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zero Nov 26. 2021

떠돌이에게 '집'의 의미 (1)

우리 엄만 내게 역마살이 꼈음이 분명하다 했다.

가장 처음 집을 떠난 것은 내가 한국 나이 17살, 그러니까 만 16살 때였다. 살던 도시의 외국어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데 학교가 내가 살던 동네에서 완전히 반대편에 위치해있어서 버스를 타면 한 시간이 이상이 걸리는 거리였기 때문에 기숙사에 살기 시작했다. 사실 나는 그다지 부유한 집안에서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뭔가 나만의 공간이 생긴다는 것에 들떴던 것 같다. 기숙사도 사실은 다른 한 명의 룸메이트와 공유했기 때문에 완전히 프라이빗하진 않았지만, 당시 우리 집엔 내 침대도 없었기 때문에 기숙사에서 주어진 개인 침대, 개인 책상, 개인 옷장 등등 다 내 거!라는 게 가장 신났던 것 같다.


그렇게 고등학교 시절 3년을 기숙사에서 지낸 뒤 입학한 대학교마저도 아예 다른 지역으로 가게 되면서 계속 기숙사 생활을 하게 됐다. 지금 생각해보면 복잡했던 가정환경에서 도망치고 싶다는 마음이 배경이 된 것 같다. 실제로 고등학교-대학교 때를 계기로 나는 영영 본가를 떠나는 삶을 살게 되었으니 말이다. 

고등학교 때와는 조금 달랐던 게 나 포함 4명이서 함께 써야 했던 기숙사는 좀 더 불편했지만 그래도 공동생활이라는 틀 안에 익숙해졌던 나는 무난하게 잘 지냈었다. 그러다가 현실에 맞서는 게 두려워 도망치듯 가게 된 호주에서도 나는 계속 한 방을 다른 사람과 나눠 쓰는 생활을 지속했다. 어렸을 때도 언니와 방을 함께 쓰는 게 당연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딱히 불만을 가진다거나 혼자 살고 싶어 죽겠다, 싶진 않았던 것 같다.  


(출처 | 워너브라더스)

호주를 떠나온 이후에는 다시 본가로 잠시 돌아와 살았을 때는 방이랄 것도 없는, 이제는 옷방으로 바뀌어버린 작은방에서 이불을 깔고 자며 생활했었다. 장난 반 진담 반으로 나는 벽장 안에 사는 해리포터 같은 삶을 산다고 말했었던 기억이 나는데, 약간 자조적인 농담이 섞여있었던 걸로 볼 수 있겠다. 옷 방안에 일자로 주욱 누우면 공간이 꽉 차는 곳에서 숨이 막히는 기분을 느끼며 아, 나는 이곳에서 더 이상 살 수 없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나는 이탈리아로 떠났다. 무작정 떠난 것도 아니고 무려 6개월 동안 매일 아침 대전-서울을 오가며 이탈리아 어학원에서 이탈리어도 단기간 속성으로 배웠다. 그리고 저녁엔 영어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며 돈을 모았다. 지금 다시 그대로 해보라고 하면 절대 못할 것 같지만 그 당시에는 어디에 홀린 듯이 했었던 것 같다. 왜 하필 이탈리아였냐고 묻는다면, 그 당시에 믿었던 사랑을 좇아가는 어리석음 때문이었다고 대답할 수밖에 없겠다. 


이탈리아 살 당시 집의 마당. 이웃이 닭들을 키워서 울음소리에 고생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조금 더 호화스러운 삶을 살았다. 2층 집에 방이 하나, 거실이 두 개인 좀 이상스러운 구조의 집이었는데 리모델링을 깔끔하게 해서 냉방, 난방이 잘 되고 물도 잘 나오는 아주 좋은 집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집이 아니라 그곳에서의 내 삶이 행복하지 않았다. 사랑을 쫓아왔지만 내 개인의 발전성이나 다른 사람들을 만날 기회, 심지어 인프라마저도 전혀 없는 곳에서 외로움과 우울감에 고통받다가 결국엔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그렇게 이번엔 네덜란드로 왔다. 이번엔 더 철저하게 계획을 세웠고, 부모님의 기나긴 질책과 훈계가 담긴 잔소리 아닌 잔소리를 겪으며 이번엔 결코 쉽게 돌아오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마음가짐부터 그 전과는 매우 달랐다. 우선 한국에 있는 게 너무너무 답답했고 계속 해외로 나가고 싶다는 열망이 강렬했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더라도 꼭 나가고 싶었다. 그리고 가장 더 중요한 것은, 본가에서도 나는 내가 '집'에있다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질 못했다. 마치 불청객 같은 기분. 





작가의 이전글 네덜란드에서 영업사원으로 살아남기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