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주모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좋은애 Jul 30. 2020

국회의원에게 편지를 쓴다면

2020년 5월 29일 뉴스 백브리핑


뉴른이 되고 싶은 뉴린이가 뉴스를 읽고 나누는 시간

지식인의 언어가 아닌, 우리의 언어로 전하는 뉴스 생각들. 뉴린이의 성장기.


* 모임에서 나온 발언 중 '은(필자)'이 의미 있는 것만 발췌해 다듬었다. 실제 대화는 훨씬 길지만 은이 대화에 집중하느라 모두 진 못했다.

* 정확한 내용은 해당 기사를 참고해야 한다.



2020년 5월 29일 뉴스 백브리핑 <주간지>


빛 : 한겨레21. 이번에 완전 내 스타일이었다. 일반인이 국회의원한테 편지를 썼다. 손편지가 담겨있다. 총 7명의 편지다. 기후 위기에 고민하는 10대도 있고, 임계장과 플랫폼 노동자 등도 있다. 이런 식으로 사회 약자에 관해 관심을 기울여서 좋다.


은 : 편지를 통해서만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부와 권력을 가진 자들은 쉽사리 사회 리더들과 만나 의견을 전한다. 일반인의 목소리는 누군가 찾아가서 듣지 않으면 모르는 것 같다. 실제 국회의원에게 전달이 됐나?


빛 : 여기서는 실제 전달이 되었는지 다루진 않았다. (한겨레에) 한번 물어보겠다.


은 : 언론이 확성기가 되는 것만으로 의미 있지 않을까. 지면을 크게 할애해서 얘기한다는 것 자체가 중요. 한두 줄로만 처리하는 게 아니라.


빛 : 너무 좋았다. 미디어가 기득권과 우리 같은 사람들의 중간자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역할을 잘한 것 같다. 내 진심이 담긴 것 같다. 나랑 이야기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리고 손글씨로 써서 너무 좋다.


국회의원의 책임감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우리를 대변하는 사람이구나. 책임과 의무들을 상기시켜주는 기획이었다.




빛 : 국회의원들이 법안 발의할 때 타이밍 잡기도 힘든 것 같더라. 여론이 일어났을 때 통과를 시켜야 발의할 수 있다. 그리고 이거 아나? 우리도 법안을 만들 수 있다. 법안에 대해 올리면 청원 URL을 주변인에 공유해 100명 이상 동의를 받으면 심사를 거쳐 법사위로 올라가게 되어있다.


희 : 100명이라고?


은 : 100명은 되게 낮은 거 아닌가.


희 : 법을 제정하는 기준이 무엇인가? 사람 수가 많다고 법을 제정할 수 있는 건가?


빛 : 상임위에서 논의하고 법사위로 들어간다고 한다.


희 : 국회의원이 찬성하고 반대하고 그 숫자로만 법이 제정되는 거라면 국회의원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능력에 대해 우리도 알아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은 : 민주주의는 다수결의 원칙이라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래서 국민의 대리인인 국회의원을 잘 알아야 한다는 희의 말에 동의한다.




빛 : 핀란드에서 기본소득 실험한 기사, 재밌었다. 실업자 집단을 대상으로 했고, 기본소득 유무에 따라 고용률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실험이다. 결과적으로 고용률은 비슷했다. 그리고 기본소득을 주면, 삶의 질이 좋아지니 봉사활동이나 창작 등 사회와 공동체에 기여하게 되지 않냐며 기사를 끝맺고 있다.


은 : 왜 고용률을 변수로 보았나?


희 : 소득을 통해서 삶의 질이 높아지고, 경제가 선순환되니 고용률이 높아지지 않을까. 그래서 기본소득을 도입한다는 정보를 어디서 보았다.


은 : 그런데 기업에서 뽑지 않으니까 취업이 안 되는 건데, 기본소득이 도입되면 기업이 취업 인원을 늘릴까?




빛 : 재난지원금을 가구별로 주게 되면 가구 안에서도 못 받는 국민들이 많아지게 된다. 노숙인의 경우에는 거주지도 모르고, 신청 방법도 모른다. 이외에도 진짜 재난지원금이 필요한 사람들은 받지 못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뉴른이 되고 싶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