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notitl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엉 Apr 18. 2017

립스틱 예찬

 남자들은 코랄 핑크와 핑크 코랄의 차이를 모른다고 한다. 여자들에게 같은 질문을 하자 탄식이 흘러나온다.


"남자들은 코랄 핑크와 핑크 코랄의 차이를 모른대."

"와. 어떻게 그럴 수 있지? 엄연히 다른 색이잖아. 눈으로 안 봐서 그런 거 아냐?"

"봐도 모른대."

"이건 정말 심각하다."

"그럼 너는? 보면 알 수 있어?"

"당연하지. 그것도 모르면서 화장한다고 말하면 안 되지. 코랄 핑크는 핑크에 코랄이 조금 섞인 거고 핑크 코랄은 코랄에 핑크가 섞인 거야."

"어떤 색이 메인이냐가 중요하다는 거지?"

"너도 다 아는 얘기잖아. 우리 중에서 립스틱 제일 좋아하면서."


립스틱은 작은 색소 한 방울로도 전혀 다른 색이 되곤 한다. 자신을 잘 바꾸는 사람에게는 카멜레온보다 립스틱 같다는 말이 더 잘 어울린다. 언제 보아도 잘 모르는 사람이 되고 싶다. 코랄 핑크 같다가도, 핑크 코랄같은 사람. 그 미세한 차이가 특별함을 불러온다고 믿는다.


"넌 근데 화장도 잘 안 하면서 립스틱은 왜 자꾸 사는 거야?"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하잖아."

"이상해. 립스틱은 예쁘게 바르려고 사는 거지."

"이름도 재밌고."

"이름? 립스틱 이름?"

"응. 재밌지 않아? 그리고 립스틱은 피부색마다, 입술 온도마다 발색이 다른 거 알아? 종이에 문지르면 또 느낌이 다르다? 돈 많으면 립스틱으로 그림 그려 보고 싶다."

"그냥 변태 같은데?"


 건조하고 텁텁한 입술 위에 화려하거나 밋밋한 색이 덧입혀질 때 쾌감을 느낀다. 입술선 사이로 번져나가 뿌연 얼룩을 만들어 내는 것도, 시간이 지나 아슬아슬하게 옅은 흔적만 남긴 것도 사랑스럽다. 나 또한 누군가에게 그런 매력적인 자국을 내고 싶다. 무슨 자국인지 모르지만, 흔적이 분명한.



매거진의 이전글 유치진지한 여행기 - 오사카&교토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