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붉은낙타 Jul 25. 2020

알로하, 나의 엄마들

1903년 1월 13일, 102명의 한인 이민자를 태운 갤릭호가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다. 그중 배에서 내일 수 있었던 사람들은 신체검사에서 통과한 86명(남자 48명, 여자 16명, 어린이 22명)뿐이었다. 사탕수수 농장에 일하러 온 그들은 근대적 개념의 첫 이민자이자 대한제국 정부가 최초로 인정한 공식 이민자들이다.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이민선에 올랐던 이민자들은 세상을 태울 듯한 뙤약볕과 칼날처럼 날카로운 잎을 가진 사탕수수, 채찍을 휘두르는 냉혹한 관리자 밑에서 노예처럼 일해야 했다. 일본의 제지로 이민 금지령이 내려진 1905년까지 하와이로 간 이민자들은 7200명이었다.
대다수였던 독신 남성 노동자들은 가정을 꾸리기 위해 사진결혼을 택했다. 조국으로 자기 사진을 보내 배우자를 구하는 것이다. 1910년부터 ‘동양인 배척 법안’이 통과된 1924년까지 이어진 사진결혼 과정에서 신랑감들은 젊었을 때 찍은 사진을 보내거나 직업 재산 상태 등을 속이기 일쑤였다. 중매쟁이들도 하와이나 신랑감에 대한 허위광고를 서슴지 않았다. (중략) 여자들은 장에 가는 것조차 어려웠던 때 어떻게 머나먼 곳으로 떠날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무엇이 사진 한 장에 자기 운명을 걸게 했던 걸까. 그 용기는 어디에서 나왔을까. 하와이에 도착해 만난 남편들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낯선 곳에서의 삶은 또 어땠을까. 끝없이 솟아나는 질문에 사진 속 신부들은 버들과 홍주, 그리고 송화로 살아나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알로하, 나의 엄마들> p397 작가의 말

알로하, 나의 엄마들은 나에게 새로운 이야기였다. 이야기가 아니라 묻혀있던 비밀상자를 깊은 땅속에서 꺼내 본 것 마냥 떨렸다. 책을 읽는 내내 버들의 삶이 어떻게 될까 봐 마음 조렸고, 양력의 해를 기억하며 역사책 속의 한 조각의 사실을 유추해보려 했다. 그 이유는 한 가지였다. 소설 속 인물들의 행방을 한시라도 빨리 알고 싶었다. 그래야 내 걱정이 조려지는 마음이 나아질 테니까. 그만큼 한 몸이 되어 본 소설이다. 소설은 영화나 드라마보다 훨씬 더 살아있는 생물 같다. 나의 머릿속에서 다시 그려져 움직이니까 말이다. 내가 소설을 읽고 그려낸 카후쿠, 호놀룰루, 와히아와가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열여덟 살 버들이 이야기를 시작해서 마흔한 살인데 예순 살은 돼 보이는 버들까지 나온다. ‘누가 내한테도 이쁘고 향기 나는 꽃목걸이 조금 걸어줬으면 싶었다.’던 버들은 딸의 목소리로 이야기를 마친다. 버들의 이야기만 따라가던게 익숙해서 마지막 펄의 목소리는 낯설었다. 그 낯설음은 곧 소설적 재미와 풍성함으로 이어져 소설의 마지막이 다시 새로운 시작으로 다가온다.

이 책을 읽기 전 이길보라 감독이 ‘두번 읽으세요, 세 번 읽으세요’라는 추천글을 보고 당장 빌렸는데, 읽고 난 지금 그 말에 나의 여운이 얹어져 더 큰 파도가 된다. 아직까지 <알로하, 나의 엄마들>의 여운이 가시지 않아 정리되지 않은 말만 널어놓고 있다. 100년도 넘은 조선과 지구 반대편 하와이의 어느 누군가의 삶이 나에게 하는 말인듯해서 말이다. 글의 마지막 펄의 마음 속 읖조림이 마음에 남는다. ‘엄마는 가난해서 팔려오거나 일본 없는 세상에서 편히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처럼 꿈을 찾아 여기까지 온 것이다.’ 대하드라마의 주인공쯤이 아니라 조선의 버들의 꿈과 나의 꿈이 크게 다르지 않음이 나의 마음을 흐트러 놓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보라색 히비스커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