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itergrapher Apr 14. 2017

모두가 '프로'여야 할 이유는 없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오늘, 40대 후반의 한 중년 남성이 우리 회사 경비 직군에 이력서를 제출했다.

 

 서울 중상위권 대학을 졸업하고, 작년까지 이름을 대면 알만한 기업의 부장으로 근무했던 그에게는 가정주부인 아내와 고교생, 중학생 두 아들이 있다. 자세한 연유는 알 수 없지만 권고사직을 받았던 그는 앞으로 양육해야 할 날이 많은 두 아이와 앞으로 40년 가까이 살아야 할 부부의 노후가 걱정이었을 것이다. 직무에 비해 오버스펙인 것 같아 그에게 지원 동기를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많지 않은 보수지만, 큰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일흔 까지는 거뜬히 다닐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짧고도 담백한 답변이었다.



 그는 역사상 가장 많은 인구가 출생했다던 해에 태어났다. 동년배의 수가 무려 100만 명. 부모세대와 달리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대한민국 최초의 세대였고, 치열한 경쟁을 거쳐 나름 이름 있는 대학에 들어왔다. 졸업할 무렵, IMF의 여파가 온 나라를 흔들었지만, 취업 전쟁에서도 그는 살아남았고 20년 가까이 큰 실수 없이 애사심을 가지고 열심히 회사 생활을 해 왔다.


 하지만 겨우 쉰을 목전에 앞둔 그에게 내려진 낙인은 '가치 대비 너무 비싼 존재'.

 효율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가성비가 낮은', 혹은 '동급 대비 성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 주어질 자리는 없었던 것이다.


 아주 어린 시절 방영된 <TV 손자병법>이라는 드라마를 기억한다. 화이트칼라 직장인들의 애환을 담은 <미생>의 조상쯤 되는 작품인데, 원로배우 오현경 씨가 50대 '만년 과장' 역할을 맡아 열연했었다. 그렇게 90년대 이전에는 '평생직장'이라는 말이 있었을 만큼 직장 내에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며 함께 일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과거와 달리 '만년 과장'은커녕 '정년퇴임'이라는 말조차 쉽게 들을 수 없다. IMF를 거치며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만든다는 미명 하에 구조조정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근속연수가 오래된 '만년 과장'과 '만년 차장'을 내보내며 대량 실직을 양산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충격적이었던 이런 유형의 실직은 이제 우리 주변에서 아주 은밀하고 익숙한 방법으로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 앞의 사례처럼 40대 실직은 더 이상 낯선 말이 아니다.


KBS <TV 손자병법> 맨 뒤 책상에 앉아계신 분이 무려 과장님이다.


 그들은 단지 열심히 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장에서 내몰린 걸까.

 

 판이 계속 반복될수록 남아 있는 의자 수가 줄어드는 '의자 뺏기 게임'처럼, 위로 올라갈수록 자리가 줄어드는 일선 기업들의 조직 구조는 대다수의 탈락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 누구나 기대 이상의 노력을 하고, 누구 하나 결격 사유가 없다 한다한들 말이다.


 '프로'만이 살아남는다.


 그렇게 살아남은 소수의 누군가에게는 분명 듣기 좋은 말이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by 박민규(2003)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이 소설의 주인공은 1969년 생이다.

 인천에 살던 그가 중학교에 입학하던 1982년, 프로야구가 출범한다.

 당연히 인천에 연고를 둔 <삼미 슈퍼스타즈>를 응원하던 주인공은 자신이 응원하던 팀이 터무니없는 성적으로 만년 꼴찌를 면치 못하고 창단 3년 만에 매각되자 큰 충격에 빠진다.


 모든 팀이 우승을 목표로 한 슬로건 하에 열심히 뛸 때, <삼미 슈퍼스타즈>는 유독 '야구를 통한 자기 수양'이라는 다소 한가로운 슬로건을 기치로 프로답지 못한 실력을 시즌 내내 보여주었다. 그렇기에 이 팀의 저조한 성적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렇게 만년 꼴찌팀이라는 이유로 언론에 까이고, 스포츠 해설위원들에게 조롱당하고, 다른 팀 팬들에게 야유를 받았지만 그들만의 야구를 고집했던 <삼미 슈퍼스타즈>. 결국 팀의 매각이 결정되고, 이 팀의 고별 경기가 치러진 날, 고등학생이 된 주인공은 학교를 결석하고 슬픈 마음으로 경기를 보고 돌아와 아버지께 이렇게 말씀드린다.


 "무슨 일이 있어도 반드시 좋은 대학에 가겠습니다."


 그날 밤, 그는 잠 못 이룬 채 많은 생각을 한다. 왜 프로의 세계가 아닌 마이너리그에 속한 것이 항상 서러울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서. 야당 의원이 국회의원으로 있는 인천 남동구가 왜 낙후되었는지, 왜 과장인 아버지가 부장인 동창에게 굽실대야 하는지, 왜 성적이 나쁜 <삼미 슈퍼스타즈>가 동네북처럼 웃음거리가 되어야 하는지. 그렇게 무슨 일이 있어도 프로의 세계에 편입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그는 결국 우수한 성적으로 서울대(소설에서는 '서울대'라고 명시하지 않지만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다.) 경영학과에 입학하게 된다.



 약관 스무 살의 나이에 프로의 세계에 안착한 그는 무난한 대학생활을 마치고 국내 유수의 대기업에 입사한다. 하지만 순탄할 줄 알았던 그의 삶은 그 시절 불어닥친 IMF 한파로 무너지게 된다. 몸과 마음을 바쳐 열심히 일하지만, 결국 마지막 3차 구조조정의 덫을 피하지 못한 채 서른 살의 젊은 나이에 거리로 나앉는 신세로 전락한다.


 결코 그가 열심히 살지 않았던 게 아니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프로'인 세계에서 그는 '프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뿐이다. 그것이 냉정하리만치 결과로만 말하는 프로 세계의 생리였기 때문에.



 주인공에게는 유년시절부터 <삼미 슈퍼스타즈>를 함께 동경하고, 서울대에 함께 진학한 오랜 친구가 한 명 있다. 복잡한 가정사로 인해 대학교 2학년 때 돌연 잠적한 그 친구는 10년 만에 거지 꼴로 나타나서 그에게 말한다.


 "삼미의 야구를 우리가 부활시켜보자."


  실업에 이혼까지 겹쳐 마음이 누더기가 된 주인공에게 친구의 말은 너무나도 뜬금없이 들렸다. 자신은 다시 재기하여 '프로' 세계로 다시 편입하려 발버둥 치고 있는데, 팔자 좋은 친구는 10년 만에 나타나 PC방이나 들락거리며 한가한 소리나 하고 있었기에.



 "너, 미국의 가장 큰 수출품이 뭔지 아니?"


 친구는 이런 질문과 함께 <삼미 슈퍼스타즈>의 숨겨진 이야기를 꺼낸다. 미국이 전 세계에 보급하려는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자본주의의 프랜차이즈'이고, 이를 위해서 전 세계에 '프로' 정신을 고취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기본적으로 경쟁과 효율을 중시하기 때문에 모두가 최선을 다해 '프로'가 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프로야구'라는 것은 스포츠를 통해 대중들에게 이 '프로' 의식을 은연중에 심어주는데 가장 쉽고도 강력한 무기인데, <삼미 슈퍼스타즈>는 이런 미국의 계획을 알고 일부러 '야구를 통한 자기 수양' 따위의 비경쟁적 슬로건과 느슨한 팀 운영으로 저항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었다.


 그렇게 모두가 뼈를 깎는 연습을 거쳐 이미 수준급의 실력을 갖춘 프로 리그에서, 어쨌거나 매년 1등부터 꼴등까지 순위는 매겨지고, 그렇게 매겨진 순위는 지켜보는 이들에게 왜곡된 시각을 심어준다.


 1등은 똥줄이 타도록 존나 열심히 한 놈,
 2등 이하 상위권은 그럭저럭 열심히 한 놈
 중위권은 그냥저냥 한 놈
 하위권은 평균 이하로 노력한 놈,
 꼴등은 남들 할 때 존나 처 논 새끼.


 이러한 현상은 구성원이 누구냐와 관계없이 사회 모든 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나름 상위 10% 내의 비교적 높은 성적으로 인 서울 대학에 진학하더라도 그 안에서 새로운 경쟁이 펼쳐지고, 전문직을 갖거나 대기업에 입사하더라도 또 고만고만한 사람들끼리 다시 한 줄 서기 경쟁을 하여 누가 더 '효율적'이고 '쓸모 있는' 자원인지 평가받는 것이 오늘날 우리네 삶이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강하지만 어떻게든 살아남는 이가 '프로'가 되는 이 시스템은 바로 대다수의 패배자를 낳는 오늘날 사회가 돌아가는 방식이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의 마지막 장면은 이렇다. 주인공과 친구에 의해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팀이 새롭게 재출범한다. 미사리의 한 야구 경기장에서 그들은 PC방 죽돌이들과, 일본인 할아버지, 그리고 만두집 사장 등 전혀 야구를 잘 할 것 같지 않은 친구들을 모아 출정식을 갖고 야구 경기를 한다. 투수의 공은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들어오기 조차 힘들고, 외야수들은 플라이볼 하나 제대로 잡지 못한다. 그래도 그들은 진심으로 행복하다.




 어떤 세상이 더 좋은 세상인지 사람마다 그리는 모습은 다 다를 것이다. 하지만 모두에게 좋은 세상은 비록 효율이 조금 떨어지고, 조금 어설프더라도 다 같이 갈 수 있는 사회가 아닐까 싶다. 배의 속도를 조금 높이자고 승객 중 뛰어내릴 사람을 정하는 것보다 조금 느리게 목적지에 도착하더라도 모두가 함께 가는 것이 더 좋은 여정이듯이. 재창단된 <삼미 슈퍼스타즈>의 어설프지만 행복한 야구 경기처럼, 조금 덜 '프로페셔널'하더라도 약간의 실수는 서로 용납해주고, 대다수의 구성원이 좌절하지 않을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되어갔으면 하고 바라본다.



※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표절 시비에 휘말렸고, 작가 박민규는 지난 2015년, 인터넷에 올라온 글의 일부를 소설에 도용했다고 인정한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회사생활에 지칠 때마다(한 2-3년에 한 번씩?) 꺼내서 읽어보는 힐링 북이기에 브런치에 소개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tvN '도깨비' 소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