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우중 Jan 12. 2020

흑곶감의 추억

큰고모와 어머니 이야기

 어렸을 때부터 먹었던 곶감이 있었는데, 시중에서는 팔지 않았다. 큰고모가 시골집(전북 진안)에서 만들던 곶감이었는데, 매년 겨울이 오면 큰고모는 곶감을 오십 접(100개를 한 접이라 한다) 넘게 만드셨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그걸 직장 동료들에게 파느라 바빴고, 우리 집 베란다에는 택배로 곶감이 쌓였다. 초등학교 때에는 그 시큼하고 꼬리 한 냄새가 별로여서 근처도 가기 싫었다. 그런데 중학생이 되면서부터 그 맛을 알기 시작했다. 큰 고모가 만든 곶감은 밖에서 파는 것과 좀 달랐다. 새까맣고 겉에는 흰 가루가 묻어 있고, 아몬드 형으로 생겼으며 쭈글쭈글 못생겼었다. 근데 막상 먹으면 쫄깃하고 그렇게 달 수가 없었다.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도 그 맛에 빠지셔서 '사돈댁 곶감은 언제 나오냐' 항상 성화셨다.

 외할아버지도, 외할머니도 이 세상에 안 계신다. 큰 고모는 60대에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큰 고모의 죽음에 두고두고 슬퍼하셨다. 남동생인 아버지만큼이나 슬퍼하셨다. 어머니 입장에서는 시누이인데, 시골집에 갈 때마다 큰 고모 집은 꼭 들렀다. 들러서는 큰 고모와 한참을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큰 고모는 6명이나 되는 시누이와 시숙 중에서 어머니가 유일하게 의지한 사람이었다. 그만큼 인덕이 있었다. 하지만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착한 사람들은 왜 먼저 데려가는지. 명절 때, 시골집에 갈 때마다 큰 고모집에 들르던 어머니는 이제 큰 고모 묘소로 간다. 그리고는 큰 고모네 집으로 가서 큰 고모의 자식들을 만난다. 자식들의 얼굴에는 큰고모가 있다. 어머니는 그 얼굴을 쳐다보고 어루만지며 함께 눈물짓다 돌아왔다. 

 세상을 떠난 사람을 그 사람의 자식과 남편과 그 사람의 남동생과 올케가 모여 눈물짓는 광경이, 어린 나에게는 매우 아름답게 보였다. 그것 만한 제사가 없고 그것 만한 추모가 없어 보였다. 지켜보는 나에게도 그리움이 스며들었다.

 그게 벌써 10년도 더 된 옛날이라, 잊고 있었다. 곶감을 다시 보기 전에는 말이다. 그게 흑곶감이라고, 아내가 말해주었다. 시중에서 파는 곶감은 다 주황색이고 동그랗고 납작했다. 먹어보면 맛이 없었다. 큰 고모가 만들어 주었던 검고 쭈글쭈글한 곶감은 팔지 않았다. 우리 가족은 이젠 곶감을 먹지 않는다. 그런데 그걸 '흑곶감'이라 부른다고 했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큰고모의 곶감과 비슷하다. 큰고모 곶감은 인터넷에 나온 그것보다 더 검고 쭈글쭈글했다. 더 맛있었다.

 인터넷으로도 나오지 않는 흑곶감을 생각한다. 큰고모 자식들의 손을 잡고 눈물짓던 부모님을 생각한다. 자식들 얼굴에 있던 큰고모를 생각한다. 생각밖에 할 길이 없어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펭수, 마미손 그리고 팩트 폭행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