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랑비메이커 Dec 13. 2017

영화 <강철비> 어느 날 갑자기, 가 아닌 비극

하나였던 우리가 반드시 하나가 될 수 있을까. 그 틈에선 얽힌 이해관계들


가랑비메이커 매거진 [책장과 극장 사이]

#movie 10. <강철비> *브런치 무비 패스 *스포조곰


*매거진의 모든 감상은 가랑비메이커의 개인적인 견해와 분석에 따른 것임으로 불법 복사를 금합니다.




강철비  (2017)

Steel Rain



줄거리 북한 쿠데타 발생. 북한 1호가 남한으로 내려왔다! 쿠데타 발생 직후 최정예 요원 '엄철우'(정우성)는 치명상을 입은 북한 1호와 함께 남한으로 내려온다. 그 사이 북한은 대한민국과 미국을 상대로 선전포고를, 남한은 계엄령을 선포한다. 이때 북한 1호가 남한으로 내려왔다는 정보를 입수한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는 전쟁을 막기 위해 이들에게 긴밀한 접근을 시도하는데....




하나였던 우리

하나의 이름으로


철우 둘. 북한의 엄철우와 남한의 곽철우


웹툰 <스틸레인>의 이름을 따온 영화 <강철비>의 이름은 핵공격으로 하늘에 떨어지는 무시한 쇳덩이 비를 나타낸다. 영화는 북한의 쿠데타로 인한 갑작스러운 전시 대기 상황의 불안정한 상황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영화를 관통하고 있는 정서는 "본래 하나였던 국가는 반드시 하나의 국가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평화적인 가치를 품고 있다.


이런 정서를 담고 있는 게 바로 각 국의 1호를 호위하는 2호들 엄철우와 곽철우의 이름이 아닐까 싶다. '철우' 라는 이름을 듣자마자 눈치가 빠른 사람이라면 이 역시 쇠 철자에 비 우자를 써서 스틸레인 혹은 강철비의 철비를 나타내는 게 아닌가 싶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외에도 몇 가지 더 새로운 의미를 찾아냈다.





먼저, 북한과 남한의 2호. 서로 다른 이해관계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같은 이름을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관객은 물론 극 중의 이 둘 역시 친근함을 느끼게 했다. 또한 그 어떤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배반하지 않을 끈끈한 동질감 혹은 동일감까지도 느끼게 하는데 이는 극 중 여러 장면들을 통해 느낄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이름으로 하나였던 남북을 대변하는 것이 '철우'라는 이름인 것이다.


한 가지 더 인물의 이름을 통해 유추해본 것이 있다. 영화 속 인물의 이름은 아무런 생각 없이 지어지는 법이 없다. 해외의 영화인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극 중 인물의 성향이나 역할을 담는 경우가 많다.  영화 <강철비> 속에서도 각 인물들이 지켜내고자 하는 가치들이 이름을 통해 나타난다.




남한의 곽철우는 집 우(宇) 자를 쓰는 반면, 북한의 엄철우(정우성)는 벗 우(友)를 쓴다. (극 중 대화 속에 나온다.) 북한의 선전포고가 떨어진 이후, 반대하는 입장들에도 무릅쓰고 남한과 북한의 무고한 생명들을 위해 전쟁은 절대 안 된다는 외교안보수석 곽철우. 그가 지켜내고자 하는 것은 작게 본다면 자신의 가정 그리고 국가, 더 나아가 민족의 안위이다.




그렇다면 엄철우가 지켜내고자 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그에게도 사랑하는 딸과 아내가 있지만 지켜내야 하는 더 큰 임무가 있다. 그러나 그 임무를 지켜나가는 과정에서 어느 것이 옳은 가치인지 혼란이 찾아온다. 그때 만나게 된 곽철우. 시답잖은 농담이나 해대는 배때기 부른 녀석이라고 생각하지만 조금씩 믿음이 생겨가고 전쟁만은 안된다는 마음으로 '우리'가 되어 새로운 작전을 해나간다.


그 과정에서 조금씩 마음을 여는 엄철우는 곽철우에게 단 한 번 '동무'라고 부른다. 그리고 자신의 목숨마저 고사해가며 대의를 위해 그와 협조한다. 북한의 거대 세력들이 모두 앞과 뒤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과는 상반되는 엄철우의 모습은 '의리, 신의'를 보여준다.  과연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모습의 철우들에 의해 남북한은 일촉즉발의 상황을 넘겨낼 수 있을 것인가.




내부의 분란

무엇을 따를 것인가



영화 속의 혼란은 북한 내 세습 정치에 불만을 품은 군부세력의 쿠데타로 인해 시작된다. 견고하게만 보이던 북한 내부의 분란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는 영화 속뿐만 아니라 뉴스를 통해 상상이 아닌 현실 속에서도 충분한 가능성을 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내부 분란으로 인한 핵전쟁의 위기 속에 남한 역시 내부 분란의 진통을 겪는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현직 대통령 (이의성)은 미국과의 의견 합일을 보이며 선제 핵공격을 결정하겠다고 하나, 차기 대통령(이경영)은 국민들의 안위와 전후의 불안요소들을 들며 이를 막고 선다. (현직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의 의견이 충돌한다는 설정은 영화 속 전개를 더욱 풍성하게 한다.)


흔히들 외부의 갈등이 내부를 단단하게 묶어준다고 하나, 영화는 권력의 다툼과 핵전쟁과 같은 극한의 상황 속에서는 되려 많은 분란을 가져오며 이는 극으로 치달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의 문제라니까

치고 들어오는 이해관계



영화를 보며 가슴이 답답했던 건 남북한의 분단과 핵무기를 가진 북한의 도발만은 아니었다. 남북한의 분단 상황을 두고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며 교묘하게 움직이던 중국, 미국, 일본의 모습이 현재 우리의 상황을 돌아보게 했다.  


“분단국가의 국민들은 분단 그 자체로 고통 받는 것이 아니라, 분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에 의해 고통 받는다.” - 곽철우


전쟁을 부추기며 자신의 군사적 이익을 취하려는 미국과 어정쩡한 입장을 취하는 중국과 여러 계산을 하는 일본. 그 가운데 어떤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모습은 눈물을 머금던 곽철우로 대변되는 것 같았다.


이것은 영화이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이해관계라는 생각을 했다. 핵무기 전쟁의 불안과 전시상황에 돌입하였을 때의 타 삼국의 입장의 변화 가능성. 그리고 그 가운데 놓인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느 날 북한이 이런저런 이유를 빌미로 강철비, 핵을 하늘 위로 띄어 전쟁을 시작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과연 어느 날 갑자기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리가 지금, 인지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대한민국과 북한 더 나아가 삼국의 입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영화 <강철비>였다.









브런치 무비 패스 시사회     


개봉 전 시사회에 다녀왔어요. 첫 무대인사 타임 상영이었는데 배우들이 모두 긴장된 모습이었어요. 영화에 대한 자신도 보였고요. 배우들을 보고 영화를 보니 조금 더 새로웠던 것 같아요.


이외 관점 포인트는 리얼한 연기력을 보여주던 다수의 주연들. 반드시 놓치지 않기를.




브런치 포스팅 전 영화 분석


가랑비메이커 영화 칼럼 매거진 <책장과 극장 사이>의 모든 포스팅은 영화 이후 이어지는 분석에 기초합니다. 다른 칼럼 혹은 분석을 읽어보지 않은 채 가랑비의 시선, 날 것 그대로 남겨진 글들입니다. 그렇기에 조금은 미숙할 수도 신선할 수도 있겠죠. 편안히 즐겨주세요.  







http://blog.naver.com/imyourgarang

가랑비메이커 인스타그램 instagram.com/garangbimaker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리빙보이인뉴욕> 서늘한 가을의 도시, 뉴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