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는 와인의 나라다. 술문화로 보면 우리에게 '형제의 나라'는 터키가 아니라 조지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술 마시고 그런 건데/ 술 마시다 늦은 건데’라는 핑계가 통용되는 나라가 바로 조지아다.
와인에 대한 조지아인들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조지아인들이 자신들의 와인사랑을 이야기할 때 드는 우화가 있다. 신이 사람들을 전부 불러 모았는데 조지아인만 늦었다고 한다. 이유를 물으니 ‘와인을 마시며 신에 대해 이야기했다'라고 변명했다는 것이다. 신도 포기할 만큼 와인에 집착하는 사람이 바로 조지아인이다.
조지아를 돌아다니다 보면 시골 어르신들이 막걸리를 권하듯 걸핏하면 와인을 권하는 것을 접할 수 있다. 그들에겐 술이 인사다. 그런 조지아에서는 함부로 술자랑하면 안 된다. 조지아인들은 잔치를 치흘 때, 기쁜 날은 인당 26잔, 슬픈 날은 조금 자제해서 인당 18잔의 와인을 준비한다.
심지어 잔은 뿔잔이다. 이른바 원샷 잔이다. 놓을 수가 없으니 받으면 바로 다 마셔야 한다. 조지아인들은 새 해가 되면 한 달 동안 이런 파티를 즐긴다고 한다. 와인만 가지고도 해가 갈 것 같은데 맥주도 즐기고 브랜디(짜짜)도 즐기고 보드카도 즐긴다. 마트에 가보면 절반이 술이다. 정말 대단한 ‘술존심’이다.
술을 준비할 때는 원칙이 있다. 여러 가지 와인을 섞어 마시지 않는다는 것이다. 와인의 나라 조지아 사람들이 국내 와인 동호회의 시음회 모습을 보면 아마 기겁할 것이다. 오만가지 와인을 섞어 마시는 모습을 보면서. (요즘은 조지아에서도 '와인 8000'과 같이 와인 시음을 위한 전문 매장이 성황이다)
조지아의 주도는 이렇다. 술자리를 이끄는 ‘타마다’가 ‘가우마조스(cheers)’를 외치며 건배 제의를 한다. 이렇게 식전에만 5번을 외친다. 맨 처음은 신에게 그다음은 평화를 위해, 그다음은 성조지를 위해, 대략 이런 순서다. 가우마조스는 계속된다. 조지아인들은 와인 3잔은 곰(bear)이 되게 만들고 그다음 3잔은 황소(bull)가 되게 만들고 그다음 3잔은 새(bird)가 되도록 만든다고 말한다. 취하는 것 같으면 스스로 멈춰야 한다.
와인과 포도나무는 조지아인들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제정러시아 시대에 조지아를 지배하면서 조지아인을 정신적으로 굴복시키기 위해 포도나무를 자르기도 했을 정도다. 그들에게는 포도나무가 단순한 식물 이상의 자아였기에 포도밭 파괴에 큰 상처를 받았다. 그렇게 소중하게 지켜온 덕분에 지금도 조지아에는 500여 종의 포도 품종이 있다.
포도나무는 조지아인의 자아다. 1차 세계대전 때 조지아에서는 많은 청년들이 전쟁에 징발되었다. 스탈린이 조지아 출신인데 오히려 그는 조지아에 더 가혹해서 징집자가 많았다고 한다. 징집된 조지아 청년들은 포도나무 가지로 허리띠를 하고 갔다고 한다. 그리고 포탄이나 총에 맞아 죽어갈 때 자신이 쓰러진 그 자리에 포도나무 가지를 심었다고 한다.
(스탈린은 조지아 중심부의 고리시 출신이다. 고리시에 가면 스탈린 기념관이 있는데 그에 대한 조지아인의 정서는 박정희에 대한 우리의 정서와 비슷하다. 어르신들은 그리워하고 젊은이들은 싫어한다. 소문난 애주가로 알려진 스탈린이 고향의 와인을 즐겼는지는 모르겠다. 그는 러시아 보드카와 아르메니아 브랜디를 주로 즐겼다.)
조지아 와인기행을 위해 꼭 방문해야 할 곳은 카케티 지방이다. 코카서스 산맥 아래 드넓은 평야가 있는 이곳이 조지아의 대표적인 와인 산지이기 때문이다. 유명한 와이너리가 많은데 그중 트윈 셀라(Twin’s Cellar)라는 와이너리에 들렀던 적이 있다. 쌍둥이 형제가 운영하는 곳으로 정통 크베브리 (qvevri) 와인의 제조 과정을 볼 수 있다. 특히 음식을 잘해서 답사를 간다면 꼭 식사까지 하고 오길 권한다.
조지아 와인은 흔히 크베브리 와인으로 불리는데, 크베브리는 우리의 옹기와 비슷한 토기다. 크베브리 와인은 으깬 포도를 넣은 점토항아리를 땅에 묻어 발효시킨 와인을 말한다. 오가닉 와인이 인기를 끌면서 그 원조격인 크베브리 와인의 인기 또한 높아졌다. 지금도 여느 조지아 농가에서 볼 수 있는데, 조지아 와인기행 때 두루 경험할 수 있다.
정통 크베브리 방식으로 만은 와인은 은은한 금빛이 난다. 조지아는 이 크베브리 방식으로 와인 양조가 최초로 발원한 곳으로 크베브리 와인 제조법이 201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크베브리 와인은 와인의 원형이기 때문에 미슐랭 가이드에 나오는 고급 레스토랑에서 납품을 받기도 한다.
조지아 와인의 특징은 일단 포도의 종류가 다양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조지아에서 기르는 포도의 종류는 565종이나 된다. 조지아인들은 3km마다 기후가 달라져서 포도 품종도 다르다고 말한다. 이중 사페라비(Saperavi) 종으로 만든 와인이 유명하다. 한국인들은 카베르베 쇼비뇽과 느낌이 비슷한 무크자니(Mukuzani)를 선호한다. 조지아의 대표적인 화이트 와인 품종은 르카치텔리다. 가장 유명한 화이트 와인 중 하나는 치난달리다.
조지아 와인 중에는 유명한 와인이 많은데 그중 하나가 피로스마니(Pirosmani)이다. 심수봉씨가 번안한 라트비아 민요 〈백만 송이 장미〉의 실제 모델인 조지아의 화가의 이름이다. 사모하던 여인에게 백만 송이 장미를 바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보통 와인을 만들 포도를 기르는 농장에서는 담장에 장미를 심는다. 장미가 포도나무의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조지아 와인은 프랑스 와인처럼 복잡한 맛을 지향하지 않고 이탈리아 와인처럼 심플한 맛을 추구한다. 와인을 하나의 소스로 보는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반주로 발전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조지아 와인에 대한 평은 ‘누구나 마실 수 있는 가격에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맛'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카케티 지방을 지나서 코카서스 산맥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낭만의 도시 시그나기가 나오는데 이곳이 와인을 즐기기에 좋은 휴양지다. 이곳의 명소는 ‘꿩의 눈물(Pheasant’s tears)’이라는 와인바다. 미국인 화가가 운영하는 이 바는 카케티 지역의 와인을 세계에 알리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와인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 한 병 사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시그나기에서 무크자니 마을을 지나 텔라비로 가는 길에는 조지아 와인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저택이 하나 나온다. 19세기 귀족 시인 알렉산더 차우차바제가 소유했던 대저택을 치난달리 박물관으로 바꾸었다. 조지아 와인을 정립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박물관에 딸린 와인리조트도 멋지다.
이와 함께 조지아 와인문화를 보기 위해서 꼭 가봐야 할 곳이 조지아 와인 8000년의 역사를 대변하기 위해 늘 와인 8000병을 구비하고 있는 '와인 8000'이다. 젊은 조지아인들이 조지아 와인을 탐구하듯 마시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24년 3월 진행하는 조지아 와인기행에서도 이곳을 방문한다.
조지아 와인기행에는 국내에서 와인을 만드는 생산자들도 함께 할 예정이다. 와인의 원조국을 찾아 그들의 와인사랑을 직접 경험하는 이 멋진 여행에 함께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