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재열 여행감독 Dec 31. 2020

말라카 기행 1편, 바다의 여신을 만나다

학자의 여행은 답을 남기지만 저널리스트의 여행은 질문을 남긴다

    


학자의 여행은 답을 남기지만 저널리스트의 여행은 질문을 남긴다. 학자들과 함께 진행한 2016년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APOCC)의 말라카 기행은 좋은 질문을 건진 멋진 여행이었다. 행사를 주최한 APOCC의 주강현 원장(전 국립 해양박물관장)은 ‘해협적 상상력’을 가져볼 계기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는데, 그것 이상이었다. 마호메드의 도시 쿠알라룸푸르, 정화의 도시 말라카, 쑨원의 도시 페낭, 마하티르의 도시 랑카위가 보여준 것은 ‘이슬람과의 공존 가능성’이었다.     


각각의 도시들이 보여준 특성이 명확했다. 여기에 하나를 더한다면 리콴유의 도시 싱가포르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싱가포르는 원래 말레이시아 연방의 한 주였다). 이들 도시들에게는 일정한 법칙이 보였다. 말레이시아 연방주(혹은 도시)의 경제력 수준은 대체로 화교 비율에 비례했다. 화교 비율이 가장 높은 싱가포르의 경제력이 가장 높았고 50% 이상인 쿠알라룸푸르와 페낭이 그다음이었고 다른 주와 도시들이 그 뒤를 이었다. 마하티르의 랑카위는 예외였다. 그래서 흥미로웠다.     


이번 여행에서 처음 건진 질문은 ‘말라카 해협에 장보고 장군이 다녀갔다면 우리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을까?’라는 것이었다. 무역풍과 해류의 방향 때문에 아마 불가능했겠지만 ‘그가 이곳을 다녀갔다면 우리의 상상력이 얼마나 확장되었을까?’하는 생각을 하니 깊은 아쉬움이 남았다. 서구 열강이 이 해협을 각축할 때 그런 각축이 있다는 사실이라도 알았더라면 우리 역사는 다르게 전개되었을 것이다.      


다음 질문은 ‘왜 우리는 이슬람의 폐쇄성에만 주목하고 개방성은 보려 하지 않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쿠알라룸푸르의 밤은 활기찼다. 이슬람의 유쾌한 타락을 목격했다. 원리주의의 사슬을 벗어난 무슬림들이 쿠알라룸푸르의 밤에 어떻게 숨통을 트는지 엿볼 수 있었다. 쿠알라룸푸르의 밤에는 마호메드도 청바지를 입고 있었다. 그들의 왕성한 소비력을 보면서 할랄푸드 공장을 막는 우리나라 기독교인들의 폐쇄성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말라카의 문화 역주행’에 대해서도 새로운 질문이 생겼다. 말라카 해협의 문화는 위에서 아래로 전파되었다. 힌두와 불교가 내려왔고 이슬람이 크게 내려왔다. 그 길은 서구 열강이 아시아를 잠식해가는 길이기도 했다. 중국이 바다로 영역을 확장하는 길은 방향이 달랐다. 아래에서 위로 해협을 거슬러 올라가는 방향이다. 정화의 원정길이 그랬다. 이 영향의 방향이 지금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가 궁금했다.     


마지막은 바다의 여신에 대한 질문이다. 이 답사 여행에는 마조 신앙 연구의 권위자인 고혜련 교수가 함께 해 여행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외국 여행을 갔을 때 되도록 그 나라의 샤먼(무속)과 관련될 것을 보려고 노력한다. 샤먼에는 그들이 가졌던 공포의 원형과 욕망의 원형이 있기 때문이다. 샤먼을 보면 그 나라 사람들의 특징을 이해하기가 쉽고 우리와의 공통점을 찾기도 쉽다. 비록 전통 샤먼이 종교에 묻히더라도 그 흔적은 남는다. 우리 절에 산신을 모신 ‘삼성각’이 있듯이 중국의 사원에는 마조 여신을 모신 ‘마조 사당’이 있다. 왜 바다를 바라보고 사는 사람들은 ‘구원의 여신’을 섬기는가 하는 것이었다.     



# 정화의 도시, 말라카     


말라카는 기억을 파는 도시였다. 융성했던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은 싱가포르에 빼앗기고 이제는 관광지로 안착해 있었다. 동서교류의 흔적은 융합된 문화로서 관찰할 수 있었다. 융합의 기억 덕분인지 말라카인은 융합의 문화를 체화시켰다. 그것이 무엇이든, 좋은 것이면 취한다는 개방성이 돋보였다. 다양한 기억이 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말라카는 관광도시로 흥할 수밖에 없었다.  


말라카 뒷골목의 꼴라쥬로 오려 붙인 낙서가 인상적이었다. 자세히 보면 불교의 탱화와 같은 모티브였다. 서양 도시의 그라피티 보다 몇 수 위였다. 말라카는 요즘 말로 ‘디덩(디테일 덩어리)’이었다. 꼼꼼히 살펴보면 재미있는 것이 많았다. 종교 신자 추이가 변하면서 힌두 양식의 건물이 이슬람 사원으로 쓰이는 경우도 보였다.   

  

여러 세기의 과거가 중층적으로 펼쳐진 도시가 바로 말라카였다. 그런데 그 기억의 기점에 정화가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들의 눈에는 시진핑이 새로운 정화 장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대국굴기’를 내세운 중국의 해양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는데 말라카는 그를 21세기의 정화로 받아들이지 않을까?       


정화와 함께 말라카 중국인의 구심이 되는 것은 마조 여신이었다. 뱃사람이 죽음 직전에 부르는 신이 바로 마조 여신이다. 기록에 의하면 마조는 10세기경 메이저우다오(湄洲?, 미주도)에서 살면서 마을 사람들을 돕는 데 평생을 헌신하고 난파한 배의 생존자들을 구조하려다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그녀를 기리는 뜻으로 마을 사람들이 사당을 지어 바치면서 마주를 여신으로 숭배하는 신앙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고려에 파견된 송나라 사신 서긍이 흑산도와 가거도 사이 바닷길에서 돌풍을 만나 표류할 때 찾았던 신도 바로 마조 여신이다. 송나라 휘종은 마조 여신에게  천비(하늘의 왕비) 작위를 주기도 했다. 청나라 때 ‘천상 성모’로 봉해지기도 했다.      


마조 신앙은 동중국해 연안을 따라 두루 관찰되는 민간신앙으로 뱃사람의 안녕을 위해 마조 여신을 섬기는 것이다. 마조 신앙은 중국 주변국에도 두루 퍼져있다. 대만은 물론 일본에서도 관찰된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마조 신앙이 한국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고 했다. 다만 차이나타운에서 관찰되는데, 인천 차이나타운 중화회관 옆 청나라 영사관 자리에 사원이 있는데 그 신전에 마조 신앙을 보여주는 향로가 있다고 한다.     


대체로 자연환경에 의한 영향이 큰 해안지역에서 민간신앙이 강하다. 해안지역에서는 주로 여성을 형상화한 신이 많다. 마조 여신을 섬기는 곳도 있고 관음상을 세우고 관음신앙을 간진한 곳도 있고 우리나라 제주도처럼 할망의 전설이 있는 곳도 있다. 변덕스러운 자연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샤먼은 주로 여성이 맡는다. 여성 중에서도 할머니인 경우가 많다.      


일본 동북지역에서는 할머니 중에서 눈이 먼 장애인 할머니를 샤먼으로 대접한다. 남성보다 약자인 여성을, 그중에서도 약자인 할머니를 그리고 장애인을 샤먼으로 소환해 사회의 통합을 꾀한다. 샤먼을 보면 권력을 견제하는 방식과 권력의 부작용을 보완하는 방식이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누군가 말라카 해협에서 대만과 오키나와를 지나 일본 열도까지 이어지는 여성주의 샤먼에 대한 연구를 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될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캄차카 기행 2편, 한여름의 온천 여행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