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rancis Lee May 16. 2023

김건희 여사를 ‘빨래걸이’에 비유했다고?

- 대통령실과 조중동이 책임져야  한다

빨래걸이 ⓒ pixabay


한국에는 '조중동' 3대 일간지가 있는 것처럼 미국에는 The Washington Post, The New York Times, The Los Angeles Times, The Wall Street Journal을 일컫는 4대 일간지가 있다. 그 가운데 The Washington Post는 미국 정치의 메카인 워싱턴 D.C. 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냥 The Post로 불릴 정도로 엄청난 권위를 지닌 신문이다.  미안한 말이지만 한국의 조중동은 끼지도 못한다.

    

그런데 그 The Post가 김건희 여사의 옷차림에 대해 논평하면서 ‘noted clotheshorse’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 두 독자가 클레임을 걸었다. 그 항의 글을 다름 아니 The Post가 아무런 논평 없이 자기 신문에 실어주고 있다. 역시 대국의 위대한 신문답다.      


아래는 그 원문이다.      


In the April 27 Style article “A shared idea of sophistication,” South Korean first lady Kim Keon Hee was described as a “noted clotheshorse.” That was not nice, and it was certainly not validated by anything in the article. Indeed, no further mention of her dress occurred, although the article went on at considerable length and detail and reached back decades to review clothing worn on previous federal government occasions. Kim looked fine in plain white from shoulder to floor.     

Remarks such as this make the work of our U.S. government harder. Evaluations of the clothing of visitors accomplish little, and gratuitous negative comments on visitors’ clothing are impolite.     


Ronald O. Hietala, Falls Church     



The April 27 Style article “A shared idea of sophistication” described first lady Jill Biden as wearing an “elbow-length silk dress.”     

I am trying to (actually I’m trying not to) imagine just what an “elbow-length dress” might look like — and indeed why any garment that is “elbow-length” would be considered a dress at all instead of a rather short shirt.     

Please, do better. You’re The Post. Words matter.    

 

Meg Spencer Dixon, Kensington (참조: 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23/05/12/reader-critiques-kim-keon-hee-fashion-insult/)      

 

로널드는 남자고 멕은 여자로 보이는 데 외국인 차별 또는 여성 차별에 민감한 사람인가 보다. 미국의 인구가 3억 명에 가깝고 언론 자유가 보장된 나라니 무슨 의견이든 이렇게 자유롭게 펼칠 수 있고 또 그것을 기꺼이 자기 신문에 실어주는 모습이 아름답다.   

  

그러나 이 논란의 주인공이 다름 아닌 김건희 여사라는 것이 한국인으로서 마음이 불편하다. 그래서 아예 그 관련 기사 원문을 찾아 읽어보았다.


제목이 이렇다. “At the state dinner, Jill Biden stays understated -The Bidens greeted the president of Korea and his wife for a state dinner on Wednesday”


 Rachel Tashijain이 쓴 글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First lady Jill Biden’s gown for the state dinner on Wednesday with Korea was an oyster-colored column of solid understatement.     

Wearing an elbow-length silk dress by the Lebanese designer, Reem Acra, Biden looked muted, but agreeably graceful while standing next to her husband and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uk Yeol, who were both in tuxedos, and President Yoon’s wife, Kim Keon Hee.     

The dress, and much of the wardrobe she has worn as first lady, are intended to make us appreciate briefly that she looks lovely — and quickly move on. The maker of the dress is not easily recognizable; Biden’s belief is that a brand name should rarely be a talking point. As flattering as that pale purple may be on her, she’s much happier to let her guests’ ensembles, especially noted clotheshorse Kim, in a sweeping chiffon skirt and little white gloves, provide the fashion credentials.     

State dinners — this is the Biden administration’s second, after December’s dinner with France — are among the rare occasions when we see the first lady in a gown, a garment mostly associated with celebrities and royals. The first lady, of course, is neither, and so instead, the state dinner becomes a moment for her to cement a shared idea of what American sophistication should look like. For Biden, that’s been a vision of centrist glamour, an accessible elegance.   


 Michelle Obama wears a Versace gown at the state dinner for Italian Prime Minister Matteo Renzi in October 2016. (Mark Wilson/Getty Images)

          

Both of Biden’s predecessors were unusually fashion-forward, and their state dinner ensembles revealed much about how they wanted us to perceive them. Former first lady Michelle Obama wore some of her most memorable looks for these events, and they were outright glamorous, even enviably stylish: a red and black floral gown with an asymmetrical neckline by Alexander McQueen for a state dinner with China in 2011; a Naeem Khan dress decorated with an art deco-inspired pattern of beads, with a stack of gold and silver bangles on one wrist, to host Germany that same year. The look for her final state dinner, with Italy in 2016, was a copper ruched chain mail gown by Versace that seemed like a declaration of her fashion intuition: she knew well the pleasures and spiritual rewards of wearing a beautifully cut, playfully flashy gown.  


       

Melania Trump wears Chanel couture at the state dinner for French President Emmanuel Macron in April 2018. (Andrew Harnik/AP)     


During her run as first lady, Melania Trump’s state dinner ensembles suggested that for her, fashion could be something like a life raft. In 2019, she wore a fluttery sea foam green dress by J. Mendel for a dinner with Australia; the year before, she donned a Chanel haute couture gown, its lace hand-painted and sequined, for a state dinner with France. If the Chanel gown was a nod to her guests’ home country, it was also a major fashion flex, demonstrating her membership in the elite circle of couture clothing buyers.          

Trump’s recognizably designer clothes, by brands from Dior to Calvin Klein (then under the creative directorship of celebrated Belgian designer Raf Simons), often read as an assertion of her individuality, even privacy — she refused to give up the commitment to and pursuit of high fashion typical of women in New York’s one percent.     

Obama seemed to see her wardrobe as part of an effort to modernize and expand the archetypes of American glamour. Laura Bush and Hillary Clinton instead favored designers long-beloved by women in circles of American power, like Carolina Herrera and Oscar de la Renta, and stuck to a uniform of ball skirts, crisp white shirts and silk boleros.

        

Hillary Clinton wears Oscar de la Renta at the 1998 state dinner for Colombian President Andres Pastrana. (Joyce Naltchayan/AFP/Getty Images)    

 

Biden’s style is not quite a rebuke of her previous administrations’ eager embrace of fashion, but neither is a return to that earlier traditionalism. Instead, she appears to think strategically about cultivating an accessible look of propriety, of appropriateness. She usually demurs when asked about her clothing choices, deferring to the designers to announce when she wears one of their pieces.     

She has stuck to a small coterie of designers and brands who are contemporary but not modern, conservative but not old-fashioned, like Markarian, Gabriela Hearst and Brandon Maxwell. Their clothes are expensive, easily in the thousands of dollars, but have messaging baked into them that can feasibly obscure or justify their price: Markarian and Maxwell as 30-something designers who run small businesses; Hearst as an immigrant who emphasizes sustainability in her designs; and Oscar de la Renta, now run by the late designer’s proteges Laura Kim and Fernando Garcia, who are also immigrants.     

For Biden, fashion choices seem guided by a notion of common sense. “Jill Biden has a way of dressing that to most people seems appropriate,” said Lisa Kathleen Graddy, the curator of the Smithsonian’s First Ladies Collection. “It seems elegant. It seems pretty. And it’s something that people can visualize themselves wearing or choosing. And I think that makes the first lady very relatable to people who are watching her.”


             

Laura Bush in Bill Blass at the state dinner for Ghanaian President John Kufuor in 2008. (Nicholas Kamm/AFP/Getty Images)

    

She wears colors, silhouettes and ensembles that are easily understood. She is an eager re-wearer of her clothes. She knows that navy and soft pinks flatter her. She loves florals, especially in the spring (in the words of the fictional fashion editor Miranda Priestly, “Groundbreaking.”). She grasps that wearing the “right” dress — in tone, fit, and length — has meaning, creates atmosphere, elevates the mood or reminds us that this is casual. She understands the power of a knee-length sheath dress with a matching coat, or a pair of peony pink gloves that perfectly match her coat — that such gestures are timeless, sturdy, agreed upon for a reason. It is a kind of sartorial decorum. (참조: https://www.washingtonpost.com/lifestyle/2023/04/26/jill-biden-state-dinner-korea/?itid=lk_inline_manual_1)    

 

여기서 논란이 된 문장은 다음과 같다.


As flattering as that pale purple may be on her, she’s much happier to let her guests’ ensembles, especially noted clotheshorse Kim, in a sweeping chiffon skirt and little white gloves, provide the fashion credentials.     


이 문장에서 김건희 여사를 놀리는 뉘앙스가 있다고 보이나? 영어 전문가에게 맡길 일이지만 듣는 사람에 따라 달리 다가올 수 있는 문장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별것 아닌 style 칼럼에 어울리는 그저 그런 기사다.


그런데 문제는 지난달에 올라온 이 기사가 갑자기 한국 언론에서 ‘빨래 걸이’라는 친절한 번역과 더불어 미국의 독자가 대단히 불만을 토로한 듯 과장 보도한 데 있다. 사실 clotheshorse는 정확히는 clothes horse로 써야 한다. 그리고 사람에게 적용될 경우 그 뜻은 삘래걸이가 아니다. wiki에서 다음과 같이 잘 설명하고 있다.


The term clothes horse can be used to describe men and women who are passionate about clothing and always appear in public dressed in the latest styles. From 1850 the term referred to a male fop or female quaintrelle, a person whose main function is, or appears to be, to wear or show off clothes.[3] In this context, the term is similar to "fashion plate", which originally referred to a lithograph illustration of fashionable clothing in a book or magazine.

Clothes horse can also be used to describe men or women who are employed primarily to display clothing.[4] The term is often used pejoratively, for example to imply that an actor or actress has been cast in a role primarily to show off costumes rather than for their acting ability.(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Clothes_horse)


이런 의미라면 clothes horse는 '패션감각이 뛰어난 사람' 정도의 뜻이 되겠다. 그런데도 미국의 일부 독자와 한국의 일부 언론은 이를 침소봉대 중이'다. 그래서 심지어 어떤 ‘꼬리 글’에서는 이 기사를 게재한 기자가 교묘하게 ‘돌려 까기’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드러내고 있다. 아래 사진에 보인대로 김건희 여사의 당일 스타일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미국 국빈 방문 영접 사진 ⓒ The Washington Post

   

사실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이런 사달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얼마 전에는 프랑스의 저명한 신문인 Le Monde에서 김건희 여사의 ‘소문’에 대한 기사를 실어서 한국 언론에서 잠깐 소개된 적이 있다.   

  

프랑스의 유력 일간지인 <르몽드>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La conjointe de M. Yoon, Kim Keon-hee, aurait, elle, accepté des pots-de-vin et commis des malversations financières qui font aujourd’hui l’objet d’une enquête. Elle a par ailleurs fait l’objet de rumeurs persistantes sur ses liens avec des chamans, voire sur des activités de call-girl quand elle était étudiante. Diplômée en arts à l’université Kyonggi et dirigeante de Covana Contents, une société organisant des expositions, elle est soupçonnée d’avoir enjolivé son CV pour obtenir des postes à l’université. Elle aurait menacé d’envoyer les journalistes critiques « en prison » et a dû s’excuser pour avoir affirmé que les affaires révélées par le mouvement #metoo surviennent parce que les femmes impliquées ne sont pas « payées » par les hommes.”     

(출처: https://www.lemonde.fr/international/article/2022/03/09/coree-du-sud-une-campagne-presidentielle-sur-fond-de-scandales-et-d-invectives_6116678_3210.html)     


우리나라 국민이 다 아는 영어가 아니라 프랑스어라서 전문을 초역 수준으로 직접 번역해 본다.  

   

“윤 씨의 배우자 김건희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뇌물 수수와 금전 유용 혐의를 받고 있다. 그녀는 또한 무당과의 관련설, 심지어 학생 시절 콜걸로 일했다는 루머에 계속 시달리고 있다. 경기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전시회를 주관하는 코바나 콘텐츠의 대표가 된 그녀는 대학교에 자리를 얻기 위해 이력서를 과대 포장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그녀는 [그녀에] 비판적인 언론인을 ‘감옥에’ 보내겠다고 공공연히 협박했다고 하며, [미투 사건과] 관련된 여자가 남자로부터 ‘돈을 받지’ 못하여 미투 운동이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하여 사과해야만 했다.”     


매우 짧은 문장이지만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모든 ‘의혹’이 담겨 있다.     


<Le Monde>는 어떤 신문인가?     


나치 점령이 끝나자마자 드골 정부의 명령에 따라 1944년 12월 18일 창간된 프랑스의 대표적인 중도좌파 언론이다. 발행 부수가 50만 부나 되어 프랑스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신문이다. 그런데 이런 신문이 비록 도쿄 특파원 Philippe Mesmer 명의의 기사이지만 매우 민감할 수 있는 김건희 여사에 관한 ‘추문’을 매우 세밀하게 보도하고 있다. 만약 한국의 <한겨레>가 이런 식으로 정리해서 보도했으면 어찌 되었을까? 아마 <조선일보>가 선두에 나서서 ‘천인공로’, ‘가짜 뉴스’, ‘좌파의 음모’ 등의 제목을 대문짝만 하게 내세우며 단단히 사달을 낼 작정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천하의 <르몽드>여서인가? 쥐 죽은 듯이 고요하다. 아니면 나라 밖의 일은 이른바 ‘개돼지’들이 알 필요도 없고 알아서는 안 되어 조용한 것인가? 그것도 아니면 괜히 긁어 부스럼 낼 필요가 없다고 머리를 굴린 것인가? 어차피 정권 교체 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정부 차원에서라도 항의 성명을 낼만하다. 부적절한 단어를 사용했다면 더더욱 그렇다. Philippe Mesmer는 <르몽드>만이 아니라 <렉스프레스>의 일본 도쿄 주재 통신원으로도 일을 하고 있다. 일종의 프리랜서 기자이다. 그러니 이런 기자가 보낸 기사를 <르몽드> 정도의 권위 있는 신문에 게재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단계의 gate-keeping과 편집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렇게 이른바 ‘데스크’를 통과한 기사는 내부적인 검증을 충분히 거치기 마련이다. 그런데 위에 나온 대로 기사가 신문에 실렸다면 나름대로 한국의 사정, 특히 김건희 여사에 관련된 검증 자료를 확보했다는 말이다.

    

그러니 이 기사에 대하여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인 항의를 하지 않으면 기사의 내용을 인정한다는 말이 되고 나중에 해외 언론에서도 이 기사가 재인용되는 일이 벌어질 것이다. 언론에 보도되는 기사의 내용은 늘 신속, 정확, 공정을 기준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뉴스에 대해서는 엄중 항의하는 것이 마땅하다. 정부가 직접 하기 힘들다면 보수 정론지를 자처하는 <조선일보>가 총대 매고 나서야 할 것 아닌가? 국격이 달린 문제 아닌가? 이런 기사를 방치한다면 앞으로 계속 김건희 여사와 관련하여 ‘콜걸’, ‘빨래걸이’ 소동이 날 것이니 말이다. 한국의 언론이 부실하니 외국 언론이 계속 이런 식으로 우리의 김건희 여사를 놀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그 무엇보다도 한국의 언론, 특히 3대 언론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조중동의 책임이 크다. 당장 정밀한 분석기사를 써서 한국 내의 왜곡된 여론을 다스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통령실은 이런 식의 외신 보도에 대해 눈감고 있지 말고 적극적인 대처를 해야 한다. 대한민국 국격이 달린 문제를 대통령실 말고 누가 해결한다는 말인가? 이것도 그냥 국민이 알아서 하도록 버려둘 셈인가? 그러다 보니 이런 사소한 것이 가십거리가 되고 마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윤석열, 바이든 대통령이 좋은 궁합이라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