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경희 Aug 05. 2023

최고의 고수는 말로 하지 않는다.


庖丁解牛

포정해우     

솜씨가 뛰어난 포정(백정)이 소와 뼈와 살을 발라낸다는 뜻으로

신기(神技)에 가까운 솜씨와 기술을 칭찬할 때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장자》               





어떤 분야의 최고의 고수가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는 것이 많다고 또 기술이 뛰어나다고 최고라고 하지 않습니다. 

포정(庖丁)은 유명한 요리사를 말합니다. 전국시대 양나라에 살던 포정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대단히 소를 잘 발랐습니다. 《장자》 <양생주편(養生主篇)>에 나오는 포정의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포정이 궁에서 소를 잡고 있었는데 지나가다 그 모습을 본 문혜왕이 감탄하며 포정에게 소 잡는 도(道)를 물었습니다. 포정이 대답을 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았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습니다. 3년이 지나니 소의 겉모습은 눈에 보이지 않고 소가 부위별로 보였습니다. 19년이 지난 지금 저는 눈으로 소를 보지 않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고 소의 살과 뼈, 근육 사이의 틈새를 봅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칼이 지나가게 합니다.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와 부딪친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백정이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칼을 가지고 소의 살을 베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백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칼로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와 뼈와 살, 근육 사이에는 틈새가 있기 마련이고 그 틈새로 칼날을 집어넣어 소를 잡기 때문에 칼날이 전혀 무뎌지지 않은 것입니다. 이것이 19년이 되었어도 제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은 이유지요. 이것이 소를 잡는 저만의 비법입니다.”

문혜왕은 포정의 말을 다 듣고 소를 잘 잡는 비법을 듣다가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다며 감탄합니다.      




어느 분야에 경지에 이른 달인들이 있습니다. 이 고수들은 길을 알고 원칙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포정처럼 겉모습이 아닌 소의 겉모습뿐만 아니라 살과 뼈, 근육 사이의 틈새를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했습니다. 일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서 대비도 없이 일을 처리하면 큰일이 납니다. 사회의 요직에 있는 분들은 더 전문성을 가지고 일에 임해야 합니다. 

배움을 쉬지 않고 자기 분야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포정의 경지에 반드시 오릅니다. 말로 배우지 않고 직접 몸으로 익혀보는 배움이 진정한 배움입니다. 배움의 방법이 바르지 않으면 도구 탓, 환경 탓을 하게 됩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향한 바른 방법을 터득했다면 반드시 고수가 됩니다.     

이전 06화 배움을 대하는 자세 4가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