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그림이란 게 보는 이에게 던져지는 주술 같이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럴 때면 그냥 멍하니 바라만 보고 있는데도 이런저런 기억들이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것 같이 느껴진다.
박수근 화백의 그림 <굴비>(1962년, 15 x 29cm)를 보다가 ‘그 참, 짭쪼름하니 맛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 언젠가 장날인가에, 저 쿰쿰한 굴비 한 마리가 밥상 위에 올라온 적이 있었던 것 같다. 철없었기에 티도 없었던 그 시절, 고향집의 평상 마루에 퍼질러 앉아, 제 뺨만 한 커다란 숟가락으로 푹푹 큼지막하게 퍼먹던, 낱알 갱이 풀풀 날리던 보리밥 한 그릇이 너무 그리워진다.
살다가 보면 유난히 배가 고픈 날이 있다. 그런 날이면 멀건 시래기 국물에 보리밥 한 그릇이 덩그러니 얹혀 있던 어린 시절의 밥상이 그리워진다.
장터 바닥에 늘어놓은 염장된 생선 눈깔 같이 희멀겋게 바랜 알루미늄 밥상은, 여기저기 쭈그러지고 까져서 성한 구석이라곤 어느 한 곳도 찾아볼 수 없었던 것 같다.
언제부터 그 밥상에 앉아 밥을 먹게 되었는지 이제 와서 애써 기억을 더듬을 필요는 없겠지만, 이웃집 쭈그렁 할머니 같은 모습으로 부엌 찬장 아래 어두컴컴한 구석 바닥에 늘 놓여 있었다.
누군가의 손에 들려 방 안으로 들어올 때면 세월만큼이나 북북 긁히고 손잡이 끝 부분이 살짝 굽어 있는 거친 숟가락 하나가 나뭇가지보다 더 빳빳한 젓가락 한 쌍과 함께 마치 풀을 이겨 붙인 듯 그 위에 놓여있었다.
종일 뛰어놀던 들판에서 누런 흙먼지 뒤집어쓴 채 끼니 찾아 집으로 기어든 까까머리 어린 사내놈은, 양지바른 뒷산 자락, 기억에도 없는 제 할미의 봉분처럼 수북하게 담긴 보리밥을, 양재기에 담긴 멀건 시래깃국에 쓱쓱 말아 후루룩 쩝쩝 커다란 소리 호기롭게 내며 사내답게, 나름에는 멋있는 포즈로 뚝딱 해치웠다. 그 시절에 뛰어놀던 사내놈이라면, 아무리 어리다고 해도 ‘사내답게 먹는다’는 것이 뭔지 정도는 익히 알고 있었던 것 같다.
반찬이란 건 딱히 기억에 담겨있지 않다. 있다고 해본들 신김치 조각이나 짠지 몇 조각뿐이었을 테니, 이빨 빠진 사기그릇에 담긴 그것들은 어차피 어린 사내놈의 설핏한 눈길조차 받질 못했을 것이다.
애초 없던 뿌리란 걸 이제 와서 찾으려는 건 아니지만 기억의 한편으로 밀어 두었던 소싯적의 기억은, 분위기란 게 괜히 눅눅해질 때면, 숨어 지내던 사내 어른의 본능처럼 불쑥 고개를 내민다.
아무리 퍼먹어도 배가 금방 꺼져버리던 그 시절의 보리밥 때문인 겐지, 나이 든 사내의 허기는 뱃속이 고픈 겐지 마음이 고픈 겐지 도무지 구분하기 어렵다.
누구에게나 부분 망각의 검은 휘장 뒤에 가려둔 한 때가 있기 마련이다. 푹푹 삭아 기억하지 말라는 것은 애써 찾지 않는 게 좋을 수도 있다. 배고플 땐 적당히 배를 채우고, 여행이 고플 땐 배낭을 둘러메고 어디든 나서면 될 뿐이다.
하지만 어찌 인간의 감정이 하나의 물길처럼 흐를 수 있겠는가. 어차피 채우지 못할 것을 알지만 가슴이 들어 올린 숟가락은 그 밥상의 기억을 내려놓질 못하고 있다.
어쩌지,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이 허기가 그 어린 사내놈의 사내다운 숟가락질이 그리워지게 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