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영희 May 31. 2023

공자에게 얼마를 지불했을까?

주주금석 논어생각 64

술이 07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른 포 한 묶음 이상을 예물로 바친 자에게는 내 일찍이 가르쳐주지 않은 적이 없다.”     


  ▷ 주주

포 열 마리가 한 속이다. 예전에는 서로 볼 때에 반드시 선물을 바쳐 예를 갖췄는데, 마른 포 열 마리는 매우 적은 것이다. 사람이 날 때는 똑같이 이치를 갖췄기 때문에 성인은 사람들이 선에 들어가기를 언제나 바란다. 그러나 찾아와서 배울 줄 모르는 사람에게 찾아가서 가르치시는 예는 없다. 그러므로 예를 갖추어 찾아오면 가르치지 않음이 없으셨던 것이다.     


  ▷ 금석

공자는 “포 열 마리(속수)를 예물로 바친 자로부터 그 이상의 사람에게는 나는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라고 하여 제자 가르치기를 가장 우선으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 유설

원래 뜻은 적은 학비를 내도 가르쳤다는 말이지만, 다르게 보면 공짜로는 안 가르쳤다는 말이 된다. 주주에서 말한 것처럼 찾아가서 가르치지는 않았다는 것도 곱씹어 볼만하다. 소소한 에피소드 같지만 의미심장하다.      

양명학자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에서 지식인들이 앉아서 학생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되고 찾아가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느 쪽 주장이 맞을까? 충조평판 하지 말라는 세간의 말과 연결지어 보면, 원하지 않는데 가르치는 것은 무의미하는 점에서 찾아가서까지 가르칠 필요는 더욱 없을 것 같다. 무료로 가르치지 말라는 것은 어떤가? 의학이나 기술은 한마디만 해도 돈을 받는데 인문학적 지식은 무료가 많다. 당장의 쓸모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공자의 가르침은 인문학이었을까? 기술이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공부하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