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소설 『태백산맥』 기행기 2
이제 본격적으로 벌교를 돌아다녀 본다. 벌교는 ‘꼬막’으로 유명하고 전라도에서 욕이 쎈 곳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나에겐 그저 『태백산맥』의 무대이면서, 이념전쟁이 치열하게 펼쳐졌던 장소로 남아 있다.
태백산맥의 인물들이 활약한 벌교역과 시장
벌교역은 예전의 그 모습이 아니었다. 하지만 개발되지 않아 그나마 예전의 모습에 가까웠다고나 할까. 계엄사령관이 처음 그곳에 당도하면 부대원들이 열렬한 환영식을 치르기도 했단다. 내가 바로 계엄사령관이 된 듯 근엄한 자세로 기차에서 내렸다. 늘 소설에선 역이 엄청 분주했었다. 그곳에서 여러 계엄사령관이 오고 갔고, 김범우의 활약담이 펼쳐졌다.
소설에서와 달리 현실에선 그렇게 한적할 수가 없었다. 역에서 바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벌교시장이 있다. 역 근처에 시장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이곳에서 염상구는 활개 치며 다녔을 것이고 사람들은 그의 눈치를 살피며 귓속말로 욕을 했을 것이다.
벌교에서 태백산맥의 발자취를 따라 가다
시장을 둘러보고 방향을 꺾어 난 왼쪽으로 가보기로 했다. 거기가 바로 일제 때의 중심 거리이기 때문이다. 거긴 한참 공사 중이더라. 바닥을 다 헤집어 놨다. 태백산맥 문학로 조성 사업 때문이란다. 바닥을 잘 단장한다고 문화로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더라.
조금 걸어가니 옛술도가터가 있었다. 거기서 정현동 사장이 호령하며 벌교 지주로서 떵떵거리며 살았겠지. 근데 구체적인 건물이나 그런 건 없어서 못내 아쉬웠다. 조금 더 올라가니 벌교 초등학교가 나오고 그 입구에 보성여관이 있다. 지금은 해체 공사를 하는 중이라 전체적인 외관을 한 눈에 볼 수 없다. 이 여관엔 토벌대들이 묵던 곳이다. 빨갱이들을 잡으러 온 토벌대들이 여기에 진을 치고 있었다.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일본풍의 건물을 눈으로 보고 있으니 느낌이 새롭더라. 벌교초등학교도 소설에선 여러 번 등장한다. 여긴 학교이면서 사상을 검증하는 장소이기도 했으니까. 염상진이 점령했을 때도, 그들이 밀려 다시 경찰이 차지했을 때도 그 곳은 사람들의 사상을 검증하고 직결처분을 하던 장소였다.
실재하는 염상구의 무대, 청년단 사무실을 발견하다
그 길에서 조금 올라가면 옛 금융조합(현 농민상담소) 건물이 나온다.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건물이다. 이 땅에 처음으로 뿌리 뻗은 자본이 어떻게 돈을 불렸는지 소설에선 여과 없이 보여준다. 돈이 돈을 불러들인다. 그런 돈 놓고 돈 먹기가 결국 엄청난 착취에 다름 아니다. 그래서 초대 금융조합장은 좌익에 사살되었다.
건물 사진 찍는 걸 멀찍이서 한 할아버지가 보고 계셨다. 그 쪽으로 가니 할아버지가 말을 걸어오신다. 뭐 하러 왔냐고 물으셔서 문학로 탐방을 하러 왔다고 대답했다. 그랬더니 앞에 있는 빨간 벽돌로 지어진 건물을 가리키면서 그 곳이 청년단 사무실이란다. 그 순간 왠지 모를 의심이 들었다. 아무리 봐도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았으니까. 그랬더니 할아버지는 생생하게 증언해 주시더라. “바로 저기 보이는 이층 보이쟈. 저기가 청년단장 방이여. 여그서 얼매나 많은 사람들이 붙들려 와서 고초를 당했다고.” 그 말을 듣고 나서야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닌 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여긴 염상구가 활개 치며 다닌 곳이란 말이고 앞에선 보이지 않는 이층에 염상구의 자리가 있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없는 죄’를 고문에 못 이겨 ‘자백’했을까?
벌교를 볼 수 있던, 김사용 영감의 고택
쭉 올라가면 아치형 모양의 돌다리가 나온다. 여기가 바로 벌교 홍교다. 반절 정도만 남아서 나머지 반절은 새로 만들어 이어 붙였다. 좀 어색한 모양이더라. 저기 위에 서서 벌교천을 내려다보니 왠지 모를 회한 같은 게 느껴지더라. 바로 그 위쪽에는 자애병원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흔적조차 없지만 말이다. 안창민은 총상을 입고 거기까지 사람 눈에 띄지 않게 왔단다. 청년단, 경찰서가 멀찍이 떨어져 있으니 가능했을 테지만 정말 죽기 살기로 왔을 것이다.
봉림교를 건너 다시 밑으로 내려오면 김범우의 집을 알리는 안내판이 나온다. 그 안내판을 따라 올라가면 임봉열 가옥(김범우의 집)이 나온다. 예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집이다. 지금도 사람이 사는지 연신 개 짓는 소리가 들린다. 그 집은 높은 곳에 있어 예전엔 벌교 읍내가 내려다 보였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다. 그 집엔 김사용 영감이 살았을 것이다. 지주이면서도 인간미가 있었던 지주였다. 그의 자식 두 명이 공산주의 사상에 어느 정도 호의적일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영향 때문이었을 것이다. 김범준이 한국전쟁 때 ‘인민군 대장’이란 직책으로 몇 십년 만에 아버지를 찾아와 만나는 장면은 아직도 뇌리에 선하다. 그 장면이 왜 그리 감동적이었는지는 아직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나도 그가 독립운동을 하러 가서 죽은 줄로만 알고 있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일제의 그늘이 담긴, 소화다리
한참을 내려가니 꽤 번화한 곳이 나온다. 시대가 변하면서 중심지가 변화한 것이다. 그 곳에 ‘소화다리’가 있다. 일제치하의 아픔을 다리 이름에 고스란히 담고 있다. 해방이 되고 나서 바꿔도 됐을 텐데, 바꾸지 않은 게 오히려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그런 식으로 지우고 싶은 과거일지라도 그걸 남겨두고 다신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마음을 다잡는 것도 좋으니까. 무조건 지우고 싶은 과거의 흔적으로 없애는 것만이 상책은 아니다.
그 다리에선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이념의 대립 때문에 죽어갔다고 한다. 시체들이 여기저기 널려 있기도 했고 그 피가 갯벌에 떨어져 빨갛게 물들였다고도 한다. 지금은 인도로만 사용되고 있고 그 옆에 새로 지어진 다리에 차들이 다닌다. 다리 옆엔 꼬막 정식 집이 즐비했는데 음식점 이름이 이색적이다. 태백산맥 등장인물의 이름이 그대로 음식점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더라.
소화네 집과 정하섭의 집을 보다
이제 마지막 코스가 남았다. 오늘의 하이라이트인 문학관에 가는 것이다. 언덕을 오르니 휘황찬란한 문학관의 모습이 보인다. 수수한 내용의 소설과 어울리지 않게 너무 화려하다는 느낌을 들었다. 그런데 바로 그 옆에 초가집과 기와집이 함께 있는 거다.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이 들어 그곳으로 가봤다. 그곳이 바로 무당인 소화네 집이고 그 옆에 있는 으리으리한 집은 소화와 정하섭의 사랑이 꽃핀 박씨제각이란다.
소화네 집은 최근에 만든 집이어서 별로 볼품없었으나 박씨제각은 예술이었다. 전통 한옥에 일본식을 가미한 독특한 건축양식을 자랑하고 있었으니까. 기와 위에 다시 누각을 세웠다. 그 집의 지대 또한 높은데 거기에 높은 누각까지 섰으니 벌교 읍내를 내려다보며 즐기기에 좋았을 것이다. 집도 제법 큰 규모였고 잘 보존되어 기분이 좋았다. 도대체 거기에 살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이만한 규모의 집을 유지하려면 꽤나 뼈대(?) 있는 집안이었을 테지.
목차
도보여행 그리고 1년 후
벌교에 가기까지
전라선을 따라 가며 일본이 남긴 아픔을 곱씹다
순천, 편안한 분위기가 나던 도시
벌교의 첫 인상
태백산맥의 인물들이 활약한 벌교역과 시장
벌교에서 태백산맥의 발자취를 따라 가다
실재하는 염상구의 무대, 청년단 사무실을 발견하다
벌교를 볼 수 있던, 김사용 영감의 고택
일제의 그늘이 담긴, 소화다리
소화네 집과 정하섭의 집을 보다
태백산맥의 이적성 시비와 고뇌의 시간
태백산맥 문학관의 숨겨진 건축미
문학관에서 본 10권의 소설을 쓸 수 있는 비결
벌교엔 『태백산맥』이 살아 숨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