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예성 Aug 10. 2021

팔로워 수 기반 NGO SNS 5가지 유형

20년 비영리단체 소셜미디어 인사이트두 번째이야기

대중들과 디지털에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SNS 플랫폼은 다양한 기능과 문화의 흐름을 통해 지금 이 시간에도 새로운 플랫폼이 생겨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 속에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익숙해진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관심사,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등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SNS 플랫폼을 선택하여 활용한다. 콘텐츠 소비 주기가 빨라진 만큼 SNS 플랫폼도 사용자의 의도와 트렌드를 파악하지 못하면 어느샌가 사용자로부터 외면받는 소통이 사라지는 플랫폼이 돼버리곤 한다.  


20년도 비영리단체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SNS는 무엇일까? 이번 데이터는 비영리단체들이 사용하는 주요 SNS를 선별하여 팔로워(=구독자) 수를 기반으로 NGO SNS 유형을 분석해보았다. 팔로워 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이유는 객관적인 지표로 누구나 볼 수 있으며, 단체별로 SNS 팔로워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력과 예산과 콘텐츠가 함께 집중되어야 하고, SNS를 운영하는 담당자 혹은 팀의 주요 KPI로 팔로워 수는 설정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이에 팔로워 수를 기반으로 단체별 어떤 채널에 중요성을 두고 운영하는지, 채널별 어떤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데이터 개요

-20년 1월 ~ 12월 / 21개 비영리단체 (굿네이버스, 어린이재단, 월드비전, 유니세프, 그린피스 등)
-6개 주요 소셜미디어 채널 

-총 410만 팔로워 데이터 기반 
*본 데이터는 각 단체 대표 SNS 공식 계정을 기반으로 전체 노출되는 데이터 수집으로 진행됨

*FB=페이스북 / IG=인스타그램 / YT=유튜브 / KP=카카오플러스친구 / TW=트위터 / KS=카카오스토리




표1. 20년 비영리단체 SNS 팔로워 누적 수 현황


[표1]을 보면 21개 비영리 단체들을 기준으로 페이스북을 가장 중점적인 커뮤니케이션 SNS 플랫폼으로 활용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팔로워 수는 20년 12월 기점의 누적 팔로워 수 기준이기에 기관마다 SNS 채널 운영을 시작된 시기가 다를 수 있고, 최근 트렌드는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표1]을 통해 명확한 부분은 전체 플랫폼 팔로워 중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인 51%를 가진 페이스북은 비영리단체들이 현재 디지털 커뮤니케이션하는 SNS로 가장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임을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전체 팔로워(=친구) 중 15%를 차지한 한국형 SNS 플랫폼인 카카오플러스친구로 다른 SNS와는 다르게 양방향 소통보다는 일방향 소통방식의 DM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 단체들이 많은 SNS이다. 세 번째는 전체 팔로워 중 12%를 차지한 인스타그램으로 나타났다. 




표2. NGO SNS 팔로워 수 기반 5가지 유형


[표1]과 같이 대부분의 비영리단체가 공통적으로 페이스북 팔로워 수가 많은 유형으로 나타나지만, 각 단체별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전략과 타깃이 다른 만큼 다양한 형태의 SNS 팔로워 유형을 볼 수 있었다. 이에 [표2]와 같이 21개 단체를 SNS 팔로워 수를 기준으로 5가지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Trend 유형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 이면서 40~60%대 비중인 단체
Trend형은 가장 많은 단체가 속해 있으면서 평균치에 근접한 기준점이 되는 유형

FB(Facebook) 유형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 이면서 70% 이상 집중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 

KP(Kakaotalk Plus) 유형
SNS 팔로워 수가 카카오플러스친구가 1위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 

TW(Twitter) 유형
SNS 팔로워 수가 트위터가 1위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

Balance 유형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이면서 30%대 이하로 다른 플랫폼과 균형을 나타내는 단체

 

대부분의 유형이 페이스북 비율을 중심으로 나뉘는 형태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아래 각각 비영리단체별 SNS 유형을 살펴보면서 여러분의 기관은 어떤 유형에 속하며, 앞으로 생각하고 있는 SNS 운영전략 유형이 어떤 단체를 벤치마킹해야 할지, 각 단체들은 페이스북을 제외하고 어떤 SNS 플랫폼에 집중하고 있는지 아래 5가지 유형 분석표를 천천히 살펴보며 여러분의 인사이트를 찾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첫 번째 Trend 유형 NGO 살펴보기 

 

표3. NGO SNS Trend 유형 1


먼저 살펴볼 유형은 NGO SNS 유형 중 가장 많은 Trend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Trend 유형의 기준은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 이면서 40~60%대 비중인 단체'로 21개 단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표3]은 NGO SNS Trend 유형 중 페이스북과 카카오플러스친구를 집중하는 4개 단체를 볼 수 있다.


NGO SNS Trend 유형1 (페이스북 & 카카오플러스친구)

#기아대책 #세이브더칠드런 #월드비전 #플랜코리아




표4. NGO SNS Trend 유형 2


[표4]는 NGO SNS Trend 유형 중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집중하는 3개 단체를 볼 수 있다.


NGO SNS Trend 유형2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굿피플 #그린피스 #밀알복지재단




표5. NGO SNS Trend 유형 3


[표5]는 NGO SNS Trend 유형 중 페이스북과 유튜브를 집중하는 1개 단체를 볼 수 있다.


NGO SNS Trend 유형3 (페이스북 & 유튜브)

#굿네이버스




두 번째 Facebook 유형 NGO 살펴보기 


표6. NGO SNS Facebook 유형


두 번째 유형은 Facebook 유형으로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 이면서 70% 이상 집중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로 다양한 타깃층과의 디지털 소통을 위해 다른 SNS 플랫폼에 대한 확장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단체 그룹이다. 


NGO SNS Facebook 유형 (페이스북 집중형)

#국경없는의사회 #옥스팜 #유엔난민기구 #WWF #해비타트 #희망브리지




세 번째 Kakaotalk Plus 유형 NGO 살펴보기 


표7. NGO SNS 카카오플러스친구 유형


세 번째 유형은 Kakaotalk Plus 유형으로 'SNS 팔로워 수가 카카오플러스친구가 1위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로 SNS를 일방향 홍보 중심 및 퍼포먼스 전략으로 활용하는 단체로 볼 수 있다. 해당 유형의 단체들은 카카오플러스 친구수 증가에 따른 비용적인 이슈와 함께 SNS 플랫폼 운영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NGO SNS Kakaotalk Plus 유형 (카카오플러스친구 집중형)

#대한적십자사 #컨선월드와아드 #홀트아동복지회




네 번째 Twitter 유형 NGO 살펴보기 


표8. NGO SNS Twitter 유형


네 번째 유형은 Twitter 유형으로 'SNS 팔로워 수가 트위터가 1위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로 한국 앰네스티가 유일하다. 


NGO SNS Twitter 유형 (트위터 집중형)

#앰네스티




다섯 번째 Balance 유형 NGO 살펴보기 


표9. NGO SNS Balance 유형


다섯 번째 유형은 Balance 유형으로 'SNS 팔로워 수가 페이스북이 1위이면서 30%대 이하로 다른 플랫폼과 균형을 나타내는 단체'를 나타낸다. 각 SNS 플랫폼이 지닌 타깃과 특성을 활용하여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하기에 균형 잡힌 전략을 운영하는 단체들로 볼 수 있다.  


NGO SNS Balance 유형 (균형 중심형)

#유니세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컴패션



5가지 유형을 살펴보면서 각 단체별 다양한 SNS 전략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페이스북 중심이라는 기준점은 있지만 앞으로 빠르게 변화되는 디지털 시대 속에 다양한 신규 SNS 플랫폼과 기존 플랫폼에서의 집중되는 변화들이 어떻게 흘러갈지 각 비영리조직의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함께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하며 지켜볼 필요성이 있다. 


다음 글에서는 SNS 플랫폼별로 팔로워 수 규모를 기반하여 단체별 파급력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첫번째글. 비영리단체의 소셜미디어란? 

매거진의 이전글 비영리단체의 소셜미디어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