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ruwriting Mar 28. 2024

고흐, 영원의 문에서 At Eternity's Gate

빈센트의 그림이,... 그림 속을 고흐와 함께 움직이다


<고흐, 영원의 문에서>  영화를 처음 봤을 때 무척 충격적이었습니다. 화가 고흐의 인생과 작품에 관한 내용이지만 영화는 고흐의 작품들이 영상으로 녹아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놀라운 기법입니다. 낯선 앵글의 각도와 촬영, 편집 기법까지 마치 영화 속에서 고흐를 직접 만나고 있다는 착각이 듭니다. 1인칭 소설처럼 내레이션으로 천천히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고흐의 시선을 따라 함께 움직이고 달리고, 기뻐하다가 슬퍼하다가, 정신을 잃기도 합니다. 우리는 고흐에 대해 생각할 때 불안과 정신분열, 강렬한 색의 소용돌이 같은 그림들, 광기, 어둠, 우울, 슬픔처럼 대개는 부정적인 표현들을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가끔 돌아버리는 거 같아 


고흐는 자신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그림에서 찾았습니다. 세상을 향한 자신의 이해와 관심과 애정을 나타낼 수 있는 유일한 표현이 그림이었습니다.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빛'을 찾으려 애쓰는 과정에서 자연이 주는 불안과 따듯함, 혼돈과 빛의 변화를 가감 없이 표현합니다. 우울과 정신분열이 가져오는 불안감, 슬픔들이 그의 그림에 때론 투박하게 또 때론 어지럽고 거칠게 드러납니다. 때론 눈부시게 또 때로는 무겁고 타는 불꽃럼 세상에 드러나는 자연, 현실 속에서 자주 과장된 모습을 드러내는 변화무쌍한 자연을 고흐는 사랑했습니다. 가끔은 돌아버릴 것 같은 상태, 휩쓸려 버릴 것 같은 질주, 어쩌다 고요하게 멈추어 있는 순간조차 고흐는 강렬한 자신만의 색으로 그려냅니다.  






세상에 속하고 함께 이야기하고 자신만의 눈으로 보는 것을 사람들과 같이 나눔으로써 살아있다는 느낌을 느끼고 싶었던 사람, 하지만 같이 그림을 그리는 동료들 사이에서도 철저하게 외면받는 아웃사이더이기에 마음 나눌 곳은 없었습니다. 자신의 눈에 보이는 것에서 '새로운 빛'을 찾고 싶었던 고흐는 다가올 시간을 바라보며,  자신의 그림이 죽지 않고 남을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었을까요? 가난하고 춥고 힘들었던 시간, 정신적 피로감을 견디며 자신만의 그림을 그려낸 고흐의 광기가 어쩌면 그의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삶을 잡아준 중심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나는 시대를 잘못 타고난 것 같아요 



사람들은 정신병원에 입원한 고흐에게 미쳤다고 하지만 고흐는 세상을 자신의 방식대로 느끼고 싶었습니다. 그림으로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사람들과 함께 하고 싶어 했습니다. 고흐의 방식에 맞는 유일한 세상과의 소통 도구가 그림이었을 뿐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자신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쉽게 의심하고, 함부로 혹평하고 비난하고, 결국 철저히 외면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세상과 함께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변합니다. 고흐가 병원에 갇혀 지낼 때 세상에서 그의 작품에 대해 숱한 찬사를 쏟아내지만, 현실적으로 세상과 동떨어진 그의 실망과 쓸쓸함은 세상 속에 있을 때보다 더 컸을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하던 이젠 고흐에게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으니까요.



  



우리도 세상과 소통하는 자신만의 방식을 알고 있다면 고흐처럼 그렇게 꿋꿋하게 자신의 길을 갈 수 있을까요? 푸른색으로 가득한 우울한 세상을 비추는 햇빛의 짙고 강렬한 노란빛 - 자신이 찾은 이 빛을 통해 고흐는 세상을 향해 자신의 눈으로 본 따듯함을 전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햇빛 속의 자연은 강렬합니다. 자연 속으로 그림을 그리러 들어가는 고흐를 따라가며 발 밑에 잔디를 느끼고 수풀을 헤치며 함께 걷습니다. 고흐와 함께 자연을 느끼고 호흡하는 과정이 그의 인생과 고뇌를 함께하는 순간이 됩니다. 관객이 고흐가 되는 순간입니다.   




윌렘 대포는 고흐 그 자체였습니다. 그의 연기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고흐로서 그의 인생을 만나게 됩니다. 독특한 영화 전개 방식과 음악의 조화가 특히 기억에 남습니다. 고흐의 기분과 복잡한 감정을 더 풍부하고 섬세하게 느낄 수 있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 음악과 그림의 조화가 영상으로 이렇게 아름답게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합니다. 줄리안 슈나벨 감독의 생소하고 낯설지만 독창적인 영화 연출에 박수를 보냅니다. 낯선 방식이지만 흥미롭고 인간 고흐를 이해하기엔 훌륭했습니다. 한편, 고흐가 아닌 다른 인물이었다면 - 베토벤이나 니체였다면 슈나벨 감독은 또 어떻게 그려냈을까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 어쩌면, 앵글의 움직임에 혹은 고흐의 삶에... 현기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포드 & 페라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