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링크미디어 Feb 24. 2022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샵 탭 활용하기

제품과 브랜드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샵(Shop)


어느덧 페이스북 광고 7편입니다.

오늘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쇼핑, 샵 기능에 대해 알아볼 계획입니다.

오늘 내용도 어렵지 않으니, 본 글을 통해 샵 탭을 이해하고 아래 영상의 실습 파트에서 함께 따라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샵(Shop) 기능이 뭘까

샵 기능은 릴스와 함께 비교적 최근에 생긴 기능입니다. 사실 제품을 등록해서 판매하는 카탈로그는 이전부터 있었는데요, 최근 모바일 커머스와 라이브 커머스 등 소비자들의 모바일 구매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도 쇼핑 기능을 아예 SNS 내부 기능으로 추가한 것이죠.

인스타그램 쇼핑을 통해서 광고를 하는 비즈니스들은 자연스럽게 우리 브랜드의 스토리를 전하고 제품을 강조할 수 있어요.

또 제품을 발견하는 순간 쉽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 전환 역시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쇼핑 광고와의 차이

그렇다면 인스타그램 쇼핑 광고와 일반 쇼핑 광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차이가 있습니다.

단순히 내 제품 사진만을 노출하는 게 아니라 실시간 콘텐츠(스토리, 라이브)나 미리 제작해둔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여기에 상품을 태그 하여 유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쇼핑 콘텐츠 광고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이렇게 쇼핑할 수 있는 상품들을 모아둔 곳이 인스타그램 샵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내에 내 제품과 브랜드 스토리를 둘러볼 수 있는 온라인 매장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인스타그램 샵, 페이스북 샵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시더라도 아마 은연중에 보셨을 거에요.

인스타그램에 들어가 보면, 릴스 탭 옆에 쇼핑백 모양으로 생긴 샵 탭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내가 관심 있어했던 제품들이 뜨는데, 상품을 누르면 자세한 가격과 이미지가 뜹니다.

나아가서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도 있어요.

요즘은 많은 브랜드들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샵을 만들어서 내 제품을 등록해두고, 내가 원하는 콘텐츠에 내 제품을 태그 후 제품이 태그 된 게시글을 광고하는 형식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트렌드에서 뒤처진다면 많이 아쉽겠죠.


샵을 활용하기 위한 준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 샵 기능을 활용하려면 세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비즈니스 계정페이스북 페이지 그리고 '카탈로그'라고 불리는 제품 그룹.

페이스북에 샵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계정으로 로그인 후 상거래 관리자에 접속해야 해요. 접속 후 샵 만들기를 누르고 기본적인 비즈니스 페이지와 연결할 페이스북 페이지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그 후에 홍보할 카탈로그를 선택하는데, 만약 카탈로그가 없다면 이 단계에서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카탈로그 등록 방법

카탈로그는 쉽게 말해 제품 리스트입니다.

따라서 상품을 피드 형식으로 리스팅 해둔 제품 브로슈어 전단지와 같죠.

카탈로그는 웹사이트 파트너사를 통해 자동으로 불러올 수도 있고, 데이터 피드를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혹은 내가 홍보하고 싶은 제품을 각각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보통 데이터 피드를 등록해서 자동으로 불러오는 방법과 수동으로 제품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곤 해요.

다만, 그중에서도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자동으로 끌고 올 경우, 본인이 원하는 이미지가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정 이미지를 원한다면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이 좋죠.



여기까지 하면 샵 등록은 모두 끝입니다.

이후에는 페이스북에서 계정 검토에 들어가고, 이슈가 없다면 바로 샵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샵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직접 샵을 등록해보는 것도 빠른 습득에 도움이 됩니다.

실습은 아래 영상에서 확인해 주세요.


페이스북 샵 탭 이론&실습
매거진의 이전글 페이스북 픽셀 활용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