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발목의 만성 불안정에 대하여 ㅣ 발목염좌, 관절염

김지용 전문의의 수술  없는 척추 관절 치료, 수술 후 재활


만성 발목 불안정이란 무엇인가?


환자나 주변을 둘러보면 한 번 발목을 삐끗하고 나서 또 자주 삐끗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헛발을 딛는 것처럼 같은 작은 자극에도 불안정한 느낌을 받는다고 호소하곤 합니다.


Chronic Ankle Instability.  이런 상태를 만성 발목 불안정이라고 부릅니다.



만성 발목 불안정을 알아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환자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급성 발목 염좌 후 10~30%가 만성 외측 불안정성에 노출된다고 합니다. 이런 환자들은 단순 염좌 환자와는 다르게 예후를 평가하고 치료적 접근을 해야합니다.


게다가 발목 불안정성이 만성화되면 적극적인 움직임을 제약할 뿐만 아니라, 관절 연골이 쉽게 퇴행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기계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


만성 발목 불안정은 기계적인 요소와 기능적 요소가 모두 작용을 합니다.


기계적이라 함은 발목 주변의 인대가 만성적으로 늘어났다던지, 발목 관절의 퇴행성 변화와 같은 실제 조직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기능적 요소로는 고유감각 장애, 신경-근 조절 장애, 근력 부족이 포함되게 됩니다.



만성 불안정에 대한 치료


치료는 약해진 인대에 대한 치료부터 시작합니다. 만성 인대의 염증과 손상에는 침치료, 봉침치료를 실시해서 염증을 줄이고, 혈류 순환을 야기하여 인대의 회복을 촉진시킵니다. 연골 손상에는 이를 도와 줄 수 있는 한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브레이스와 테이핑에 대한 치료는 몇몇에서는 아예 효과가 없다고 하기도 하고, 약간의 안정 효과가 있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임상에서는 확실히 침, 봉약침, 치료 이후에 테이핑으로 보강을 해주는 것이 예후가 좋은 것 같습니다.


여기에 반드시 기능적 훈련도 함께 해야합니다. 고유수용성감각과 신경근조절 능력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BAPS 보드나 BOSU 를 이용한 동요 위에서의 안정성 훈련, 탄력 밴드를 이용한 근력 근지구력 훈련도 도움이 됩니다.


한발로 서있는 상태에서 캐치볼하기, 한발로 서서 밀어내는 연습하기, 불안정한 표면 위에서 스쿼트나 런지하기 와 같은 다양한 움직임으로 프로그램을 짜야 환자들이 지루해하지 않고 치료에 순응하게 됩니다.


한방재활의학과 전문의 김지용


학술활동

한방재활의학과 전문의

한방재활의학과학회 정회원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정회원

대한한의통증제형학회 정회원

한방초음파장부형상학회 정회원

FMS, SFMA certification

'움직임을 위한 가이드' 번역


외부활동

'한방재활의학과 진료실' SNS 채널 운영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칼럼 & IP

네이버 지식 iN 전문 상담 한의사

SBS 생활경제 건강 상담 한의사

메디컬리포트, ㅍㅍㅅㅅ 칼럼니스트

민족의학신문 '척추관절보감' 연재


봉사활동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트루드코리아

'KOMSTA' 봉사단 카자흐스탄

KCC 스위첸 - 김연아 아이스쇼

홍명보 자선축구경기 'Share the Dream Football Match'


SNS

Facebook facebook.com/spineteller

Blog l spinepain.co.kr

지식_iN l kin.naver.com/kimjeeyong

Brunch ㅣ goodbyepain.org

Instagram ㅣ instagram.com/kmd_kjy





매거진의 이전글 토미존서저리에 대한 5가지 잘못된 믿음 ㅣ 토미존수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