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갱작가 Dec 10. 2020

마케터의 딜레마

초기 제안서 작성에는 얼마의 시간을 투자해도 될까?


 "초기 제안서에 얼마의 공을 들여도 되는 걸까?"


 연차가 쌓이면서 업무 영역이 변했다. 기존 광고주 케어에서 → 잠재 광고주(신규 광고주) 응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주로 인바운드 광고(=니즈를 가진 고객이 찾아오는 광고 형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광고 견적이나 진행방향이 궁금한 잠재 광고주들은 내선으로 전화를 걸거나 상담 폼을 남긴다.


*광고주 획득 루틴 : 전화/상담 폼 → 안내 → 초기 제안서 송부 → 추가 상담 or 미팅 or 바로 계약


1) 전화/상담 폼

주로 연락이 오는 광고주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견적만 궁금한 경우 / 원하는 광고 진행이 가능한지 확인하고픈 경우 / 아무것도 모르겠고 맞춤 제안을 받고 싶은 경우 / 전 대행사에게 크게 데인 경우(불신이 베이스로 깔려있음, 해당 케이스는 추후 자세히 다룰 예정!) / 여러 대행사에 같은 내용을 남기는 경우(찔러보는 감st) 등등..


2) 안내

상담 폼에 내용을 정~~말 부실하게 적어놓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유선으로 필요한 내용을 재차 확인한다. 텍스트가 아닌 음성으로 들었을 시 이해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열에 일곱은 가시화된 제안서를 요청한다.


3) 초기 제안서 송부

1번과 2번 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초기 제안서를 작성하는 데, 이때 고민이 발생한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이왕 하는 거 시간을 더 투자하자! 

제안서를 보내는 이유 중 하나는 광고주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라고 본다. '광고 종류가 이렇게 많은데 여기서 할 수 있다고? 이런 전략을 활용하면 기대효과가 얼마네?' 등등.. 그리고 이왕 제안서 송부하는 것 조금 더 공을 들인다면 계약 전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 않을까.

VS

 불확실한 광고주에게 품을 들이는 건 비효율적이다! 

아무리 초기 제안서라도, 유선상으로 전달받은 내용으로는 심도 있는 제안서를 꾸리기엔 불가능! 강점, 약점, 시장분석까지 하기엔 해당 광고주가 계약을 진행하리란 보장이 없는 상황. 의사가 불확실한 광고주에게 품을 많이 들이는 건 비효율적인 건 아닐까?




 현재는 3:7 비율로 진행하고 있으나 문득문득 의문이 든다. 어떻게 해야 광고주에게도, 나에게도, 회사에게도 서로 좋은 걸까 하고. (의문이 샘솟지만 일전에 송부한 제안서에 관심이 생겨 추가적으로 연락이 오거나, 계약이 성사되면 더없이 뿌듯하다)


 이 땅에는 무수히 많은 광고대행사가 있다. 그들 중에서 내가 선택을 받으려면 그만큼 제안서에 힘을 기울이는 것도 맞지만, 한편으로는 광고주 입장에서 선택지가 많다(=가볍게 의뢰할 가능성↑)는 말이기 때문에 힘을 덜 기울이는 것도 일리 있다. 


 ... 양보다 질 vs 질보다 양, 각각의 장단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아직까지는 두 가지 경우 모두 계약 전환율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을 못 봤기 때문에 더 지켜보고, 더 나은 선택지가 있을까 생각을 발전시켜볼 예정이다.


작가의 이전글 마케터의 재택근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