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NESI Sep 22. 2022

나는 가끔 나의 완벽한 타인이 되고 싶다.

타자의 시선으로 나를 바라보기

 심리학에서는 두 가지 시선에 근거해 사람을 분석한다.


 첫 번째는 내가 바라보는 나인데, 주로 자가진단검사를 통해 분석한다. 이제는 상식이 되어버린- MBTI가 대표적인 자가진단검사이다. (MBTI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MBTI가 잘 맞는다고 느끼는 이유는 자신이 바라보는 자기자신의 모습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타인이 바라보는 나이다. 내담자의 지인을 상담하거나, 제 3자(상담자 내지는 연구자)가 관찰,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요즘 예능에서 보이는 관찰카메라 기법이 이 가깝다.




 그리고 가끔 나는 타인이 되어 나를 바라보고 싶다는 상상을 하곤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그리고 그들이 나를 보며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하다.








 글을 읽으면 그 글쓴이에 대해 알 수 있다. 오랫동안 고심해 고른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 사이에는 그이의 체취가 듬뿍 묻어나기 마련이다. 자주 쓰는 단어, 문체, 이미지, 전개 방식에는 그의 생각과 취향, 분위기가 배어 있다. 누군가의 글을 읽는다는 건 그 사람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다.




 내가 글을 쓰면서 가장 힘들었던 건, 내가 쓰는 나의 세계가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는지 짐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쓰는 어휘와 어법은 내게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기에, 그 안에 배어있는 향기와 풍경을 나는 느낄 수 없다.


 그 점이 늘 아쉬웠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되어 나를, 나의 글을 바라보고 싶었다. 완벽한 타인이 되어 내가 그린 세계를 탐험하고 싶었다. 처음 보는 것처럼.








 타인이 바라보는 내 모습이 내 생각과 거리가 멀 때가 종종 있다. 여러 명이 동시에 같은 이야기를 할 때면 당혹스럽기까지 하다.

 '내가 그런 이미지라고?'

 그들이 보는 게 나인지, 내가 생각하는 게 나인지. 꼭 생판 모르는 타인을 듣는 기분인 것이다.




 상담사 분께서 내게 "xx씨는 학구적이시네요." 라고 말씀하셨을 때, 나는 내가 그런 사람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내가 공부를 좋아하는 이미지인가? 내가 제일 싫어하는 게 공부인데.


 당시에는 그 말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그뒤로도 비슷한 말을 몇 번 더 들었다. 이유를 물어보니, 어떤 분야에 대해 깊숙이 빠져드는 모습이 학구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나는 그걸 그냥 ‘덕후 마인드’라고 생각해왔는데, 누군가에게는 학구적으로 보인다는 게 신기했다.



 

 한편, 부정적인 이야기를 들을 때도 있다. 대인관계를 넓히고 싶어 내가 가진 모든 사교성과 붙임성을 끌어모아 열심히 사람들을 만났다.


 이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상대방으로부터 "역시 무심하네요."라는 답이 돌아오고 말았다. 나의 최선이 그의 다정함에 닿지 않았다는 사실이 조금은 절망스러웠다.








  그 후로도 비슷한 일을 몇 번 더 겪으면서,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바라보는 내 모습이 많이 다를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 간극을 깨닫자 더더욱 완벽한 타인이 되어 나를 바라보고 싶어졌다. 내 글을 읽고 싶어졌다.


글을 쓰고 나만의 세계를 창조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짜릿한 일이다. 하지만 정작 나는 그 세계를 누릴 수 없다는 게 아쉽기도 하다.





 초능력이 생긴다면, 나는 완벽한 타인이 되어 나의 글을 읽 싶다.

작가의 이전글 [공지] 수요 연재 휴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