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함승민 Jul 06. 2023

INTP식 MBTI


MBTI의 힘은 당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성향에 대해 답하는 조사 방식에 있다. 당연히 결과가 틀릴 수가 없다. 내 답을 기반으로 성향이 나왔으니 그 성향에 대한 설명은 일종의 동어반복인데도 '와 맞아맞아'라며 감탄한다.


이는 혈액형이나 사주팔자와 다른 점이다. 이들의 입력 데이터는 타고난 값으로 실제 성향을 반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중 설득력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올수밖에 없고, 이는 이 이론에 대한 근본적인 의심과 회의를 부른다. 


그러나, 아주 과학적이여 보이는, 스스로 답하는 이 방법에도 (어쩌면 철학적인) 두 가지 문제가 있다. 


1. 내가 생각하는 내가 나일까? 

우리는 스스로를 어떤 사람이라고 규정한다. 난 이걸 좋아해, 난 이런 성향이 있어라고. 그런데 그게 진짜 나일까? 간혹 누군가가 내 생각과 다르게 '넌 이런 사람같아'라고 말한적이 있을 것이다. 그 사람은 무조건 틀린것인가? 

세상의 구성원으로서 따진다면 다른사람이 보는 내가 나일 수 있다. '나'는 스스로에 대한 생각과 말이 아니라, 내가 실제로 하는 행동과 선택이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단 얘기다. 내가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나는 어떤사람이라고 말하는가보다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보는 게 더 정확한 나에 대한 설명은 아닐까. 


2. 내가 생각하는 나일까 내가 원하는 나일까 

심지어 내가 그리는 나의 모습은 실재보다는 이상향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실제 내 모습을 그리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하는 모습을 투영할 수 있다는 얘기다. 설문은 이 함정에 빠지기 쉽다. 우리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 응답하는 과정에서 질문의 의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여 원하는 결과값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모습, 내가 원하는 나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MBTI에서 사람들이 각기 다른 자기 유형에 대한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이유가 이때문은 아닐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