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애송이 Mar 08. 2020

성추행의 기억도 치유가 되나요?

결국엔 나의 몫으로 남는 상처의 기억 

작년 가을 평소 친하게 지내던 지인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 둘이 술을 마시고 난 후 우리 집으로 가던 택시 안에서였다. 본인의 집과는 완전히 반대 방향인 택시에 냉큼 따라 타는 그를 보고 '취한 와중에도 데려다 주려는 건가.' 생각했다. 평소에도 매너가 좋은 사람이었기에 다른 의심을 할 여지는 없었다. 그 의심을 했어야 한다는 걸 깨달은 건 택시가 강변북로에 들어섰을 때였다. 그의 손길을 거칠게 뿌리쳤지만 그는 집 앞에 도착해 택시에 내린 후에도 강제로 나를 추행했다. 


다음날 아침, 숙취에 눈을 뜨자 꺼진 방에 불이 켜지듯 한순간 현실감각이 돌아왔다. 짧은 시간에 머릿속을 빠르게 스치는 불쾌한 장면들, 그대로 입고 잠이 든 옷에서 느껴지는 소름 돋는 감촉들. 침대에 멍하니 앉아 '꿈인가' 했다가, 내 의도와는 달리 쉴 새 없이 떠오르는 어젯밤 기억의 조각들이 머리를 아프게 찌를 때마다 '꿈이었으면 좋겠다' 했다. 핸드폰을 보자 그에게서 숙취로 머리가 아프다는 지극히 평소와 다름없는 카톡과 함께 스타벅스 기프티콘이 와있었다. 


옷을 갈아입고 화장실에서 엉망이 된 화장을 씻어내며 이 모든 기억들도 함께 씻어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무리 깨끗이 씻어도 그 자리에는 내가 10년 가까이 알고 지낸 친한 지인에게 어젯밤 성추행을 당했다는 팩트만이 더럽게 남았다. 결국 '꿈이 아니구나'라는 안타까운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며칠 후 나는 정신과 병원에 전화를 걸었다. 이름을 말하자 데스크 선생님이 반갑게 내 이름을 불렀다. 갑작스러운 실연의 아픔에 '별로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빠져 살던 나를 지키기 위해 몇 달간 다녔던 병원이었다. 선생님께 편안한 얼굴로 마지막 인사를 나눈 게 고작 2,3주 전이던가. 내 이름을 듣고 단번에 나를 기억해내는 데스크 선생님의 밝은 목소리를 듣자 허탈함이 밀려왔다.  


몇 주 만에 다시 찾아온 나를 보고 선생님은 온화한 미소와 안쓰러움이 뒤섞인 표정을 지으셨다. 하지만 내 얘기를 듣기 시작하자 그 얼굴에는 온화한 미소 대신 심각한 표정만이 떠올랐다. 나는 떠듬떠듬 그날 있었던 일들과 이후 사람들과의 가벼운 접촉에도 화들짝 놀라거나 그때의 기억이 떠오르면 가슴이 계속 두근거린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정작 내게 가장 큰 상처를 남긴 건 그렇게 오래 알고 지냈던 친한 지인이 자신의 욕구를 못 이겨 나를 성추행했다는 배신감이었다. 


(※ 여기서 혹시 '그러게, 왜 술을 취할 때까지 마셔?' 또는 '어쨌든 남자랑 술 마시는데 조심했어야지' 등의 생각이 드는 사람이 있다면 더 이상 이 글을 읽지 않는 편이 당신의 정신건강에 이롭다. 당신에게는 이 글이 그저 자신의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못한 여자가 징징거리는 글로밖에 보이지 않을 테니까!)   


내 얘기를 듣고 난 후 선생님은 역시 내가 듣고 싶어 했던 얘기들을 내가 듣고 싶었던 만큼 해주셨다. 또 안 좋은 일을 겪어서 너무 안타깝다고, 오랜 시간 친하게 지냈던 사이였던 만큼 상처와 충격이 더 클 것 같다고, 상처가 낫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지도 모르니 조급하게 잊으려고 하지 말라고, 그리고 이 모든 일은 내 잘못이 아니라고. 그리고 마지막엔 엄마 같은 표정으로 '그래도 앞으로 술은 너무 많이 마시지 않는 게 좋겠다'는 조언도 함께. 


어디에도 털어놓을 수 없었던 얘기를 선생님과 나눈 후에도 나는 한동안 이전과 비슷한 시간들을 보냈다. 붐비는 지하철 안에서 누군가와 조금만 살이 닿아도 몸이 움츠러들었고 그날의 기억들은 여전히 생생하게 날뛰며 나를 뒤흔들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같은 일로 다시 병원을 찾지는 않았다. 누군가 나의 상처에 공감해주고 나를 지지해줘도 결국 그 상처가 아물(어 보일) 때까지 지켜보는 건 내 몫이라는 걸 느꼈기 때문이다.  


그렇게 몇 달이 지난 지금, 상처는 흉터가 되어 내 마음에 남았다. 병원을 꾸준히 다녔다고 해도 어떤 형태로든 흉터가 남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비록 선생님과의 대화가 극적으로 내 상처를 낫게 해 주지는 못했지만, 그 대화가 없었다면 상처는 훨씬 더딘 속도로 아물었을 것 같다. 가장 필요한 공감과 지지를 가장 필요한 시기에 얻을 수 있다는 것. 내게 그것만으로도 상담의 의미는 충분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집단상담의 추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