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트라떼 Apr 23. 2018

1-4. 싯다르타의 탄생지, 네팔 룸비니

아무것도 할 일이 없어 행복한 곳

  우리는 짧게 있어 아쉽기만 한 포카라를 뒤로 한 채 석가의 탄생지 룸비니(Lumbini)로 향했다. 포카라에서 룸비니까지는 로컬 버스로 약 6시간이 걸렸는데 이 버스 여행에서 나는 원인 모를 급박한 생리현상으로 화장실에 보내 달라고 버스를 2번이나 세웠고 이후로는 버스 여행에 대한 노이로제를 갖게 됐다.  

 

  룸비니는 불교 창시자 고타마 싯다르타의 탄생지로 불교 4대 성지 중 하나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도시이기도 했다. 이곳에서는 대성석가사라는 한국 절에서 머물렀는데 숙박비를 받지 않고 대신 떠날 때 원하는 만큼 기부를 하고 가는 방식이었다. 삼시세끼 밥도 제공해주었는데 밥시간이 되면 종이 울리고, 방에서 멍 때리며 쉬다 종소리를 들으면 밥을 먹으러 나가는 단순한 생활을 반복했다. 새벽 예불에도 참석할 수 있었는데 딱 한번 참석했다가 졸음을 참지 못하고 더 이상 가지 않았던 걸로 기억한다.  


우리가 묵었던 대성석가사의 전경(위)과 국제사원구역 내 대성석가사까지 가는 길(아래)


  룸비니에서 인도 바라나시로 함께 국경을 넘어갈 사람들이 더 모였다. 그렇게 새로 동행을 하기로 한 사람들과 가로등이 없어 밤이면 암흑 천지가 되는 대성석가사 주변을 걷곤 했는데 태어나 처음으로 여우 울음소리를 들었고, 포카라로 넘어가던 버스 밖에서 본 것처럼 많은 반딧불이들도 보았고, 또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땅바닥에서 튀어 오르는 메뚜기떼도 보았는데 벌레를 싫어하는 나에게 메뚜기들은 견디기 힘든 것 중 하나였다. 그래도 가장 힘든 것은 방 안의 모기들이었다. 절 측에서 모기장을 제공해주지만 대부분 오래되고 낡아서 구멍이 뚫리거나 찢겨 있었다.  없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나를 비롯해 같은 방을 쓰던 사람들은 밤새도록 모기의 공격을 받느라 제대로 잘 수가 없었다.  


마야데비 사원(위)과 한적한 국제사원구역(아래)


  대성석가사가 있는 룸비니 국제 사원구역 안에서는 각 국의 사원들과 부처의 탄생지인 마야데비 사원을 제외하고는 정말로 아무것도 없었다. 그런 고로 그곳에서는 할 것도 아무것도 없었다. 인도의 어느 도시에서도 할 일은 늘 없었지만 룸비니는 차원이 달랐다. 딱 한번 룸비니 시내에 다녀온 것 말고는 대부분의 시간을 사원구역 안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보냈다. 그리고 나는 그 아무것도 하지 않은 시간들을 정말로 좋아했었다.  


  한국에서의 시계는 빨리 돌아갔었다. 왕복 3시간 거리의 학교에 다녔고, 생활비와 여행 갈 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대외활동을 하느라 일주일이 7일인 것이 아쉽기만 한 바쁜 대학생이었다.  

 그런데 나는 사실 그런 바쁨을 즐기는 류의 인간이 아닌 것 같다. 열심히 살았지만 맞지 않은 옷을 입은 것 같다가 태어나 처음으로 아무것도 할 게 없는, 걱정할 것이라고는 모기와 메뚜기 밖에 없는 이곳에 오니 마음이 이상하리 만큼 편안해졌다.  

 콜카타에서 만난 일행 중 한 명은 이미 네팔에 다녀왔는데 룸비니에서 명상센터에 들어가 금언 수행을 했다고 했다. 그렇게까지 할 자신은 없었지만 룸비니는 할 것은 없어도 짧은 시간만 머무르기에는 아까운 도시였다. 하지만 14일짜리 네팔 비자를 받아온 터라 비자 기간이 끝나기 전에 인도로 돌아가야 했고, 우리는 인도 국경을 넘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