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는 얼마나 자주 발생하고 있을까?
내가 소방관이 되기 전 매일 뉴스에서 각종 화재 관련 소식이 들려도
“설마 우리 집에 불이 나겠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소방관이 된 후, 더욱이 화재조사 업무를 담당하면서부터
“설마 우리 집에 불이 나겠어?”라는 생각은
“우리 집도 언제든지 불이 날 수 있겠다.”라고 바뀌게 되었다.
2013년부터 2022년(10년간)까지 소방청 화재 발생 통계에 따르면
연평균 41,257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2,287명의 인명피해와 652,882백만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즉 하루평균 113건의 화재가 전국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화재 발생 요인을 분석해 보면
2013년부터 2022년(10년)까지 전체 화재 412,573건 중
부주의가 206.308건(50%)으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전기적 요인 95,502건(23.1%), 기계적 요인 42,917건(10.4%) 순으로 나타났다.
부주의 요인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담배꽁초가 62,985건(30.5%)으로 가장 많고, 음식물 조리 중 34,445건(16.7%),
불씨, 불꽃, 화원방치 27,644건(13.4%), 쓰레기 소각 27,053건(13.1%),
가연물 근접 방치 11,301건(5.5%), 용접, 절단, 연마 11,239건(5.4%) 순으로 나타났다.
화재장소별로 2013년~2022년(10년)까지 전체 화재 412,573건 중
주거시설(단독주택, 공동주택 등)에서 110,567건(26.8%)으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산업시설(공장, 창고 등) 54,051건(13.1%), 자동차, 철도차량 48,622건(11.8%),
생활서비스시설(음식점, 위락시설 등) 40,927건(9.9%), 임야 24,442건(5.9%),
판매, 업무시설 23,765건(5.8%)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13건의 화재가 발생한다는 소방청 통계에서 보듯이
화재는 나에게만 일어나지 않았을 뿐 우리 주변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화재는 자신의 전재산을 한순간에 빼앗아 간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명, 나아가 타인의 재산과 생명도 빼앗아 갈 수 있다.
화재 발생 확률을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또한 어쩔 수 없이 화재가 발생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1. 화재 보험을 가입한다.
화재 조사 업무를 하면서 제일 먼저 한 일이 화재 보험에 가입한 것이다.
화재 보험을 가입한다고 모든 피해를 보상받을 수는 없지만
최소한 없는 것보다는 낫다.
2. 화재를 초기에 발견할 수 있고 대처할 수 있는 소방시설을 준비한다.
스프링클러와 감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단독주택의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분말소화기를 설치해
화재를 초기에 발견해
초기진화를 하거나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 전원 플러그는 뽑아둔다.
(전원이 공급되는 가전제품에는 언제든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4. 전원 플러그 제거 시 몸통을 잡고 뽑는다.
(플러그 몸통이 아닌 전원선을 잡아당겨서 뽑다 보면 전선 내부 소선이 손상되어
반단선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3. 가전제품 사용설명서에 적혀있는 사용상 주의사항을 준수한다.
4. 화재 위험으로 리콜이나 점검받으라는 소식이 들리면 미루지 않고 이행한다.
(딤채김치냉장고, 자동차 화재 관련 리콜 사항 등)
5. 멀티탭 문어발식 사용 자제 등 기본적인 전기안전수칙을 지킨다.
6. 음식물 조리 중 자리를 비우거나 잠들지 않는다.
(가스타이머 설치로 예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