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적 수업 설계 모형
이 글은 이은상, 김현진(2020)의 연구 서론임을 밝힙니다.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실제 수업 이야기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새로운 교육 체제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OECD(2018)는 교육 2030 프로젝트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추구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교육을 통해 변혁적 역량(Transforming skills)을 함양하고 행위주체(student agency)로 성장할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량을 반영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창의․융합형 인재로서의 역량을 신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요구들은 자연스럽게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학교교육의 핵심 주체인 교사의 수업 변화가 핵심적인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사의 수업 설계는 교실 수업의 내용 및 방법을 결정하는 체계적인 계획이자 수업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학교교육의 수업을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계로 작용해왔다(Driscoll, 1989). 최근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수업의 초점이 객관적인 지식 전달 중심에서 맥락적인 지식의 구성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수업 설계는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의 관점으로 전환 혹은 확장되고 있다(Hannafin, Land, & Oliver, 1999).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에는 실제적․맥락적 요소들로 구성된 복잡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 다양한 영역의 교사들과 협력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업 설계 행위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적 프로젝트로 간주되어 왔으며(Richey, Silber, & Ely, 2008), 특히 학교 맥락에서의 교사 간의 협력은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설계에 효과적이다(구하라, 홍지인, 2018; Cha & Ham, 2012).
그러나 학교의 교사들은 오랫동안 개별적으로 일을 해왔으며 수업을 홀로 준비하고 수업 관련 문제를 독립적으로 해결해왔다. 이는 교직사회의 관료제적 특성, 개별 교과간의 엄격한 분리와 평가문화 등이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교사들은 교과 학습에 있어서 자기 영역을 구분 짓고, 다른 교사와 협의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폐쇄적인 교사문화는 수업설계의 주체를 개별 교사에게 한정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물리적 상호작용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들의 개별적인 수업 설계와 실행은 수업에서의 효과성 향상과 전문성 개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교사 개별적인 차원에서는 새로운 수업을 설계하는 것에 대한 열정을 억제하고, 기존에 개발된 자료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수업에 무비판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Handelzalts, 2009). 또한, 집단 차원에서는 교사간의 불필요한 경쟁을 유발시키고 학습 공동체 문화 형성에 방해요인이 된다. 즉, 교사들의 개별적인 수업 설계만으로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협력적 수업 설계를 강조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팀을 구성하여 협력적으로 수업설계 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다(박선미, 2006; Svihla, Reeve, Sagy, & Kali, 2015). 최근, 학습공동체를 강조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협력을 통해 수업을 설계하거나 수업을 공개하고 공동으로 수업을 실행하는 데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또한, 수업설계와 관련하여 교사 협력을 하고자 해도 협력의 방법을 잘 모른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지금까지 교사 협력에 대한 연구,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가 각각의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교사 협력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개인 및 집단 수준에서 교사 협력 정도와 그것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 및 실천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은 하나의 수업을 협력적으로 설계하는 팀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개별 교사가 처한 각자의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과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하나의 수업을 공동으로 설계하고자 하는 교사팀들이 어떻게 좋은 출발을 하고 설계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안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Handelzalts, 2009; McLaughlin & Talbert, 2006). 한편, 교사의 수업 설계와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개별 교사의 수업 설계 원리와 모형 개발, 실제 수업 설계 행위에 대한 분석(박기용, 2010, 2013; 정한호, 2009) 등이 주를 이루었다. 일부 협력적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들은 온라인상에서의 협력과 학교 밖 교사 공동체에서의 협력을(김도헌, 2008; 송연옥, 변호승, 2014)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의 현장 교사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수업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협력적 수업 설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적 수업 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해 협력적 수업 설계 과정에 필요한 전략과 내용들을 설계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은 아래의 링크와 연결된 full-text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종 도출된 모형]
*최종 모형은 전문가, 현장 평가 타당화를 통해 도출됨.
*단계별 세부활동 설계가이드는 추후 브런치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관련 문헌 링크]
[본 모형을 활용한 수업 이야기]
https://brunch.co.kr/@freshlife102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