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이리 Oct 13. 2023

우리, 희나

written by 오한숙희



우리나라 사람이 쓴, 자폐 스펙트럼 관련 에세이는 대부분 중증 발달장애 아동을 키우는 부모가 쓴 것이다.


나는 가끔 이 같은 책을 읽지만 책을 읽으며 마음이 편한 적은 별로 없다. 때때로 위로의 손길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나는 소외된다. 애써 노력해도 나는 작가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나는 다가갈 수 없다. 나는 그저 시늉만 하고 있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돌처럼 차가워졌다. 그러다 이 문장을 만났다.

 

코로나가 한창일 때, 또다시 동반 자살 보도가 있었다. 나중에 그 자녀의 장애가, 주위의 부러움을 살 만큼 경증이었다는 것을 알고 의아했다. 그 엄마의 맷돌은 매우 가벼울 거라는 주위의 부러움 탓에 그 엄마는 '도망치고 싶다'라고 고백할 데가 어디에도 없었던 건 아닐까.


내 아이의 경우, 경증이라는 말을 붙이기에도 민망한 수준이다. 보통의 아이. 나는 아이를 이렇게 부른다. 보통의 아이. 여섯 살 나이에 아이는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받았다. 국내에서 유명한 자폐 전문의로부터 받은 진단이었다. 자폐 기준점을 살짝 초과한 경미한 자폐. 이게 내 아이의 의학적 정체성이다. 제 입으로 밝히지 않는다면 아무도 알아채지 못하는 상태, 여전히 진행 중인 아이러니다.


“겁이 나요.”
나라도 겁이 났을 것이다. 얼마나 놀랐을 것인가.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우리가 포기하게 될까 봐 겁이 나요.”
오로지 그 차에 시선을 꽂은 채 나직한 목소리로 하는 그 말이 내 귀에 기도처럼 들렸다. 두려움을 고백하며 포기하지 않게 해달라고 비는 기도 같았다.


센터에 들어오길 거부하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곳저곳 전전하다 결국 지금의 센터를 찾은 청년을 기다리다 던진 원장 선생님의 말이었다. 나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소외감을 비로소 내려놓을 수 있었다. "포기하게 될까 봐 겁이 나요."라는 말. 내게는 "주저앉을까 봐 겁이 나요."와 다름없었다. 내 진심이었다. 나는 아이의 정체가 드러날까 전전정 긍하는 겁쟁이. 아이가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지금껏 이뤄온 우리의 일상이 송두리째 날아갈까 봐 두렵다. 어떤 이유든 우린 모두 소수이며 약자다.    


책에는 작가의 어머니에 대한 설명이 종종 등장한다.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말을 하게 한답시고 말이 안 되는 일을 하고 있는 가방끈 긴 딸과, 그 딸을 어머니로 둔 손녀를 안쓰럽게 바라보는 실전 양육의 베테랑인 어머니"였다. 나는 작가의 어머니가 희나에게 남긴 유산이 "올, 잘했지."라고 믿는다. 미래를 향해 나갈 수 있는 말, 기도 같은 말, 소수이자 약자에게 힘을 주는 말.


어머니 눈에 희나의 일거수일투족은 다 '올치'이고 '잘했지'였다. 할머니와 지내는 시간이 많았던 희나는 세상에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이 '올치'와 '잘했지'였다.
(중략)
희나에게 '올치, 잘했지'는 어떤 의미일까. 행위 하나가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마침표? 자신이 한 게 맞는지에 대한 확인? 잘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건 그 말에 힘입어 다음 행위들이 계속 이어진다는 것이다.
(중략)
'올치, 잘했지', 이 말을 듣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칭찬은 귀로 먹는 보약이다. 그렇다면 이 말을 굳이 아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올치, 잘했지'가 현재가 아닌 미래로 관점 이동을 돕는 촉매제가 된다면 망설일 이유도 없지 않을까. 기도 같은 것이니까.



'올지, 잘했지', 이 말은 내게도 위로가 된다.
실전 양육의 베테랑인 어머니가 나에게 건네는 위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