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태이 May 03. 2018

1-8. 라이거와 노새의 슬픔

안티-진화론자들을 위해 다윈이 마련한 선물 2

넷째 예상 반문은, 종간 교배는 왜 불임을 낳는가 하는 것이다. 현존하는 모든 생명체가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거라면 왜 그들 사이에는 생식이 불가능한가 말이다. 호랑이와 사자는 같은 고양이과이며 비교적 최근에 갈라진 종이다. 비록 호랑이와 사자가 교배하여 새끼를 낳을 수는 있지만 그렇게 태어난 라이거는 생식 불능이다. 왜 그럴까.


여기에 다윈은 확실하게 답하지 못한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다윈은 처음부터 종을 명확하게 정의조차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종의 기원』 초반에, 종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순 없지만 말하지 않아도 모두가 안다는 식으로 넘어가 버린다. 그래서 그의 인식 속에 종과 변종, 아종 사이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각 개념이 혼재한다. 그 때문인지 종과 변종을 같은 층위로 설명하기도 한다.


적어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창조론자의 답변이 더욱 명쾌하다. 종은 애초부터 하나님이 따로 창조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교배는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창조론에 따른 설명은 다윈이 그동안 관찰하고 연구하고 추론한 그 외의 수많은 부분에서 납득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다윈은 스스로도 위의 반문을 예상했음에도 자신의 생각을 양보하지 않았다. 다만 다윈은 이런 정도로 느슨하게 답했다. 종은 변종에서 유래한다고. 변종인 상태에서는 생식 가능하지만 변종이 오랜 세월 축적되어 완전히 다른 종으로 분화될 정도로 형질의 차이가 커지면 더 이상 교배할 수 없다고 말이다.


여기서 진화론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또 한 가지 개념이 있다. ‘이소적 종분화’다. 다윈은 그것을 비글호 항해를 통해 확신했다. 앞서 말한 핀치새 이야기다. 똑같은 핀치새임에도 그들의 부리 모양이 다른 이유는 각 섬의 생태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논리로 똑같은 개를 각 섬에 서식하게 하고 몇 만 년 후 자손을 살펴보면 그것들은 각기 다른 종으로 분화되어 있을 거라고 추론 가능하다.


후대 생물학자들은 지리학과 유전학을 통해 다윈의 추론이 사실임을 밝혀냈다. 현재는 떨어져 있는 아프리카·남미·호주·뉴질랜드 땅은 1억 년 전에는 하나의 대륙이었다. 지금의 남극 대륙에 붙어 있었던 것이다. 8200만 년 전에 뉴질랜드가 가장 먼저 이탈했고, 6900만 년 전에 남미와 호주가 함께 떨어져 나갔다가 6500만-5500만 년 전에 호주가 분리되었다.


아프리카 남미 뉴질랜드 호주에는 각각 타조 레아 키위 화식조가 서식한다. 재밌는 것은 그들이 실은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종이라는 점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그들의 게놈 분석 결과 유전자의 차이가 대륙의 분리 순서와 유사하다는 것. 사람들이 겉으로 보기에도 넷 중에 키위가 가장 이질적이고, 타조와 레아와 화식조는 비슷해 보인다. 특히 타조와 레아는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닮았다. 그러한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발견하면서 결국 다윈의 의견이 학계에 두루 받아들여진 것이다.


다섯째 반론은, 이주하기 어려운 다른 지역에 비슷한 생물종이 분포하는 건 왜일까, 하는 점이다. 이 질문을 다시 쪼개면, 1) 똑같은 종이 멀리 떨어진 산악지방에 서식하는 이유 2) 민물 생물이 여러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이유 3) 바다로 가로막힌 섬과 대륙에 같은 종이 존재하는 이유로 구분해서 볼 수 있겠다.


다행히(?) 다윈은 빙하기와 대륙이동에 대해 알고 있었다. 물론 왜 빙하기가 오는지, 무엇이 대륙을 이동시키고 지리를 변화시키는지는 몰랐으나 ‘오랜 시간’이라는 인식과 그에 따른 변화에 대해 다윈은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다. 1)에 대한 답변으로 다윈은 우선 빙하기를 언급한다. 추운 지방에 사는 생물종이 빙하기가 오면 저위도로 서식지를 넓히게 되고 저위도에 있는 산악지대까지 올라가 살게 된다. 그러다 다시 빙하기가 끝나면 저위도에 살던 개체들은 고위도로 다시 올라가지만 산악지방에 살던 개체들은 고도의 영향으로 여전히 기온이 낮기 때문에 계속해서 저위도의 고지대에 남게 된다. 이것이 고위도에 사는 생물종을 저위도의 산간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이유라고 다윈은 설명한다.


1)과 3)에 대한 공통된 답변으로 다윈은 대륙이동을 언급한다. 처음에는 이동할 수 있는 연결된 지역이 지리적 변화로 인해 가로막히거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고, 아예 멀리 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아프리카와 남미도 동일한 사례다.


2)에 대한 답으로 다윈이 제시한 것은 태풍이나 회오리, 홍수, 지리적 변화, 철새 등이다. 태풍이나 회오리에 의해 민물생물의 알이 타 지역으로 날아갈 수도 있고, 홍수로 하천이 범람하여 민물 생물 또는 그 알이 이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혹은 원래 연결된 하천이었는데 퇴적과 침식 등의 작용으로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도 다반사다. 철새의 발이나 깃털에 알이 묻어 그 철새와 함께 몇 천 킬로미터를 이동할 수도 있고 철새의 배설물이나 구토물에 섞여 전혀 다른 지역에서 삶을 이어갈 수도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1-7. 본능도 자연의 산물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