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희철 Aug 30. 2018

문수산성

경향신문 <윤희철의 건축스케치> 2018.8.30일자

임진강과 한강이 합류하여 서해로 빠져나가는 길목인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에는 개량 한옥으로 지어진 처의 본가가 있다. 그 집 대문 앞에서 우측으로 고개를 들면 철책선 너머로 북한땅이 바라다 보인다. 지금은 조용하지만 과거 대북확성기를 틀 때면 밤새 시끄러운 대북방송이 이 마을의 밤 풍경을 대변해 주었던 곳이다. 

 이 집의 대청마루에는 처가댁 어른들이 신주 모시듯이 고이 모시는 액자가 하나 걸려 있다. 그 액자에는 처의 선조 할아버지가 고종황제로부터 ‘절충장군 겸 중추부사 겸 오위장’에 임명한다는 교지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군인으로서 매우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셨다는 증표여서 처가에서는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는 유산이다. 군인으로서 높은 벼슬까지 하시려면 젊어서부터 오랜 군 생활을 해 오셨을 것으로 추측된다. 할아버지 나이 30세 때 병인양요(1866)가 일어났고 프랑스군과 격전이 벌어졌던 문수산성이 집에서 직선거리로 5km 밖에 안 떨어져 있으니 분명 이 할아버지는 군인으로서 이 전장에 계셨을 것으로 처가에서는 믿고 있다. 그래서 처가식구들에게 있어서 문수산성은 성지와 같은 곳이 되었다.  

 문수산성은 김포시에서 가장 높은 문수산(376m)을 둘러싼 산성으로 조선시대 숙종 때 축성되었다. 이 산성은 염하강 건너 강화도의 갑곶진과 더불어 강화 입구를 지키는 요새였다. 병인양요 때 우수한 무기로 무장한 프랑스군은 강화도와 전략적 요충지인 문수산성을 점령하게 된다. 이후 양헌수가 이끄는 조선군이 프랑스 군 몰래 강화도의 정족산성을 점거하고 진을 친 다음 공격해 오는 프랑스 군을 격퇴하게 된다. 이 싸움에서 패한 프랑스군은 결국 강화도에서 철수하게 되는데 패전의 분풀이로 문수산성의 남문을 비롯한 부속건물들을 모두 불태워 버렸다.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던 문수산성은 1993년부터 최근까지 이어진 복원사업에 따라 북문과 남문 그리고 정상의 장대를 비롯한 성곽의 일부가 복원되었다.   

 

 지난 무덥던 날 처와 함께 장인어른 내외를 모시고 김포 집에서 출발하여 문수산성을 찾았다. 큰 길 가까이 있는 남문을 지나 염하강변의 좁은 도로를 따라 2km 가량 더 가면 북문이 눈에 들어온다. 경사가 급한 돌계단을 잠시 오르니 문루 지붕이 만들어 주는 시원한 그늘이 우리를 맞이한다. 앞쪽의 염하강은 밀물이 되었는지 세찬 물줄기가 밀려 올라오고 있다. 염하강 물줄기가 맞닿는 한강 하구 저 너머로 나지막한 산들이 겹겹이 쌓여진 북한의 원경이 바라다 보인다. 잠시 쉬는 사이 장인어른의 표정이 묵직하시다. 이곳에서 프랑스군과 접전을 벌이셨을 선조 할아버지의 힘찬 기개를 느껴보시려는 듯. 

매거진의 이전글 덕포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