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맑은구름 Jun 22. 2017

박열, 상영관은 강의실이 아니다

fresh review

Intro

이준익 감독이 오랫동안 준비해온 작품이라는 사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배우 이제훈의 차기작이라는 점은 나에게 <박열>을 기대하기에 충분한 이유였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본 영화는 내가 기대하고 바랬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준익 감독은 오프닝부터 욕심을 부린다. <박열>이 매우 높은 순도로 실화를 재현한다는 점, 그리고 극 중 등장하는 모든 인물이 실존 인물이라는 점을 연이어 강조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두 문장은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들의 상상력과 영화를 넓은 스펙트럼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분명히 어딘가는 픽션일 것인데 그 정도에 대한 넉넉하지 못한 가이드라인은 오히려 실화 바탕의 영화를 옭아매는 밧줄처럼 느껴진다. 또한 리듬감이 실종된 기승전결의 구조와 납득하기 어려운 인물 간의 감정선은 어디서 어떻게 감동하고 몰입해야 하는지 혼란을 일으킨다. 마지막으로 작정한 듯 연출되는 하이라이트는 과장과 실화의 어디쯤을 헤매이며 스릴감과 뜨거움을 모두 잃어버린 듯하다. 풀어놓고 싶은 이야기를 줄줄 읊어내듯 단조로운 연출은 설민석이 얼마나 뛰어난 강사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장치 이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욕심


이토록 안타까운 연출적 상황에도 필자가 높이 평가하고 싶었던 부분은 얼핏 보아도 많은 양의 노력을 요구했을 것  같은 이제훈과 최희서의 훌륭한 일본어 연기와 김인우 배우의 탁월한 연기였다. 이제훈의 경우 앞선 작품들에 비해 충분히 발전한 모습은 아니었지만 원톱 주연답게 영화의 무거운 톤 앤 매너를 어느 정도 풀어주는 모습을 선보인다. 한편 또 다른 주연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최희서는 그녀를 몰랐다면 진짜 일본인이라고 생각했을 정도로 안정감 있는 연기를 펼치며 비교적 업 템포를 유지하는 박열을 보조하는 후미코 역을 준수하게 소화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굵직굵직한 영화들에서 일본인 역할을 자주 연기해온 재일동포 김인우는 이준익 감독이 직접 인터뷰에서 또 한 명의 주연이라고 밝혔을 만큼 영화 전체의 흐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김인우


결론적으로 영화 <박열>은 배우들의 노력과 열연이 담겨있기는 하지만 영화적인 재미를 논하긴 어려운 작품이다. 물론 실존 인물이었던 박열에 대해 깊이 있게 파고든다는 점, 기억해야 할 역사를 영화로 완성해 냈다는 점은 존중할만한 부분이나, 영화는 어디까지나 영화적인 완성도 안에서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누군가에게 선뜻 <박열>을 추천해주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아무리 의미 있는 역사 공부라도 굳이 영화관에서 할 필요는 없으니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하루, 흐릿한 장점, 크고 명확한 단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