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사이트 SEO Jan 05. 2021

성과 목표 설정 방법. KPI 작성 방법

성과 목표 설정 관련 용어들에 대한 해석과 설명


https://www.timesnownews.com/education/article/maharashtra-result-2020-date-hsc-results-to-be-announ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연말이 다가오면 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차기 사업 계획 수립하기와 성과목표 설정하기입니다. 업무영역이나 담당 직무에 따라 그 난이도와 부담감의 차이는 있겠지만 크던 작던 대부분의 규모 있는 직장에서는 빠르면 9월부터 연말 안에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단위 조직별 개인별 성과목표를 설정합니다.


성과목표를 설정하는 기준과 방식은 기업마다 적합한 방식을 채택하거나 개발하여 사용합니다. 성과목표 설정의 방식과 내용은 각기 다를 수 있지만 기업이 조직별 성과목표를 설정하는 목적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바로 기업과 조직이 지향하고 집중할 핵심 지표를 명확히 정의하여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조직과 조직원이 책임을 갖고 목표를 관리하고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합니다. 부수적으로 설정된 목표가 조직과 조직원의 비전과 동기로 작동하거나, 그 결과의 평가를 통해 승진이나 보상의 기준으로 작동하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성과 목표 설정의 조건, 원칙


1. 공정해야 합니다.

다른 말로 신뢰가 있어야 합니다. 신뢰가 있으려면 성과목표에 대한 해석이 오해할 요소 없이 명확해야 하고, 측정의 방법과 데이터가 분명해서 누가 평가해도 다르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구조여야 합니다. 보는 사람의 관점과 기준에 따라 흔들리거나 변동될 수 있는 목표, 지표, 평가 방식은 지양해야 합니다.



2. 실현 가능성과 도전성이 담겨야 합니다.

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경영진은 가능한 도전적인 목표를, 해당 조직과 개인은 실현성이 높은 목표를 설정하려는 관성이 작동합니다. 이런 다른 성격의 관점이 조직과 개인이 발전하는데 바람직한 방향으로 지표화 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전사의 전략 방향과 단위 조직의 추진계획이 연동되고 같은 가치와 목표를 지향해야 합니다.



3.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성과목표 설정은 사업 계획과 전략과제가 확정되면 전사부터 개인까지 단계를 두고 필요한 핵심 가치들을 담게 됩니다. 목표 설정 과정에서 조직과 리더의 책임 및 적절한 자원의 투입이나 추진 일정에 대한 협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목표관리 주체들이 합의하고 공감할 수 있는 목표가 설정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이 공정하고 절차가 객관적이어야 합니다.  






KPI 기반 목표 설정서에 대한 해석



성과목표는 성과 자체에 더 많은 의미 부여를 하는지 아니면 그것을 이루어 내는 과정과 가능성(역량과 잠재성)에 더 많은 의미 부여를 하는지에 따라 그 지향과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략목표로부터 출발하는 보편적인 KPI형 목표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연간 성과목표 설정서


성과 목표 달성 전략


위의 그림은 보편적인 성과 목표 설정서와 달성 전략 양식입니다. 양식에 있는 내용들 중 실제 작성할 때 많이들 오해하거나 혼동하는 항목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1. 전략 방향, 전략 목표


전략 방향은 전사적으로 관리되는 추구 방향에 연동됩니다. 예컨대 비전이나 경영방침 등과 연관되어 무엇이 가장 중요한 관리 핵심인가 하는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재무적 관점에서 매출보다는 이익이 중요하다면 전략 방향은 수익성 또는 이익과 같은 키워드가 반영되어야 합니다. 수익성 제고 같은 표현이 전략 방향에 해당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전략 목표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전략목표 및 전략과제





2. 전략 과제, 핵심 전략


전략과제는 전략 방향을 지지하고 추구하는 실제 전략의 개요 또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전략 방향이 보유 회원 확대하면 그 전략 과제는 회원 가치 공감 및 만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원 확대라는 방향성을 지지하고 달성할 수 있는 실질적 전략의 콘셉트니까요


전략 방향과 전략과제는 영역과 해석의 범위의 차이지 실제는 유사한 항목일 수 있습니다.




3. 핵심 성과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ex)


핵심 성과 지표는 성과 목표 설정서의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전략과제를 수행하고 경영 또는 사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관리해야 하는 지표가 무엇인지를 도출하고 그 목푯값을 설정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위의 전략과제가 회원 가치 공감 및 만족이라면 그 KPI는 공감과 만족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유입 회원 전환수 또는 회원 유지율 같은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전략과제를 실현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할 성과 지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4. 성과목표 조감도


조감도는 높은 곳에서 조망해서 보이는 모습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성과 목표 설정 시 그 조감도는 성과가 달성되었을 때 상정할 수 있는 모습 또는 목표 실현 시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KPI가 달성되면 예상할 수 있는 To-be Image라고 부연할 수도 있습니다. 또 전략과제가 보다 넓은 영역을 다루는 개념이라면 성과목표 조감도는 그것을 영역별로, 항목별로, 타깃별로 세분화한 달성의 모습입니다.




5. 핵심 성공요인 (KSF, Key Sucess Factor)


성과를 달성하는 있어(조감도를 실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여 요소 또는 주어진 과제를 성공시키기 위한 핵심 수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핵심(Key)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KSF는 바로 실행전략이나 추진계획으로 활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핵심 성공요인이 의지대로 관리되고 달성된다는 것은 과제의 성과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해결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여 요소와 수단 중에서 단위 조직이 집중해야 하는 어젠다를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6. 예상 장애요인(Risk, Bottleneck)


전략과제를 수행하고, 조감도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예상되는 문제점 또는 걸림돌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핵심 성공요인이 고속도로를 통해 빠른 도달을 만들어 주는 개념이라면, 장애요인 고속도로를 통해 오가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입니다. 고속도로를 통해 목적지를 향해 간다는 예를 들면, 고속도로상에서 만날 수 있는 교통사고, 교통량의 증가, 낙석, 나쁜 날씨와 같은 물리적 요인과, 조급함, 피곤과 졸림, 운전 습관과 같은 감성적 태도적 요인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예상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 예상 장애요인 도출입니다.




설명을 보면 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많은 리더들도 성과목표 설정서와 달성 전략을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시 한번 그 의미와 역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퍼포먼스 마케팅 노하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