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트렌드헌터 정영민 Mar 02. 2023

다른 사람들은 얼마나 벌까?(2)

근로소득, 종합소득, 통합소득을 0.1% 단위까지 알려드립니다.

이전 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세금 신고를 하는 분들의 평균 소득과 중위 소득, 그리고 구간별 소득수준 경계값 (커트라인)에 대해 작성을 해보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소득 분위별 소득 인상률과 소득별로 실제로 세금을 어느 정도로 내는지에 대해 이어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 소득 분위별 평균 소득 인상률


근로소득, 종합소득, 통합소득 분위별 '평균' 소득 인상률에 대한 자료를 보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평균에 대한 인상률이기에 중위 소득 인상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부분 다시 한 번 참조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소득 1~10분위는 아시겠지만 짧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소득을 10% 단위로 나눠 구분해둔 것으로, 1분위가 가장 소득이 낮은 하위 10%, 10분위가 가장 소득이 높은 상위 10%로 이해하면 됩니다.  


먼저 근로소득 소득 분위별 인상률입니다.  



근로소득 평균 인상률을 보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까지는 오히려 소득이 적은 1~4분위 사이인분들이 연평균 5% 이상씩 빠르게 성장을 했습니다.  


오히려 소득 10분위에 속하는 근로소득 인상률은 3% 미만으로 높지 않았는데요.그러다 코로나가 터진 이후 분위기가 바뀌어서 근로소득 1~2분위인 분들은 오히려 전년도보다 소득이 줄었고, 근로소득 10분위안에 드는 분들은 평균적으로 3% 가까이 성장을 했습니다.  



이어 종합소득 인상률 입니다.  


근로소득 인상률은 매년 꾸준히 상승하는 것과 다르게 종합소득 인상률은 매우 들쭉날쭉한 모습입니다.특히 2017년의 1분위 종합소득자의 소득이 37%가 감소한 건 잘못 기재된 게 아닐까 의심이 들정도로 충격적인 감소였습니다.      


종합소득자는 10분위 조차 2014년, 2018년엔 역성장, 2016년엔 0% 성장 등 안정적인 성장 곡선을 그려가지 못 한 모습입니다.  


그런데 코로나 터지고 분위기가 극적으로 바뀐 모습이 보이는데, 2020년에는 1분위인 분들은 무려 17.8%나 전년보다 소득이 감소했으며 10분위를 제외하곤 모든 구간에서 소득이 감소했습니다.  


오히려 종합소득 10분위인 분들은 2.9%가 성장하여 2018~2019년에 비해 크게 성장을 했습니다.

위기의 순간이 왔을 때 상위권에 있는 분들이 강세를 보인단게 수치로도 증명이 됐습니다.      


결국 코로나 시기에 누군가는 수혜를 보고 누군가는 피해를 봤는데, 종합소득자는 10분위 제외하고는 모든 구간에서 타격을 입었고 특히나 소득이 낮은 1~4분위 분들이 직타격을 받았음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통합소득 인상률입니다.  


전체적으로 매년 소득이 올라가는 모습이나 2020년에는 1~3분위에 속하는 분들의 소득이 감소했습니다.그리고 통합소득으로 봐도 10분위인 분들의 소득이 3.4%로 가장 높게 성장을 했구요. 

코로나 시기에 소득 격차가 커졌음이 확실하게 확인이 됩니다.


4. 소득 대비 실제로 세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번에는 근로소득, 종합소득, 통합소득의 실효세율에 대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소득세율이 30%면 내가 1,000원 벌면 300원을 고스란히 납부한다 생각하는데요.

실제로 세금 납부 할 때보면 이와는 괴리가 존재합니다. 이런 저런 공제 항목이 있으며, 소득 구간별 소득세율 (혹은 법인세율)이 다르게 적용되는 영향 등이 있는데요.      


그래서 내 소득에서 실제 세금으로 납부한 비율이 궁금할 듯하여 실효 소득 세율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실효 세율의 사전적 의미는 실효세율은 각종 공제나 감면 조처를 받은 뒤 기업이 실제 납부하는 세율을 따진 것으로, 명목상 세율보다 실질적인 세 부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입니다.   



근로소득, 종합소득, 통합소득 평균 납부액과 중위 납부액 입니다.

2020년 기준 근로소득자들의 평균 소득세 납부액은 227만원이고 중위값은 19만원에 불과 합니다.

2020년 기준 종합소득자들의 평균 소득세 납부액은 473만원이고 중위값은 27만원에 불과 합니다.

2020년 기준 통합소득평균 소득세 납부액은 287만원이고 중위값은 26만원에 불과 합니다.      


공통적으로 평균 소득세 납부액에 비해 소득세 납부 금액의 중간치에 해당하는 분들의 납부 금액이 매우 낮습니다. 아무래도 소득 구간별 세율 등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부분으로 보이구요.

소득세 납부 평균 금액은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데반해 중위값은 들쭉날쭉한 편입니다.      


그러면 소득세 실효세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소득세 실효세율은 꾸준히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2020년 기준 근로소득자의 실효세율은 5.9%, 종합소득자의 실효세율은 14.9%이고 통합소득으로 보면 7.8%를 소득세로 납부하고 있습니다.  


종합소득자가 근로소득자들보다 3배 정도 소득세 비율이 높다 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자는 100원의 이익을 내면 평균 15원 정도는 소득세로 토해낸다 보면 될 듯 하구요.      


5. 종합 정리


- 2020년 근로소득 신고인원은 1,950만명(전체 노동자 2,033만명의 95.9%)이고, 신고된 근로소득 총액은 746조원 (국민계정 임금총액 798조원의 93.4%)

- 종합소득 신고인원은 785만명, 종합소득 총액은 249조원

- 통합소득(근로소득 또는 종합소득, 중복제외)은 신고인원 2,458만명

- 2020년 1인당 근로소득 평균은 3,828만원이고 중위값은 2,868만원

- 2020년 1인당 종합소득 평균값은 3,169만원, 중위값은 1,236만원

- 2020년 1인당 통합소득 평균값은 3,697만원, 중위값은 2,544만원

으로 평균값이 중위값보다 상당히 높다.

- 2020년 기준 근로소득자 연간 소득 1억원 이상이면 상위 5%, 8천만원 이상이면 상위 10%

- (근로소득) 상위 1% 1억5,600만원, 상위 5% 9,800만원, 상위 10% 7,800만원 이상

- (통합소득) 상위 1% 1억7,600만원, 상위 5% 9,900만원, 상위 10% 7,600만원 이상

- 2014~19년 분위별 근로소득 인상률은 하후상박이지만, 2020년에는 소득 상위 10분위의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1~3분위 구간은 소득이 감소하는 등 편차가 커진게 사실이다.

      

정도 입니다.

재미 없는 내용일 수 있지만 참조가 되는 부분이 있었으면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다른 사람들은 얼마나 벌까?(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