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타치는 사진가 Oct 13. 2015

별과 별 사이-인터스텔라

떡밥의 양자역학

감독 떡밥, 여주인공 떡밥, 그럴듯한 예찬기사들의 떡밥... 떡밥으로 한 상 가득 차린 잔치는, 결국 줄거리도 시원찮고, 그다지 감동도 없는 SF(Space fantasy)로 판명되었다.

SF가 science fiction이 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내적인 정합성이라고 생각한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전작인 인셉션에 감동을 받았던 것은 꿈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스펙터클을 나름의 내적 정합성으로 치밀하게 묘사해 놓았기 때문이었다. 이번 영화 인터스텔라를 기대했던 것도 현대 물리학의 발견과 성과를 어떻게 영화 속에 녹여 놓았을 지, 비뉴얼로 풀어 냈을 지가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맛도 없고 영양가도 없는 떡밥을 물고, 할인쿠폰도 안 쓰고 제 값 다 내고, 세 시간 동안 앉아 있은 후 내린 결론은 딱 하나, '홍보는 최고!' 물론 아직까지 접하지 못한 웜홀이나 블랙홀, 시간의 지평선 너머의 세계에 대한 비주얼에 대한 노력은 치하할 만하다. 하지만 그 뿐이다. 시간의 지평선을 통과하면서도 인간의 영혼이 남아 있을 수 있을까? 모든 형체가 붕괴되고 심지어 원자 구조까지도 무너져 내리는 상황에서 미지의 차원을 떠돌아 다니면서 지구로 신호를 보낸 다는 건 판타지의 영역이다.

이미 밝혀져 있는 기본적인 물리법칙들을 과감히 때려 부수는 것은 상상력도 아니고, 영화적인 감수성은 더더욱 아니다. 대중의 무지를 전제로 한 억지일 뿐이다. 억지를 근간으로 영화를 만들었다면 과학이 아니라 판타지라고 분류를 해야지, 그리고 스스로 과학이라고 우기더라도 생각이 있는 언론이라면 판타지라고 정정을 해 줘야 하는 거 아닌가?

내 돈 내고 영화 보고 나서 이렇게 부아가 치밀어 오르는 경우는 오랜만이다.  굳이 어려운 물리학 용어들과 영화를 엮어서 '과학을 몰라서 재미가 없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버리고, 영화에 대한 안 좋은 평을 싹수부터 잘라 버린 마케팅 전략이 무척이나 괘씸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국제시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