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은 프랑스 화가이다. 세잔의 미술 양식은 대담한 색채와 원근법 파괴, 기하학적인 형태와 명암의 교차로 독특한 구성이 특징이다.
특히, 형태의 단순화라는 세잔의 시도는 현대회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 영향으로 후에 피카소와 브라크 등 입체파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고, 원근법 파괴를 통해 자유로운 공간 구성을 창출해 낼 수 있었던 것이 세잔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상 유명한 사과가 셋 있는데 첫째가 이브의 사과이고, 둘째가 뉴턴의 사과이며, 셋째가 세잔의 사과이다. 평범한 화가의 사과는 먹고 싶지만 세잔의 사과는 마음에 말을 건넨다"
_모리스 드니
<사과가 있는 정물> 작품을 보면 단지 윗부분과 단지의 측면은 다른 시점을 보인다. 윗부분은 높은 시점,
측면의 정면 시점이다. 전통적인 원근법을 따르지 않고 대상마다 다른 시점을 사용하였다.
세잔은 인물을 그릴 때도 개성이나 감정에 관심을 두지 않고 구성을 위한 기초로서 사과와 다름없이 묘사하여
'공간 속의 대상'으로 표현했던 것이다.
<생트 빅투아르산> 작품 역시 표현된 산의 크기가 실제보다 두배 이상 크다. 세잔에게 거리의 개념은 외형적으로 보이는 물질적 거리의 개념이 아니라 심리적인 거리이다.
그림에 환영을 부여하지 않고 2차원이라는 평면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방법들이 이후 입체파나 표현주의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림을 배우다 보면 원근법과 투시, 비율 등을 생각하며 그리게 된다. 그림을 그릴수록 이런 것들에 신경을 쓰다 보면 정작 그림에는 자신의 생각과 의미 등이 상실되고 스토리와 감동이 없는 그냥 '잘 그린 그림'으로만 보게 된다.
그래서 더욱더 세잔의 작품들이 마음속 깊이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즉, 그림은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과 철학은 서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많은 철학자들이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철학자들에게 그림은 단순히 보는 대상이 아닌 사상의 바탕을 더하였다.
그중 세잔 하면 떠오르는 철학자는 모리스 메를로 퐁티이다.
모리스 메를로 퐁티는 체화된 경험으로서의 인간 의식의 본성에 관심을 가진 프랑스 철학자다.
그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을 알아야 한다. 단어에서 암시하듯이 현상학(phenomenology)은 감각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각되는 현상 (보여주다)을 탐구한다. 즉, 세계에 대한 지식은 '체험'에서 시작된다.
특히, 그의 논문 [세잔의 회의]는 세잔의 회화를 현상학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메를로 퐁티가 바라본 세잔의 작품은 미적 독특함에 끌렸기 때문이다. 세잔의 그림에는 묘사 차원을 넘어 현상학적인 시각이 암시되어 있는 것으로 본 것이다.
세잔은 "시시각각 변하는 것들을 어떻게 하나의 구조적인 통합을 이뤄낼 수 있는가?"를 고민하고, 눈으로 지각되는 것은 혼란스럽고 산만하다는 생각을 한 것이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은 서로 얽혀 있다.
화가는 세계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드러냄으로써 가시적인 것 안에 비가시적인 것이 있음을 우리에게 알려주고자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