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충덕 Aug 17. 2023

북 칼럼  폐문독서로 나를 마주한다

이 땅의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젊거나 고된 일을 해야 해서 이른 시간에 일어나기 힘들거나, 불규칙하게 먹고 자는 사람에겐 헛소리로 들릴 것이다. 읽으려고 하지 말고 충분히 잠자는 시간을 갖는 것도 몸에 이롭다.  

   


     

   책을 읽자고 하면, 직장인이나 자영업을 하거나 업무에 바빠 쉴 틈도 없단다. 24시간을 어떻게 지내나 생각해 본다. 드라마를 보고, 잠을 자고, 회식하는 시간만 줄여도 시간은 낼 수 있다. 짧은 시간일지라도 언제나 책을 읽는다는 마음이면 충분하다. 책을 읽을 정도의 시간이 나기를 기다려 책을 읽으려고 생각한다면 독서는 나와 상관없게 된다. "책 읽을 시간이 없다"라는 사람에게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독서를 꽤 하는 사람도 있다."라고 말한다.

   젊었을 때, 깨워주거나 자명종에 의지하지 않고 일찍 일어나기란 쉽지 않다. 사람의 문제는 시중(時中)의 문제다. 나이가 들면 깨우지 않아도 눈을 뜨고, 시각은 점점 빨라지기도 한다. 겨울날 새벽 5시경에 잠에서 깨면 무엇을 하나 되돌아보자. 건강을 위해 운동을 나가기도 하나 뒤척이거나, TV를 켜고 아침을 기다린다. 이 시간이야말로 책을 읽을 수 있는 최적의 시간이다.


   독서를 하려면 폐문(閉門)해야 한다. 문이란 나와 타자와의 소통이다. 가족과 이야기를 나누고, TV를 보거나,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다. 폐는 소통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거다. 근무 시간에 폐문하고 책을 읽기는 어렵지만, 가족이 자는 새벽 5시는 업무 전화도 오지 않는다. 오직 독서에 나를 던져 놓을 수 있는 시간이다. 누구도 방해할 수 없는 시간에 책을 읽는 일을 반복해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 독자가 성인 남자라면, 쌀을 씻어 밥솥에 넣고도 책을 읽을 수 있다. 밥 짓는데 5분이면 족하다. 그러면 아내에게 사랑받는다. 겨울날 새벽은 마음먹으면 독서를 할 수 있고, 가족의 사랑을 키우는 시간일 수 있다. 시도는 독자의 몫이다.     


   아침 독서의 맛을 알려면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우선 읽기 쉽고 사람 사는 이야기를 쓴 에세이를 선택하면 좋다.

   김훈의 <자전거 여행 1.2>를 읽으면 나이가 들어 무뎌가는 감성을 깨울 수 있다. 책을 읽어가며 흙 내음을 맡고, 얼굴을 스치는 바람과 몸을 적시는 땀도 느낄 수 있다. 고개를 오르고 내려가는 자전거 타기에서 인생을 생각하게 한다.     

   세네카의 행복론인 <인생이 왜 짧은가>를 읽으면, 행복한 삶에 관한 통찰을 배울 수 있다. 인생의 길이는 햇수가 아니라 시간을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하느냐로 보자고 한다. 마음의 평정도 중요하다. 마음의 평정을 위해 어떤 조건에서도 공동체에 봉사하고 언제 어디서나 불행과 죽음을 각오하고 있을 때 평정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섭리가 있다면 왜 선한 자들에게 불행이 자주 닥치는가?" 묻고, 고통은 좋은 목적에 이바지할 것이 틀림없으며, 무엇보다도 고통과 시련을 통해 인간은 더 강해진다고 답한다. 직장에서 힘든 일을 겪거나 가정에서 고통스러운 일이 있을 때, 스토아 철학자들의 가르침을 들었다면 고통을 작은 통증으로 여기고 인생을 살아갈 용기와 희망을 얻는다.

   살아가며 감사함을 표하는 일은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에게 함께 복된 일이다. 로마 제국의 황제도 감사함을 표현할 줄 알았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문학과 철학의 걸작이다. 황제는 <명상록>에서 가족, 친구, 스승, 신과 자연에 대한 감사의 글을 11쪽에 걸쳐 표현하고 있다. 글도 쉬워 누구나 읽을 수 있다. 자녀에게 읽기를 권해도 좋은 글이다.

   조윤제의 <말공부>도 새벽에 읽어 볼 만하다. 내면의 힘이 말이 되고 내면의 충실함이 말의 충실함이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하기를 기술로 여기고 배우려 하므로 실패한다고 한다. 말은 나를 표현하는 첫걸음이기에 말에도 공부가 필요함을 쉽게 알려준다.

   마르틴 부버가 지은 <나와 너>는 모든 참된 삶은 만남이라 규정한다. “근원어 ‘나-너’는 오직 온 존재를 기울여야만 말해질 수 있다. 온 존재로 모이고 녹는 것은 결코 나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나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나’는 너로 인하여 ‘나’가 된다. ‘나’가 되면서 ‘나’는 ‘너’라고 말한다.”


좋은 책들이 여기저기 읽어달라고 손들고 있지 않은가?



작가의 이전글 북 칼럼  모두가 책 읽는 나라를 꿈꾸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