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플레버PlayLaboR May 21. 2022

놀다보면 친해진다1.

고무신 놀이에세이

놀이는 ‘나’와 ‘또 다른 나’의 만남에서 시작 된다. ‘또 다른 나’는 친구일 수도 있고, 어른일 수도 있고, 책일 수도 있으며 둘레의 친한 물건일 수도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늘 거기에 있는 바람일 수도 있고 온도일 수도 있다. 그것이 무엇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친구와 어울려 큰소리를 내며 뛰고 달리며 세상의 가운데에서 자기를 알리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보는 이의 얼굴빛도 환해진다. 아이 혼자서 논다고 혹은 멍하게 앉아 있다고 걱정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아이도 분명 지금 놀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를 살리는 중요한 순간을 살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서 생존의 방법을 배운다. 농경수렵 사회에서는 생활의 기술을 배웠다면 지금은 생존의 본능을 일깨우는 방법을 놀이를 통하여 배우고 있다. 

아이들이 무엇을 하고 있던 그 순간을 잘 살피면 아이들이 저마다 자기를 살리기 위한 움직임을 읽을 수 있다. 아이들이 친구와 어울려서 노는 놀이를 많이 하지 않는다고 어른들은 걱정을 늘어놓는다. 어울려서 함께 노는 것은 나와 또 다른 나를 몸으로 만나는 것이고, 상대의 반응에 따라 나의 몸 쓰임이 시시각각 변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놀면서 서로를 자세히 보고 듣고 느끼고 행동하듯 어른들도 아이들의 한 호흡 한 순간을 잘 살펴보면 아이에게 더 가까이 다가 갈 수 있고 아이의 입장에서 함께 놀 수가 있다. 함께 놀기 위해서는 서로 끊임없이 수다를 떨어야한다. 이기는 방법에 대해 합의를 하여야 하고 놀이판에서 죽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서로 제안하고 또 받아들여야 한다. 미처 이야기하지 못한 새로운 상황이 생기면 놀이를 멈추고 또 이야기해야 한다. 이때 목소리를 높이기도 하고 논리적으로 자분자분 얘기도 한다. 어떤 때는 삐쳐서 울거나 화가 나서 놀이판을 떠 날 수도 있다. 새롭게 만들어 내는 규칙과 변신하고 진화하는 규칙이 놀이를 살아있게 만들어 준다. 

이 과정이 함께하는 첫걸음이고 이 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은 자기를 내어 놓고 서로를 받아들이는 연습을 한다. 이 때 어른들이 개입해서 일방적으로 규칙을 제시해서 그대로 하게하고 심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면 이 놀이판은 아이들의 놀이판이 아니라 어른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시간이 되고 만다.

함께 놀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세 가지는 때[時間]와 곳[空間]과 친구[人間]이다. 시간, 공간, 친구가 있으면 아이들은 대부분 저절로 자연스럽게 논다. 간혹 어떤 놀이를 어떻게 할지 몰라 자기에게 익숙한 것(핸드폰 게임, 책 읽기, 무작정 발길질하기, 흙먼지 만들기, 짜증내기)만 고집하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 

이때 어른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견한다. ‘놀아주기’ ‘놀이 가르치기’ ‘놀이 연습시키기’ ‘놀라고 말로 잔소리하기’등이다. 그러나 정말 필요한 것은 놀고 있는 엄마 아빠 교사의 모습을 ‘보여주기’이다. 아이들이 함께 놀기로 들어오는 가장 빠른 길이다. 

어른들이 노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아이들이 놀고 싶어 하는 마음이 생기게 하는 것이 가장 큰 것이다. 다음으로는 아이들이 어른들의 노는 모습에 잔소리하고 참견하며 서서히 자기들의 놀이로 가져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아이들과 어른들은 어느새 어른과 아이로 편을 나눠져 심한 경쟁 속에 들어가 흥분하고 큰소리 치고 급기야 아이와 어른이 싸우기 까지 한다. 놀이가 만들어 주는 최고의 장면이 아닌가? 평등과 평화와 배려에 대한 이야기를 굳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놀이판에서는 저절로 알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 놀이판이 아이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주도 할 수 있는 놀이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른과 아이가 똑 같은 발언권을 가져야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어른들이 놀지 않고 있다. 마을을 달리고 산을 뛰어 넘고 강을 잡고 골목을 호령하던 놀이대장은 어디로 갔을까? 주머니가득 잘그락 거리는 구슬이며 잘 접은 딱지를 가득 채우고 어깨를 으쓱이던 놀이 밖에 모르던 그 아이는 외계에서 온 소년이었던가? 자기키를 훌쩍 넘는 고무줄을 발로 낚아채어 주변을 깜짝 놀라게 했던 소녀는 어른이 되어서 딴 세상으로 가버렸나? 손이 보이지 않는 빛의 속도로 공깃돌을 쓸어 담던 노는 아이들은 그 힘을 어디에 다 주었을까? 이들은 지금도 우리 곁에 살고 있는데 놀이능력만 잃어버리는 이상한 음식을 먹은 것일까? 일하느라 공부하느라 숨어 버린 놀이유전자를 다시 살려 내어야 한다. 아이들을 위해서 그리고 더 적극적으로는 어른들 스스로를 위해서 놀이본능을 살려내야 한다. 지금의 어른들도 새로운 생각 재미있는 생각으로 주변을 놀라게 했던 어린 시절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기상천외한 낙서를 하고 지붕 위를 달리고, 아슬아슬한 담장 위를 눈을 감고 걷고, 인도와 차도 분리대를 평균대로 여겨 중심 잡기 놀이를 했다. 


작가의 이전글 살살살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