아는 분산투자의 기본 원칙이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은 너무 유명해서 따로 설명을 할 필요조차 없다. 자산배분은 모든 투자의 시작이자 끝이다. 하지만 요즘은 한 종목 몰빵을 넘어서서, 아예 레버리지 상품까지 수두룩하게 나오고, 투자자들을 매일 유혹한다. "여기 들어오세요, 큰돈을 벌 수 있어요", 라고 하면서.


분명한 건 레버리지 투자는 계란을 한 바구니 정도가 아니라 한 손바닥 위에 올려두는 것과 다름이 없다. 분산투자의 완전한 '반대'의 개념이며, 조금만 바람이 불어도 모든 계란이 한꺼번에 쉽게 부서질 수 있다. 한 번뿐인 인생을 이런 운에 맡기는 건, 자신에게 너무나 가혹한 행위가 아닐까.



최근 1년 동안의 코스피 추이. 밀릴 때마다 산다면 사야 하는 날이 너무 많다. 물타기도 참을 땐 참아야 한다. (출처: 다음금융)



워렌 버핏이 말하는 주식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 두 가지가 있다.


1. 절대 돈을 잃지 말라.
2. 첫번째 원칙을 항상 잊지 말라.

-워렌 버핏


이것을 실행하기 위해선 당연히 분산투자, 자산배분이 필수적이다. 물타기에 한계선을 그려두는 원칙, 그것이 잃지 않는 방법이다.


돈을 잃지 않으면 돈을 번다. 간단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진짜 '좋은 정보'는 당신에게 오지 않아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