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ke Shin Oct 17. 2023

문제 해결 이란?

기획에 있어 가치 부여 하는 것

기획은 문제 정의만 잘해도 50% 했다고 봅니다. 즉 현상에 대해 본질(Root Cause)을 파악하여 문제 정의가 일의 출발점이라는 것입니다. 이후 유관부서와 협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플로우를 거치게 됩니다.



최근 고객사의 프로그램 수주 이후, 고객사에서 저희 회사의 미흡한 영역에 대한 VOC(Voice Of Customer)를 통보하였습니다. 내용을 보면 그동안 제품양산 진행하면서 쌓인 불만였습니다. 다만 굉장히 세부적인 코멘트가 아닌 High Level 메시지였습니다. 문제를 구체화해서 대응방안까지 수립해야 하는데, 이럴 때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됩니다.



먼저 VOC 기반으로 align 되는 양산제품을 검토를 하고 발생된 이슈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 이슈들을 기반으로 검토하면, 개발 관련 기본적인 역량(산출물 납기 지연, 주요 부품 불량에 대한 대응력, 고객사와의 소통 스킬 미흡) 등으로 문제점을 정의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현상에 대해 리뷰를 하고 발생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래 도출입니다. 이후 유관부서와 협의를 통해 문제정의를 합의하고 대응방안까지 도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문제해결 능력에서 중요한 것은, 문제를 보는 본인만의 관점입니다. 사물을 다각도로 꿰뚫어보는 식견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것은 다양한 업무 경험이 요구되지만, 평소 뉴스기사등을 읽으면서 저자가 결론을 내기 위해 어떤 로직/논리/관점으로 풀어가는지 파악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게 결국 인사이트가 많아지는 지름길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다만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것은 유관부서와 호흡을 통함 합의가 되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SW스킬의 중요성에 대해 글을 썼는데, 역지사지 마인드로 상대방을 대해야 문제해결을 통한 궁극적인 아웃풋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SW스킬이 결국 조직책임자 및 리더로 올라갈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되겠습니다. 일방적으로 본인 의견만 맞고 타인이 제시한 의견을 귀담아듣지 않은 인원은 중장기적으로 좋은 결과를 못 내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결국 문제해결은 문제 정의 후 로지컬싱킹(So What? Why so?)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까지 요구되는 하이레벨의 역량입니다. 경험 있는 시니어급이 유리하겠지만, 노력을 통해 주니어급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스킬 셋입니다. 사물에 대해 본인만의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문제해결 의식을 가지면 곧 소위 '일잘러'가 되어 주변사람들이 찾는 VIP가 될 수 있겠습니다.



저도 명일 고객사 VOC에 대해 미팅예정인데, 어떻게 유관부서와 협의를 통해 최적의 아웃풋을 낼 수 있을지 고민 중입니다. 고객사와 컨텍하는 부서 <> 실행하는 부서 간 알력이 존재하여 한번에 결론이 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결국 TOP DOWN approach 필요하지 않을지 싶습니다. Worst Case 경우가 발생 시 대안도 미리 염두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