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봉정사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산사순례' 편을 읽다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곳을 많이 가보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열흘간 산사 20곳을 방문하였다. '산사를 걷다'는 열흘간 쓴 일기 형태의 글이다.
두 번째로 찾은 곳은 안동 봉정사. 이 곳도 유네스코에 등재된 산사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생김새가 다르고 생각하는 것이 다르듯이 산사 또한 그러하다. 어제 들렸던 부석사가 너무 좋았던 탓인지, 봉정사 입구 공사 중이라 들렸던 소음 탓인지 봉정사는 온전히 마음에 들어오지 않는다. 내가 그렇다고 해도 훌륭한 산사임에 분명한데도 말이다.
봉정사에 들리기 전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소개에 따라 제비원 석불(안동 이천동 석불상)에 들렀다. 불교 신자가 아니라서 불당에도 들어가지 않고 부처님을 봐도 그런 가하고 지나가는데 이 부처님 석불은 뭔가 숙연하고 엄숙하다. 열심히 불공드리는 어르신들은 무엇을 그리 비는 것일까? 나도 요즘 빌 것은 많은데.
봉정사 일주문을 지나면 커다란 나무들이 양 옆에 즐비한데 굴참나무라고 한다. 큰 나무, 특히 고목들을 보면 나도 모르게 걸음을 멈추고 한참을 들여다보게 된다. 캐나다 여행을 하면서 많이 봤던 울창한 산의 큰 나무들은 '참 곧고 높게 컸구나'라는 느낌뿐인데 우리나라의 큰 나무 고목들은 기나긴 세월의 많은 사연들을 간직한 것처럼 대부분 애달프기까지 한 모습들이다. 그런 나무들이 있어서 산사 여행이 더 좋기도 하다.
봉정사에는 최고로 오래된 목조건물 극락전이 있다. 수덕사의 대웅전이 최고 오래된 건축물로 인정되다가 이후 부석사 무량수전이 지목되었다가 이후 봉정사 극락전이 그 이전에 세워졌다는 기록이 나왔다 한다. 어느 것이 먼저인지는 나는 덜 관심이 있지만, 사찰마다 입구에 있는 소개 글, 문화재 소개 표지판에는 불만이 있다. 중고등학교 때 억지로 외워야 했던 역사 교과서처럼 어렵고 재미가 없다. 이 사찰이 이 시대에 왜 소중한 문화유산인지 쉽게 설명해 줄 수는 없을까 싶다.
봉정사 극락전 뒤로 영산암이라는 암자가 있는데 누군가의 고저택이라고 하면 정말 아름다운 그런 집 같은 정원이 있다. 한옥 저택이 이 정도면 정말 멋지구나 싶었다. 아쉬웠던 것은 여기저기 보였던 생활의 흔적 같은 것들. 여기도 스님들이 생활하는 곳이니 어쩔 수 없지 싶지만 그래도 30% 아쉬웠다. 이 영산암 주위에 있는 고목들이 참으로 보기 좋았다.
다시 봉정사에 오게 되면 봄, 가을의 나무들과 이 영산암 정원이 다시 보고 싶어서 일 것이다. 다음에 오면 이 정원에서 조금 더 오랜 시간을 보낼 듯싶다.
봉정사를 다녀오며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찾은 '죽령주막'. 이곳을 찾기 위해 오른 도로가 만만치 않았음에도 멋스러운 정취와 맛을 가진 식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