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가연 Aug 27. 2024

3. 전공 선택

고3 때까지만 해도 전공을 계속 바꾼 이야기를 눈물 없이 말하기 어려웠다. 그도 그럴 것이, 중2 때부터 내가 희망했던 건 실용음악 보컬 하나였음에도 거진 4년 가까이 인고과 인내의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간단히 요약하면 중2 때는 성악, 중3 때는 실용음악 작곡 및 뮤지컬, 고1 때는 클래식 작곡, 다시 고2 때 뮤지컬 그리고 고3 때 실용음악 보컬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수 있었다. 전공 준비를 바꿀 때마다 심한 고통이 일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매우 외롭고 힘들었을지라도, 어린 나이부터 내가 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해낼 것이라는 자기 확신이 강했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 목표 설정과 같은 능력을 체득했을 뿐만 아니라 그 경험이 현재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점도 많다. 첫째로, 다양한 음악 전공 입시를 최소 몇 달씩 경험해 봤기에 관련 분야에 대한 지식이 있어 음악을 대하는 시야가 넓어졌다. 둘째로, 뮤지컬 전공 입시는 실제로 예고 합격 경험이 있어 뮤지컬 전공 특기로 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다. 


또한 실용음악 보컬은 경쟁률이 높아서 불안하다는 이유로 다른 전공 준비를 하며 나중에 편입을 희망하는 나 같은 학생을 만난다면 진심으로 공감하고 조언해 줄 수 있다. 그렇게 다양한 전공을 경험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컬 전공 경쟁률이 5:1이었다면 진작 중 2 때부터 했을 것이다. 하지만 가고 싶은 대학은 400:1, 500:1에 달하고 생전 처음 들어보는 저 멀리 있는 대학도 100:1이 넘는다는 사실은 공부 잘하는 학생을 겁먹게 하기 충분했다. 


내가 잘하는 게 무엇인지, 내가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10대 때 이미 충분히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고 싶은 게 뭔지, 잘하는 게 뭔지 모르는 기분을 중학교 1학년 때 이후로 모른다. 이미 그때부터 내가 음악과 영어를 잘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고등학생 때는 이를 더욱 발전시키며 이미 능력을 대외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했다. 어쩌면 10대 때 미리 고생하고 대학생 때부터는 더 이상 진로 고민 없이 싱어송라이터라는 목표를 향해 직진할 수 있었다. 


모든 경험이 이제는 소중한 자산이 되어 감사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2. 기록하는 습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