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둥글레 Nov 15. 2018

새의 방법

가끔은 뱀이 부럽긴 하지만


해녀가 되기 싫어 도쿄로 떠난 하루코는 고향을 등지던 때의 자기 나이만큼 자란 딸 아키의 손을 잡고 24년만에 고향을 다시 찾는다. 하루코를 고향으로 불러들인 옛 친구는 쇠락해가는 마을을 되살리기 위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목소리 높여 얘기한다. 하루코는 친구를 바라보며 말한다. "너는 참 이렇게 시시한 마을이랑, 이렇게 시시한 기차를 위해서 잘도 그렇게 뜨거워지는구나." 비아냥이 훨씬 많이 섞인, 어떻게 들어도 칭찬은 아닌 그 얘기에 하루코의 친구는 쑥스럽다는 듯 고개를 긁적이며 말한다. "에이, 뭘. 별 거 아냐..." 


바다를 평생 지겨워만 했던 엄마와 달리 아키는 넘실대는 바다에 마음을 금세 빼앗긴다. 이제 막 물질 하고 나온 할머니에게 신난 표정으로 이것저것 묻는다. 할머니, 발이 바닥에 안 닿을 텐데 무섭진 않아? 바다 속에서는 무슨 생각 해? ... 할머니의 대답을 다 듣고도 여전히 신기하단 표정으로 바다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아키에게 할머니가 넌지시 묻는다. "같이 들어가볼까?" 아키는 주저하면서 됐다고 한다. 추울 것 같고, 헤엄도 잘 못 치고, 맨몸으로는 무리일 것 같다고. 그런 말을 하면서도 끝내 바다에서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아키를 물끄러미 보던 할머니는 손녀의 등을 툭 밀어버린다. 물 속에서 허우적 대던 아키가 겨우 물 밖으로 고개를 빼꼼 내밀자 할머니는 호탕하게 웃으며 튜브를 던져준다. 그리고는 말한다. "발이 바닥에 닿았는지 안 닿았는지, 무슨 생각을 했는지, 기억 나니? 어차피 뛰어들기 전에 이것저것 생각한다 해도 생각대로는 안 돼. 그럴 거면 그냥 생각하지말고 뛰어들어." 아키는 할머니의 이야기를 들으며 환하게 웃고 아 참 기분 좋다- 한다. 할머니에게 떠밀려 바다에 빠졌던 아키는 다음 날 오후 등대 주변을 맴돈다. 무서움에 주춤 주춤 하지만, 결국엔 생각을 떨치고 자기 발로 바다에 한 번 풍덩 뛰어 든다. 그리고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다. 




바다에 풍덩 뛰어드는 아키의 모습이 좋다. 내 마음 속에는 이런 저런 생각에 다른 사람들이 뛰어드는 모습을 지켜보고만 있는 말수 적은 아이가 살고 있다. 그 말수 적은 아이는 아무런 두려움 없이, 혹은 그 모든 두려움을 극복하고, 결국엔 물 속으로 뛰어든 젊은이들을 부러워하며, 그렇게 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부끄러워 한다. 


<그리스인 조르바>에서 조르바를 바라보는 '나'의 모습 역시 그러했다. '나'는 끊임없이 부끄러워한다. '다음 생에는 제대로 살 수 있겠지.'라고 버릇처럼 체념하면서도, 당신은 절대 그 줄을 끊어내지 못할 거라는 조르바의 지적에는 보란 듯이 끊어낼 거라고 오기에 가득 차 대답한다. 감정은 숨기고, 생각은 키운다. 


하지만 조르바는 술을 마시고, 춤을 추는 사내다. '나'처럼 배운 사람들이 쉽게 풀지 못하는 문제를 조르바는 너무나도 간단하게 풀어 낸다. 아무도 풀 수 없었던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너무나도 쉽게 잘라내던 알렉산더 대왕처럼. 그래서 '나'는 조르바에게서 뱀을 본다. 간악함과 교활함의 상징으로서의 뱀 말고, 모든 것이 시작되는 이 땅과 온몸으로 접촉하며 살아가는 왕성한 생명력의 뱀. 그에 비하여 자기처럼 글 좀 쓰는 교육받은 자들은 공중을 나는 새들처럼 골이 빈 것이라 말한다. 




쉼없이 끝없이 날아도 어디 편히 앉아 쉴 수 있는 나뭇가지 하나 발견되지 않는 고단한 날에는 새도 뱀을 보며 부럽다 생각할 수 있겠지. 그런 순간은 누구에게나 있으니까. 하지만 날개를 가진 새가 '왜 나는 뱀이 아닐까.'', '왜 나는 하필 새로 태어난 걸까.', '어떻게 하면 뱀이 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살아가는 건 너무 큰 비극 아닐까. 먹고 자는 시간을 쪼개서 노력하면 뱀처럼 온몸으로 바닥을 기어가는 새로 살 수야 있겠지만, 그래서 '세상에 이런 일이'나 'TV 동물농장' 같은 곳에 소개될 수야 있겠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뱀처럼 바닥을 기는 새'로 소개될 뿐이니까. 정말 뱀이 될 수 있는 건 아니잖아.


마음이 괴로울 땐 거기에서 어떻게든 벗어나고 싶은 마음에 평화롭게 사는 다른 이를 흉내내고 싶어진다. 하지만 그건 절대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뱀처럼 바닥을 기는 새'가 된다고 해서 새가 느끼는 괴로움이 사라지는 건 아니니까. 결국 자기만의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그건 온전히 자기 몫이다. 


그렇다고 인생이 외롭기만 한 건 아니다. 우리에겐 이야기가 있으니까. 서로의 괴로움과 서로의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우리는 서로의 고군분투를 응원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자책의 이면에 숨어 있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