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zik Jan 08. 2020

라벨과 스트라빈스키, 그 재해석에 관해서 2.

안성수 감독님의 <봄의 제전>


라벨과 스트라빈스키, 그 재해석에 관해서   



“현대 무용이 이렇게 멋있구나.” 누군가가 공연장을 나오면서 했던 말이 공감이 갔다. 그동안 무용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드물었기에 무용 예술에 낯설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수업을 통해 현대 무용이 무엇일까에 대해 관심이 생기게 되었고 하나의 좋은 기회가 찾아왔다. ‘라벨과 스트라빈스키’, 학교 수업을 통해 단체로 관람하였지만 공연이 내게 준 여운은 굉장하였다. 내용을 이해함을 떠나서 공연을 보고 느꼈던 감정은 나 역시 ‘멋있다‘라는 점이다. 지금 이렇게 글을 쓰면서 그때의 감정을 정리해보았다. 내가 왜 그런 감정을 느꼈는지, 그리고 왜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는지.

수 감독님이 했던 말이 떠올랐다. 공연을 예술가의 시각에서 이해하려고 굳이 노력하지말자. 대신에 공연을 보면서 느꼈던 직접적인 감정 그것을 더 중요시 여기라.’ 각자 이해하는 방식이 모두 같지는 않지만 이에 대해 옳고 그름은 없을테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다른 예술작품을 보는 방식대로 이번 공연을 관람하였다. 즉, 나만의 방식대로 공연을 이해해보려고 했다.   



 안수 감독님의 <봄의 제전>   




이 작품은 이전에 오픈 리허설을 통해서 무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상태였다. 당시 무용의 일부분을 볼 수 있었는데 그때 느꼈던 감정은 굉장히 화려하다는 느낌이 강했다. 그러나 공연장에서는 전혀 새로운 공연을 보는 느낌을 들었다. 오히려 쉽게 이해할 줄 알았지만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훨씬 더 어려움을 느꼈다. 그래서인지 오픈 리허설 때 느꼈던 감흥이 전달되지는 않았다. 같은 무용을 보았는데 느낌이 달라진 이유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해 보았다.  


지나치게 아름다웠다  


공연은 정말로 화려한 구성과 다채로운 안무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동작들이 체력적으로나 실력적으로나 가능할지 공연을 보면서도 의문이 들 정도로 공연은 아름다웠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의 범위가 너무 지나쳤다. 무용을 보고나서 당시 느꼈던 감정들은 풍부하였지만 시간이 지나 다시금 생각해보았을 때 떠오르는 생각이 없었다. 본 작과 비교했을 때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바뀌었다는 점 말고는 별다른 의미를 찾기가 어려웠다. 이 또한 기존의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발견할 수 있던 장면이었다. 달리 말하면 공연은 너무 화려함에 치우쳐서 생각할 거리를 남겨두지 않았다는 점이다. 참으로 신기한 일이었다. 화려해서 멋진 공연이었는데 기억에 남는 모습은 없다는 사실이 많은 의미를 내포하는 것 같다. 안수 감독님의 작품들은 매 공연마다 완판이 될 정도로 굉장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렇지만 이에 대해서 불안한 시선들이 있다는 점을 기사를 통해서도 느꼈었는데 공연을 보고난 뒤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작가의 이전글 라벨과 스트라빈스키, 그 재해석에 관해서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