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산책
달리기를 하면서 주로 듣는 건 클래식 FM이다. 93.1 메가헤르츠. 낭랑하게 나오는 주파수를 찾아 라디오 안테나를 창문 이리저리 옮기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런 기억이 어색하게 휴대폰을 열고 방송국 앱을 실행하면 잡음 없이 깨끗한 라디오가 나온다. 안테나가 더는 필요치 않다. 그러니 산책을 하거나 달리기를 할 때에도 라디오를 들을 수 있다. 사실 이동하면서 라디오를 듣는 이유는 단 하나, 별다른 선곡의 수고가 없기 때문이다.
방송국에서 나 대신 정성껏 고른 곡을 들으며 달리던 밤, 대공원을 다 돌고 아파트 단지와 대공원 길을 잇는 굴다리 앞에 도착했을 때였다. 고층의 아파트 불빛을 가로등 삼아 서서 달리기 기록을 확인할 쯤, 에릭 사티의 짐노페디가 흘러나왔다.
나는 달리기 완료 버튼을 누르려다 말고 잠깐 멈췄다. 이 곡은 아주 오래전, 굳이 헤아려보자면 이십년도 더 전에 누군가 ‘이 노래 제목 알아?’ 라며 어딘가에서 겨우 녹음해 다시 내 삐삐 음성 메시지로 보낸 그 곡이었다. 테트리스라고 했었나, 컴퓨터 게임을 하는데 배경음으로 깔렸다면서 너무 궁금하다고, 무슨 곡인지 아냐고 그가 물었고, 나는 그때부터 라디오를 들을 때 마다 비슷한 음악이 흘러나오나, 예민하게 귀를 세우고 들었다.
아마 한 해는 더 지나 이 곡의 제목을 찾아냈던 것 같다. 에릭 사티, 짐노페디래.
배철수의 음악캠프였을까,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 곡이 흘러나왔고 나는 워크맨의 녹음버튼을 눌렀다. 클래식 에프엠을 들었더라면 더 쉽게 빨리 찾을 수 있었을 텐데. 그때는 클래식을 즐겨 듣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따분하다고 까지 생각했었다. 그런데 에릭 사티를 찾아 헤맸다니. 에릭 사티가 프랑스 작곡가라는 것도, 그의 작품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게 짐노페디란 것도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우리가 찾은 게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나 뉴트롤스도 아니고 스탄 게츠나 조 빔도 아니고 우리에겐 무명에 다름없는 클래식 음악가라니. (당시 우리는 서로에게 새로운 음악을 들려주기 위해 안달난 사람들이었다. 이 노래 너무 좋지! 어떤 곡은 중간부터 녹음해서 들려주기도 하고, 어떤 날은 서로 번갈아 가며 한 곡씩 서로의 음성 사서함에 녹음하곤 했었다.)
그러고 나서 얼마 후, 그는 나에게 에릭 사티의 음반을 보내줬다. 우리가 발견한 곡 ‘짐노페디’ 외에는 사실 크게 감흥이 있지도 않았지만, 붉은 빛이 도는 표지의 그 음반만큼은 꽤 소중했다. 그건 안부였다. 그해 그는 휴학을 하고 고향으로 내려갔고, 나는 그가 없는 서울에서 심심한 방학을 흘려보내고 있었다. 여름은 더웠고, 젊음은 어디로 흘러가는지 모르게 가고 있었다. 막막함과 더위가 뒤섞인 후덥지근함이 나는 가 본 적 없는 도시에서 보내는 그의 여름을 상상하기 어렵게 했다. 그러던 중에 그가 보내 온 음반이었으므로, 나는 짐노페디를 반복해 듣고 또 들었다. 잘 지내고 있지? 나도 잘 지내. 굵은 피아노 소리는 선풍기 바람 속으로 들어갔다 나오다 사라지곤 했다.
이 음악이 흘러나오면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그의 안부를 묻는다. 연락은 서서히, 예고 없이 끊어졌다. 나는 재수학원에, 그는 연애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된 서로의 안부. 우리는 엘지 트윈스와 해태 타이거즈의 경기를 두고 매일 신문을 펼쳐 이상훈과 임창용의 방어율을 이야기 했고, 전화로 야구 게임을 했던 사이였는데. 서로가 듣는 음악을 권하고 하루를 묻는 사이였는데. 주고받은 몇 년의 시간 동안 숱한 이야기들이 있었을 텐데 지금 기억나는 건 에릭 사티의 짐노페디가 전부다. 자신의 음악이 일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처럼, 집안 가구 같은 배경음처럼 쓰이길 원했던 에릭 사티의 음악을 그를 통해 알게 된 것은 우연이었을까. 그는 어느 시절의 배경이 되었고, 짐노페디가 흘러나올 때면 나는 덩그러니 놓인 의자가 되어 음악을 듣는다. 그의 안부는 묻지 않아도 떠오르는 무엇이 되어 찬 공기와 함께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