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갱 Jun 29. 2020

#비즈니스 - 패시브인컴vs액티브인컴

격렬하게 일하기 싫다. 근데 돈은 있었으면 좋겠다.

내 목표는 40살 이후의 삶은 근로소득 중심의 삶에서 벗어나 경제적 독립을 꿈꾸는 것이다.

언제나 어디에서나 그런 이야기를 심심찮게 이야기하고 다니고 있는데, 실제 그런 삶을 살기 위해 많은 시간을 일을 하면서 보내고 있다. 일하기 싫어서 일을 한다니 역설적인 이야기이지만 마케팅에서 짬밥챙겼더니 현실적으로 가능해 보인다.

마케팅을 업으로 삼고, 광고대행사에 있다 보면 엄청나게 다양한 사업군을 만난다. 아무래도 그 덕에 가능해 보이는 걸지도?


요새는 패시브인컴이라는 것이 유행을 하고 있다. 패시브인컴을 쉽게 보자면 불로소득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온다 라는 개념이다. 요 근래에는 패시브 인컴이라는 단어를 여기저기서 많이 쓰고 있는데, 아무래도 코로나19가 삶의 바운더리를 많이 변화시켰고, 온라인의 중요성이 너무나도 강조되면서 새로운 일하기 방법들이 떠오르면서 돈 버는 수단에 대한 이야기가 재조명받기 때문인 것 같다. 아무튼 패시브인컴이라는 개념은 도대체 무엇이고 무엇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아보자.


패시브인컴 vs 액티브인컴


패시브인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액티브인컴부터 알아야 한다. 액티브인컴(Active Income)은 행동하는 시간을 통해서 얻어 오는 수입으로 근로소득을 이야기한다. 즉, 정해진 시간에 근로한 대가를 수익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와 반대의 개념인 패시브인컴(Passive Income)은 행동과 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난 수입을 이야기한다. 패시브인컴의 경우에도 노동은 필요하지만 노동의 대가가 행동과 시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으로 돈을 버는 경우들을 이야기하는데, 특이점은 내가 일하고 있지 않는 시간에도 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패시브인컴이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시간 대비 효율을 만들 어 낼 수 있을뿐더러 액티브인컴으로 버는 소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부자가 된다는 말이 아니라 내가 벌어들이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자.)


패시브인컴은 어떻게 할 수 있는 건데?

사실 제일 중요한 것은 패시브인컴을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가가 중요하다. 우선 내 어린 날의 패시브인컴을 예로 들겠다.

요즘에도 가끔 강의를 가거나 컨설팅을 가면 내 자랑을 우스갯소리로 하기도 하는데, 영업하던 때를 이야기한다.

"그땐 잠을 잘 수 없었어요. 자꾸 짤그랑 소리가 들려서 잠을 잘 수 없었는데, 통장에 돈 쌓이는 소리 때문이었어요."

나 영업할 때에 팀 하나를 운영하게 되면서 내가 관리하는 매장이 늘어나버렸다. 그만큼 팀원도 관리해야 했고, 그만큼 소득의 구조도 바뀌었다. 내가 직접 팔아야 하는 시간에 관리라는 업무가 추가되면서 내가 직접 팔아야 하는 시간이 줄어드는데 내 밑의 영업사원들이 팔면 일정 부분을 내 수익으로 가져가는 구조였다. 그렇기에 매장의 숫자도 판매 실적도 그리고 영업사원들의 수도 나에겐 매우 중요했었다. 그들이 팔면 내가 돈을 버는 구조.

그러다 영업을 관두고 장사를 하게 되면서 내가 했었던 일 중에 하나는 다단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휴대폰 케이스를 판매했었는데, 영업사원들이 구매할 경우 타사에서 구매하면 받을 수 있는 포인트를 현금으로 주겠다고 꼬셨고 그렇게 대신 판매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그 사람들이 소개해주는 다른 판매자들이 생기면 추가적으로 판매 건당 수익을 별도로 계산해서 줬었다.

내가 직접 판매하는 시간을 줄이고 나 대신해서 판매해주는 사람들을 늘려나간 것이다. 물론 이 방법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매일 같이 택배만 싸고 있었으니까.(물론 택배만 싸는 내 삶은 내가 원하던 삶이 아니다라며 그만둬버렸는데 아직도 후회하고 있다. 그때가 즐거운 거였어.)


이러한 사례가 사실 패시브인컴과 맞닿아있다. 나는 판매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내가 하는 일이라고는 대신 팔아줄 사람과 매장을 찾아다니는 일이었고 어느 정도 만들어둔 구조에서는 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쯤 되면 그래서 지금은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건데?라는 볼맨 소리가 나올 것 같으니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들을 이야기해보자.


SNS를 하면 돈이 된다.


예를 들면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페이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유튜버 등이다. 이들은 광고 수익을 만든다. 이것들을 약간 구체적으로 풀어서 이야기해보면,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광고 배너가 있고, 당신의 유입자를 통해 광고를 하고 싶어 하는 광고주들을 통해 체험단이라는 수입을 만들 수 있게 한다.

페이스북 페이지 : 페이스북도 유튜브처럼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팔로워가 많으면 게시물 업로드 등으로 다양하게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번에 페이스북에서 '샵스'라는 기능을 오픈해서 이커머스 기능을 만들어뒀다.(내가 이 날을 위해서 페이지를 안 팔고 존버 했었지. 덕분에 페이지 판매하면 단가가 짭짜리 하다. 하지만 팔지 않고 내가 이용해 먹을 생각이다. ㅎㅎㅎㅎㅎ)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 역시나 팔로워가 있으면 팔로워를 통한 유입을 기대하고 광고주들이 광고를 의뢰한다.

유튜버 : 애드센스(구글에서 만든 광고 수익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만든다.

네이버&다음 카페 : 역시나 회원이 많으면 배너 광고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SNS는 팔로워 즉 팬덤을 형성한 이들을 활용해서 광고를 하고, 광고를 통해서 수익을 일으키는 형태다.

특히나 여기서 좀 더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바로 애드센스라는 존재다. 애드센스는 구글에서 만든 서비스인데, 애드센스는 유튜브뿐만 아니라 사이트에 배너를 삽입해서 사이트에 들어온 유저들에게 내가 설치한 배너를 통해 광고를 보거나 클릭을 하고 수익을 만들게 한다. (애드센스에 대해서는 좀 더 전문적으로 다뤄야 하니 다음에 다루는 것으로 하자.)


퀀트 투자 : 주식도 똑똑하게 해야 한다.


근로소득이 있으면, 자본소득이라는 것도 있다. 근로소득은 앞서 말했듯이 내가 일을 함으로 얻는 수익이라면 자본소득은 돈이 돈을 만드는 것이다. 자본소득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투자'라는 개념을 빌어 돈을 버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부동산, 주식, 채권 등인데 특히나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주식 쪽이다.(동학 개미 운동의 제일 끄트머리 어딘가에 나도 있는 셈이다.) 주식을 잘해서 추천하는 게 아니라 나도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긴 한데 조금 다르다. 퀀트 투자에 대해 공부 해보길 바란다.  지금 세상이 어느 세상인데 아직도 투자를 직접 하는가? 투자도 자동화 시대다.(펀드매니저는 곳 직업을 잃을 지도...)

간단하게 우리가 주식하는 형태를 보면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로 분류할 수 있다.

직접 투자는 말 그대로 내가 직접 투자하는 형태이고, 간접투자는 다른 사람이 대신 운용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퀀트 투자는 그 중간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내가 직접 짠 알고리즘으로 증권사에서 결제 API를 끌고 와서 직접 만든 주식 매매 프로그램을 통해 주식을 사고파는 형태다.

나도 요것은 개념을 인지하고 몇몇 친구들과 함께 스터디를 만들어서 해결해가고 있으니 추후에 후기를 올려주도록 하겠다.


내 휴대폰에 들어 있는 직접 찍은 소장용 사진들도 판다
: 디지털 파일 매매


요즘에는 갖가지 파일들 매매가 쉬워졌다. 예를 들어 내가 가진 지식을 PDF로 정리해서 PDF를 팔기도 하고, 영상 소스는 물론 아이콘, 사진 파일, PPT 등등 파일 판매가  쉬워졌다.

얼마 전에는 디자인 목업들을 파는 사이트도 생겼던데(내가 해보려고 기획하고 만들던 중이었는데... ㅠ 또륵) 고퀄리티 목업 파일을 아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

다시 돌아와서 내 지인 중에 하나는 영상 소스를 판매하는 사이트를 홈페이지 빌더로 쉽게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는데 꽤 쏠쏠하게 팔리고 있었다.

물론 그중에 으뜸은 영상이다. 코로나로 갈길을 잃은 강사들이 온라인으로 빠르게 흡수되고 있다. 강의 영상들을 찍어서 강의 판매 사이트에 업로드하고 강의 수익을 얻어가고 있다.

(검색하면 사이트들 다 나오니 검색해보시기를...)


무튼 더 쓰면 내가 잠 오니까 오늘은 이렇게 3가지 타입을 정리해봤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 3가지 타입을 중점으로 다음엔 갖가지 서비스들에 대해서 알려줄 수 있도록 하겠다.

작가의 이전글 #스마트워크 - 재택근무를 위한 세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