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zero Oct 21. 2021

빨리빨리? 여기는 천천천히

속도가 문제가 아니야

한국을 떠나온 지도 벌써 8년 차, 나름 이곳저곳 다양한 나라에서 살아봤기에 문화 차이는 내게 별로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우선은 너무 어려서 뭘 모를 때 한국을 떠났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 당시만 해도 한국의 지나친 비교문화와 경쟁문화에 진저리가 나서 나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거의 도외시하듯이 살려고 부단히 도 노력했었기 때문이다. 호주에서도 한국인 친구는커녕 한인 사회에 발을 들여놓으려 하지도 않아서, 시드니에서 거주할 방을 구하며 보러 다닐 때도 한국인이 한 명이라도 살고 있으면 그 집은 옵션에서 배제시켰다. 그러다가 한국인이 제일 없다고 판단되었던 시드니 뉴타운에 정착해서 유럽인 친구들과 살며 어울려 지내기 시작했고 지금 생각해보니 유럽에 정착하게 된 것도 다 그때의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은 것 같기도 하다.


아무튼, 나는 문화 차이? 별로 크게 못 느끼며 살았다고 생각한다, 아니, 했었다. 워낙에도 털털하고 화끈(?)하다는 얘길 많이 들을 만큼 외향적이고, 사람들 만나는 것 좋아하고, 처음엔 영어를 잘 못했어도 막무가내로 나가는 정신을 그때부터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어느 무리에도 잘 어울려 지냈었다. 호주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서 살 때도 이탈리아인 친구들을 여럿 사귀며 나는 영어를 가르쳐주고, 반대로 그 친구들은 내게 이탈리아어를 가르쳐주면서 오손도손 잘 지냈었다. 지금 글을 쓰며 돌이켜보니 어쩌면 적응하는 데에 바빠서 문화차이고 인종차별이고 뭐고 잘 못 느끼며 살았나, 싶기도 하다.


그 문화 차이를 나는 요새 이곳 네덜란드에서 직장생활을 하며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나는 한국의 비교 경쟁문화를 너무 싫어한다. 학교생활이던 사회생활이던, 특히 직장생활에서는 무조건 남들보다 더 잘, 더 빨리, 더 더 더 더! 끝이 없는 보이지 않는 경쟁에 학창 시절에 벌써 번아웃과 우울증을 앓기도 했다. 그런데 바로 이 점이 내 유전자 속에 깊숙이 박혀있으리라고는 정말 몰랐다.


대학생활을 하면서도 나는 내가 그다지 경쟁심이 있다고 느끼지 않았다. 유럽에서, 그것도 여유롭고 chill 하기로 유명한 네덜란드에서 공부를 하니 당연히 다른 애들에 비해선 내가 좀 빨리 성과를 내고, 과제를 제출하고, 공부를 좀 더 할 뿐이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같은 학년 친구들에게 듣기로는 나랑 같은 그룹이 되면 그 조별과제는 이미 성공한 거나 다름없다는 소문이 나도 모르게 돌고 있었다고 한다. 처음 이 얘길 들었을 땐 사실 좀 뿌듯했다. 짜식들, 이게 바로 한국인의 힘이다. 뭐든지 빨리빨리. 효과적으로. 알지? 그런데 지금 다시 생각하니, 이 빨리빨리 정신은 네덜란드 정서에 정말 안 맞는다.


이걸 어떻게 알게 되었느냐, 바로 네덜란드 직장생활에서 알게 됐다. 내가 속한 학사학위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4년 중 1년은 인턴쉽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나는 이 인턴쉽을 지난 9월부터 시작하여 네덜란드 기점의 다국적 기업에 취직하게 되었다. 인턴이긴 해도 나름 정해진 업무도 있고 단독 프로젝트도 진행하게 되어서 높은 퀄리티의 인턴쉽을 한다고 자부해왔는데, 나의 한국인으로서의 빨리빨리 유전자가 큰 장애물이 되었다.


"업무량도 좋지만, 우리는 그 업무의 질이 더 중요해."


첫 업무평가에서의 피드백이었다. 뒤통수를 얻어맞은 듯이 멍해졌다. 나는 이곳까지 와서는 한국에서 고등학교 시절 입시 공부하듯이 무조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내는 것으로 나의 가치를 증명하려고 했던 것이다. 물론 나를 관리하는 상사는 저것 말고도 내가 얼마나 문제 처리능력이 빠른지에 대해도 칭찬해줬지만, 나는 저 말을 절대 잊지 못할 거다. 천천히 가도 되니까, quantity 보다는 디테일과 quality에 집중하라는. 배울게 산더미다. 아, 나는 뼛속까지 한국인이구나. 




작가의 이전글 네덜란드에서 일자리 구하기 (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