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연 Sep 10. 2024

1-1 명사중심의 언어?

영어 or 한국어

“서양 문화는 명사에 더 초점을 맞추며, 동양 문화는 동사에 더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차를 마시고 있고 더 마시기를 권하고 싶은 상황을 생각해 보자:

서양식 접근: “More tea?" 명사를 중심으로 말하며 이는 물체(차 자체)를 강조합니다.

동양식 접근: “더 마실래?" 동사를 중심으로 말하며, 이는 행동(마시는 행위)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언어적 차이는 어머니들이 아이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도 확장될 수 있습니다:

서양 어머니의 예: 블록 놀이를 할 때, "이건 네모야. 저건 세모야. 빨간 블록을 찾을 수 있니?"라고 말합니다. 여기서는 물체를 이름 짓고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동양 어머니의 예: 같은 상황에서, "이걸 쌓아볼까? 이걸 위에 올려볼 수 있어? 이걸 굴려볼까?"라고 말합니다. 여기서는 행동과 물체로 할 수 있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춥니다.

다음의 사례를 비교해 보자.

1. 한국어(동양):

   - 상황: 어머니가 아이에게 오렌지를 먹으라고 말하는 경우

   - 한국어: "오렌지 먹어"

   - 특징: 수량을 특별히 언급하지 않습니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오렌지 먹어"라고 말하면, 아이는 보통 그냥 오렌지를 먹기 시작합니다. 얼마나 먹어야 할지, 몇 개를 먹어야 할지에 대해 추가적인 질문을 하지 않는다.

2. 영어(서양):

   - 상황: 유치원 교사가 아이들에게 과일을 먹으라고 말하는 경우

   - 영어로: "Eat some fruit"

   - 특징: 아이들이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 유치원에서 교사가 "Let's eat some fruit"라고 말하면, 아이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 "What kind of fruit do you mean?"

- "Can I have one banana?"

- "How many strawberries should I take?"

- "Is it okay if I eat two apple slices?"


한국어는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에서 맥락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 이들은 모호한 상황을 비교적 잘 받아들이며, 개별적인 요소보다는 전체적인 상황을 더 중요하게 여다.

반면 서양 문화에서는, 영어명확성과 구체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다. 의사소통 시 개별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추며, 정확한 수량과 종류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영어로 말할 때는, 구체적인 정보를 물어보자.

이는 언어 사용에서 명확한 표현과 정확한 수치 사용으로 나타나며, 자연스럽게 명사와, 단수,복수, 관사같은 개념이 발달다.

1. 단수와 복수

영어에서는 명사의 수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예시:

- "I ate an apple." (나는 사과 한 개를 먹었다.)

- "I ate apples." (나는 사과 여러 개를 먹었다.)

이 두 문장은 의미가 명확히 다릅니다. 첫 번째 문장에서는 사과 한 개를, 두 번째 문장에서는 여러 개의 사과를 먹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 "나는 사과를 먹었다." (한국어)

이 문장들에서는 사과의 수량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 셀 수 있는 것들은 수량에 관심을 가지자.

2.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영어는 셀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합니다.

예시:

- "How many apples do you want?" (가산 명사)

- "How much water do you need?" (불가산 명사)

개별성의 띄는 것은 가산명사고 그 외는 불가산으로 다. 대충. 완벽함을 버리자.

1) 개별성: 개별적으로 셀 수 있는 것들은 주로 가산 명사입니다.

   예: apple(사과), book(책), car(자동차)

2) 물질성: 액체, 기체, 또는 덩어리로 존재하는 물질은 주로 불가산 명사입니다.

   예: water(물), air(공기), sugar(설탕)

3) 추상성: 추상적인 개념이나 감정은 대체로 불가산 명사입니다.

   예: information(정보), love(사랑), happiness(행복)

4) 집합성: 집합적으로 인식되는 것들은 불가산 명사로 취급됩니다.

   예: furniture(가구), luggage(수하물), equipment(장비)

=> 명사를 바라볼 때는 그 단어가 개별성을 띄는지를 생각하자.

3. 관사 (a, an, the)

영어에서 관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시:

- "I saw a cat." (나는 고양이 한 마리를 보았다. - 불특정 고양이)

- "I saw the cat." (나는 그 고양이를 보았다. - 특정 고양이)

이 두 문장은 고양이의 특정성에 대해 다른 정보를 제공합니다.

더 복잡한 예:

- "A student in the class asked a question." (교실의 한 학생이 질문을 했다.)

- "The student in the class asked a question." (그 교실의 그 학생이 질문을 했다.)

첫 번째 문장은 불특정 학생에 대해 말하고 있고, 두 번째 문장은 이미 언급되었거나 알려진 특정 학생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영어는 한 개인지, 두 개인지 명확한 것을 좋아한다. 또한 명확한 그 놈에게는 ‘the’를 붙여주자.

이러한 언어적 특성들은 영어 사용자들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영어권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사물의 수량, 특정성 등을 더 명확히 구분하고 표현하게 된다. 이는 서양 문화가 개별성과 구체성을 중시하는 경향과 일맥상통한다.

반면, 한국어같은 동양 언어들은 이러한 구분이 덜 명확하고, 맥락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양 문화가 전체적인 맥락과 관계성을 더 중요시하는 것과 연관다.


이전 02화 1-0 영어는 S+V+O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