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한기 Mar 28. 2021

'한라산'의 시인 이산하 시집 <악의 평범성>

'제주 4·3항쟁'과 떼놓을 수 없는 문학

대학생 때 이산하 시인의 시(詩) '한라산'을 처음 접하고 받았던 충격은 아직도 생생하다. 내게 '제주 4·3항쟁'이라고 하면, 현기영 소설가의 <순이삼촌>과 이산하 시인의 <한라산>과 강요배 화백의 <동백꽃 지다>로 기억된다. 한참 지난 뒤에는 그 목록에 오멸 감독의 <지슬>이 더해졌다.


이산하 시인.

"'혓바닥을 깨물 통곡 없이는 갈 수 없는 땅/ 발가락을 자를 분노 없이는 오를 수 없는 산/ 백두산에서/ 한라산에서/ 지리산에서/ 무등산에서/ 그리고 피어린 한반도의 산하 곳곳에서/ 민족해방과 조국통일을 위하여 싸우다/ 장렬히 산화한 모든 혁명전사들에게/ 이 시를 바친다'로 시작하는 <한라산>은 1987년 무크지 <녹두서평>에 처음 게재됐다."|<경향신문> 원희복의 인물탐구, 2018_0324


이산하 시인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라산'은 내 비명이자 통곡"이라고 말했다. 이 시인은 지난해 에세이 <생은 아물지 않는다>와 올해 시집 <악의 평범성>을 펴냈다. 집에 있던 <한라산> 시집은 자취를 감췄고, 대신 그의 새 책 두 권을 모셔왔다. 시집 제목을 왜 한나 아렌트에서 길어왔는지 시를 찬찬히 읽어봐야겠다.


'악의 평범성' 연작 시를 읽기 전에 내 눈에 들어온 시 한 편은 '강'이다.



<강>


모난 돌과 바위에

부딪혀 다치는 것보다

같은 물에 생채기

나는 게 더 두려워

강물은 저토록

돌고 도는 것이다.


바다에 처음 닿는

강물의 속살처럼 긴장하며

나는 그토록

아프고 아픈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모두 안녕"... 가슴 아픈 박원순 시장의 유서 ㅠ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