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작가 Oct 25. 2020

이직, 올바른 선택에 대하여

내가 갖고 있는 부정적인 생각들이 올바른 선택을 어떻게 방해하는가?

“XXX님이시죠? 안녕하세요, 저는 XXX 회사 대표입니다. 저희와 한번 함께 해보실래요?”

어느 날 스타트업으로부터 이직 제안이 왔다.


마침 그때 나는 회사가 싫었다. 동료도, 대표도, 내 눈에 보이는 회사의 모든 게 다 싫기만 했다. 한번 싫어하기 시작하자, 회사에 대한 불만이 늘어갔다. 투자는 많이 받았지만, 하는 사업은 수입성이 별로 없어 보였고, 유저 숫자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보유하고 있는 개발 기술이 이걸 감당할 수 있어 보이지 않았다. 


부정적인 생각이 강해지자, 마음속에서 ‘이직하고 싶다’라는 말소리가 들려왔다. 마침 한 스타트업에서 이직 제안이 왔다. 여기 스타트업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왠지 느낌이 좋았다. 타이밍이 딱 맞아떨어져 있기 때문에 분명 좋은 회사라고 생각했다. 


이 지긋지긋 한 회사로부터 벗어날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제안을 한 스타트업에 문제가 생겨서 결국 이직을 하지 않았다. 그 회사 추가 투자 유치에 실패해서, 경영이 악화된 것이다. 알고 보니 회사 자체가 문제가 많았다. 소문으로는 대표가 신규 입사자가 먼저 요구하지 않으면 근로계약서도 제대로 쓰지 않는다고 했다. 몇몇 직원은 4대 보험 가입도 진행하지 않는다고 했다. 지금 생각해보니, 스타트업 대표와의 면담 시간에도 몇몇 문제 발언들이 있기는 했다. 직원들의 불만에 대해서 어떻게 하면 묵살할지를 고민하는 태도나 경쟁사에 대한 지나친 과민 반응 등 대표의 생각이 문제가 정말 많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에 나는 이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지 않았다. 다니고 있던 회사에서 그저 도망쳐 나오고 싶은 마음이 강했다.


이직은 선택의 문제다. 남을 것인가 아니면 떠날 것인가? 중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가 져야 한다. 잘못된 선택은 최소 몇 개월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선택해야 한다. 그래서 이직을 고려할 때 나와 회사에 대해서 정확히 평가하고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와 이직하고 있는 회사 중 나에게 더 적합한 회사는 어디인지 비교해야 한다. 또한 스스로의 역량, 성향, 적합성에 대한 이해와 회사의 사업성, 현재하고 있는 비즈니스 등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나의 이직 상황과 같이 눈앞에 회사의 좋은 모습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못 보는 경우가 있다. 나의 경우는 회사가 그냥 ‘싫다’라는 감정이 있었고, '싫기 때문에 회사가 별로다'라는 판단을 했다. 그리고 마침 오퍼가 이 타이밍에 왔기 때문에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괜찮은 회사 일거라는 판단을 했다. 이 2가지 판단 모두 근거가 없다. 사실을 제대로 생각하지 않은 채, 내 감정이 별로니까 회사가 별로라고 하는 오류 투성이 생각을 했다.


즉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이 아무 근거 없는 결과를 도출했다. 부정적인 감정은 이 회사를 계속해서 좋지 못하게 해석하게 만들었다. 마치 나에게 모든 걸 부정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안경이 하나 써져 있었다. 실제 사과는 다르게 말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가 주변에 있었다. B라는 개발자는 회사의 웹 서비스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특히 그 당시에 서버 시스템에 문제가 계속 발생해서, 회사가 내일 당장이라도 망할 것만 같다고 했다. 결국 도망치듯 다른 회사로 이직했다. 하지만 사실은 달랐다. 서버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유저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지금 당장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서비스는 대 성공을 거두고 있는 과정 중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자 B는 유저가 늘어날수록 서버가 결국 감당하지 못해서 망할 거다라고 판단했다. 결국 이 사업은 대 성공을 거두었고, 그 개발자는 나중에 땅을 치고 후회했다. 설상가상으로 이직한 회사는 서비스가 안정적이었지만, 유저 숫자가 늘지 않았고, 결국 경영 악화로 문을 닫았다.


원래 다니던 회사는 유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성장 가능성을 업계에서는 이미 인정받은 회사였다. 그렇지만 부정적인 안경 때문에 ‘가능성’과 ‘기회’보다 ‘Risk’와 같이 회사의 부정적인 요소를 부풀려서 평가했다. 회사 내부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결국 이직은 잘못된 선택이었다.


부정적인 생각이 회사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초점을 맞출 때가 있다. 이 때도 사실이 왜곡된다. 예를 들어 스스로가 일을 매우 못한다고 믿는 직원 A가 있었다. 인사고과에서 항상 중간 점수를 받았지만,  너무 과분한 결과라고 생각했다. 부서가 성과가 저조했는데 그 이유가 다 자기 잘못이라고 항상 생각했다. 그리고 상사의 나에 대한 태도가 항상 마음에 걸렸다. 매번 회식 때마다 자기에게 1-2시간씩 설교를 했다. 또 상사는 반차를 쓸 때면 왜 쓰는지 꼬치꼬치 캐물었다. A는 상사의 이런 행동들이 일 못하는 자기를 무시하는 행동이라고 생각했다.


어느 날 A에게 더 좋은 조건의 오퍼가 왔었다. 고민을 했지만 A는 이직해서 자기가 제대로 할 수 있을까?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 자신이 더 좋은 조건을 받을만한 자격이 되는지 의구심이 들었다. 여기서도 제대로 못하는데, 오퍼 받은 회사에서는 더 나락으로 떨어질까 봐 두려웠다. 결국 제안을 거절했다.


A는 스스로가 별로라고 생각했지만, 회사의 A에 대한 평가는 달랐다. 직원 A는 성과가 좋지 못한 부서에서 그나마 매출에 잘 기여하는 직원이었다. 이 부서에서 A가 인사 고과가 제일 높았다. 다른 부서에 있었으면 충분히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다. 문제는 상사였다. 상사는 A가 타 부서로 가거나, 이직할까 봐 두려웠다. 그래서 A가 딴마음먹을까 봐 반차를 쓸 때마다 경계했고, 회식 자리에서는 말을 최대한 많이 하려고 했다. 상사의 말이 좀 설교 투여서 그렇지, 은근히 A에게 칭찬도 했다. 


결론적으로 A에게는 그곳을 떠나는 게 최선의 선택이었다. 생각보다 시장에서 A의 가치는 높았다. 그러나 끝내 계속해서 그 부서에 남았다.


이렇게 우리는 잘못된 선택들을 하곤 한다. 그리고 이런 선택을 하게 만든 이유는 다른 것도 아니고, 나도 모르게 내가 쓰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한 생각들이다.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니 제대로 보일 리가 없다. 


선택의 갈림길에 놓였을 때 특히 감정들이 요동 칠 때면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생각들의 진실 여부를 꼭 파악해야 한다. 부정적인 감정에만 집중하다 보면 우리는 제대로 판단할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들이 들 때면 어떤 근거로 내가 이것을 평가하는지, 반대로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이 있는지 계속해서 생각해야 한다. 내가 하고 있는 이 생각이 어떤 근거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그냥 싫으니까 다 싫어라는 부정적인 감정들 때문에 내 눈앞에 장점들이 가득한데 그것을 하나도 캐치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게 내린 결론들은 회사에 대하여 잘못된 평가로 이어질 가능성만 높아진다. 이직이 잘 짜인 좋은 의사결정이 아니라, 주사위를 굴려서 나오는 도박판이 되는 경우다. 이러면 나에게 도움이 되는 선택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선택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아무쪼록 올바른 선택을 하기를 바란다.


나는 이직을 찬성하지도, 반대하지도 않는다. 그건 우리 인생에서 필요하다면 해야 하는 선택들이다. 하지만 현재 나와 회사에 대한 상황을 편견 없이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는지, 판단의 근거는 무엇인지를 꼭 살펴보길 바란다. 그래서 올바른 선택을 내렸으면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성공하면 무조건 옳은 걸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