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미국 소식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트온 Nov 21. 2020

한국 정부가 미국 할머니를 감동시킨  사연

뉴욕 타임스 11월 20일 자 기사 번역

오래전 1960년대에 한국, 춘천에서 미 평화 봉사단 자원봉사자로 영어를 가르쳤던, 현재 75세의 뉴욕에 사는 할머니, 샌드라 네이썬 씨에게 한국 정부가 '코비드 19 서바이블 상자'를 보내 할머니를 감동시킨 사연을 소개하는 뉴욕 타임스 인터뷰 기사입니다. 함께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기사라고 생각되어 번역해 보았습니다.


https://www.nytimes.com/2020/11/20/world/asia/korea-coronavirus-care-package-peace-corps.html



She Helped South Korea in Its Time of Need. In the Pandemic, It Repaid Her.

그녀는 어려운 시기의 한국을 도왔다. 팬데믹 상황에서 (미국이 어려울 때) 한국은 그녀에게 보은 했다.


Decades ago, a young American woman served an impoverished South Korea as a Peace Corps volunteer. 

수 십 년 전, 한 젊은 미국인 여성이 미 평화 봉사단의 일원으로 가난을 겪고 있던 한국을 위해 봉사했다.


Now the country is an economic powerhouse, and it decided to send her a token of its gratitude.

그 나라, 한국은 현재 '경제 강국'이 되었고, 그 나라는 (어려울 때 자신들을 도왔던) 그녀에게 감사의 표시를 보내기로 했다.



샌드라 네이썬 씨가 1960년대 미 평화 봉사단 자원봉사자로서 한국에서 수업을 가르치는 장면 (Sandra Nathan 씨가 뉴욕 타임스에 제공한 사진)



By Choe Sang-Hun Nov. 20, 2020


SEOUL, South Korea — Sandra Nathan spent 1966 to 1968 in a South Korean town as a young Peace Corps volunteer, teaching English to high school girls. 

샌드라 네이썬 씨는 1966년부터 1968년까지 미 평화 봉사단의 젊은 자원봉사자로서 한국의 한 마을 고등학교 여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Fifty-two years later, Ms. Nathan, now back in the United States, received a care package from South Korea that nearly brought her to tears.

그녀는 52년이 흐른 후 지금, 미국에서 한국 정부로부터 (코비드) 케어 패키지를 받고 큰 감동을 받았다.


Ms. Nathan, 75, had been feeling increasingly isolated at home in Stephentown, N.Y. 

현재 75세인 그녀는 뉴욕주 스티븐 타운의 집에서 점점 심해지는 고립감에 고통받고 있던 중이었다.


Reports about the exploding number of Covid-19 cases in the United States had made her anxious about going outside, where experts warned of second and third waves of infection.

미국에 확진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뉴스 기사들은, 2차 3차 감염 주의보를 알리며 점점 그녀로 하여금 외출을 두려워하게 만들었다. 


Then, early this month, she received a packaged labeled “Covid-19 Survival Box.”

그러던 차에, 이달 초, 그녀는 ‘코비드-19 서바이블 상자’라 이름 붙은 패키지를 하나 받았다.


 It was a gift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at contained 100 masks and other items “as a token of our gratitude for your dedication to Korea.”

그것은 한국 정부가 그녀에게 보낸 선물로 100장의 마스크와 함께 한국에 기여한 그녀의 공로에 대한 감사 표시들이 들어 있었다.


“It was as if this box had been traveling to me since 1968,” said Ms. Nathan, a retired civil rights and labor lawyer. 

"마치 이 박스는 1968년에 여행을 시작해  지금 나에게 도착한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라고 은퇴한 민권 및 노동 변호사인 그녀가 말했다.


“There was something magical about the box. Some people, Korean people, very far away wanted to make sure that I was OK; that I had what I needed to fight a bad disease. They behaved as though they cared and were responsible for me.”

"이 박스는 뭔가 마법 같은 데가 있어요. 어떤 사람들이, 저 멀리 사는 한국 사람들이 내가 괜찮기를 바란다는 거잖아요: 그게 바로 내가 이 끔찍한 전염병과 맞서 싸우는데 정말 필요했던 것이었거든요. 그들은 나를 돌보고 책임지는 사람들처럼 행동했어요.”


Decades ago, South Koreans felt similarly toward Ms. Nathan and 2,000 other Peace Corps volunteers

수십 년 전, 한국 사람들은 네이썬 씨와, 2000명의 다른 미 평화 봉사단원들에 대해 그렇게 느꼈었다.



When the young Americans served as teachers and health care workers between 1966 and 1981, South Korea was a third-world country stricken by disease , a dictatorship, poverty and destruction left by the Korean War.

1966년부터 1981년까지 젊은 미국인들이 교사와 보건 직원으로 일하며 한국을 도왔을 당시 한국은 질병과 독재, 가난과, 한국전쟁이 남긴 파괴로 고통받는 제3세계였다.



South Korea is now one of the richest countries in the world, and its respons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been held up as an example for other nations, even as it deals with a small uptick in cases. 

지금 한국은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로 손꼽히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이 나라의 대처는 - 이런저런 작은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 타의 모범이 될 정도로 칭송받은 바 있다. 


In October, to pay back some of its debt, the government-run Korea Foundation said it was sending its Covid-19 Survival Box es to 514 former Peace Corps volunteers.

지난 10월, 이 나라는 어려운 시절 나라를 도왔던 사람들에게 보은 하는 의미로, 한국 정부가 운영하는 한국 국제 교류 재단을 통해 코비드 19 서바이블 박스를 514명의 전 미 평화 봉사단 자원봉사자들에게 보냈다.


“Thanks in no small part to the help received from the Peace Corps,” the Korea Foundation’s president, Lee Geun, said in a letter in the box , “Korea has since achieved an economic breakthrough.”


박스 안에는 “Peace Corps로부터 받았던 도움에 조금이나마 감사를 전하고자 합니다. (당신들의 도움을 받은) 이후 한국은 경제적 어려움을 이기고 성장했습니다.” 한국 국제 교류 재단 이사장 이근 씨의 편지가 동봉되어 있다. 



Ms. Nathan joined the Peace Corps after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of Chicago. 

네이썬 씨는 시카고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미 평화 봉사단에 합류했었다.


She was among the first volunteers to arrive in South Korea and was assigned to Chunchon, in the north, where she taught English at a local high school. She was 21.

그녀는 한국에 도착했던 최초의 자원봉사자들 증 한 명이었으며, 그녀에게 임무가 배당된 곳은 남한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 '춘천'이라는 도시였다. 그녀는 그곳 한 지역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그때 그녀의 나이는 21세였다.



The country around Chunchon was beautiful. 

춘천은 아름다운 시골지역이었다.


Its pine trees were graceful, and azaleas covered its hills in spring. 

소나무들이 우아했으며, 봄이 되면 진달래가 동산들을 뒤덮곤 했었다.


But most of the streets were dirt roads. 

하지만 대부분의 길은 비포장 도로였다.


Children went outside without shoes. 

신발을 신지 않은 아이들이 밖으로 나와 돌아다녔다.


After dark, Ms. Nathan could hear rats running across ceilings. 

땅거미가 내려앉고 나면, 네이썬 씨는 천장 위로 쥐가 지나다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Plumbing was generally nonexistent.

대부분 수도시설이 되어 있지 않던 시절이었다.


“An ongoing debate among volunteers was whether Time or Newsweek was more absorbent,” Ms. Nathan said in an email interview. 

이메일 인터뷰에서 네이썬 씨는 “자원봉사자들 사이에 화장실 휴지로 타임지가 낫냐 뉴스위크가 낫냐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곤 했어요.”라고 말했다.


“Toilet paper was unavailable.”

화장실 휴지가 따로 없었거든요.


Both magazines came with pages blacked out by government censors. 

타임지와 뉴스위크, 둘 다 정부 검열을 통과하고 들어오던 시대였던 만큼, 검은 칠이 칠해진 페이지가 들어 있곤 했다.


Crude anti-communist propaganda was everywhere. 

조잡한 반공 선전이 난무하던 시절이었다.


During her stay in South Korea, North Korea captured a U.S. Navy ship, the Pueblo, off its coast and sent armed commandos across the border to attack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palace.

그녀가 한국에서 지내는 동안, 북한이 미국 해군 선박 한 척을 납치하고, 한국 대통령 사저를 공격하기 위해 무장 공비들을 남파한 적도 있었다.* 


*청와대를 기습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친 1.21 사태 이틀 후인 1968년 1월 23일 북한 원산 앞 공해 상에서 해양 조사선으로 위장한 미군의 정찰함 푸에블로호가 나포되었다. 82명의 미 해군 승무원들이 11개월이나 붙잡혀 있다가 풀려난 사건이었다.


On winter mornings, Ms. Nathan broke the ice in a plastic container in order to wash. 

겨울 아침 아침마다, 네이썬 씨는 씻기 위해 세숫대야에 얼어붙은 얼음을 깨야했다.


Her school was a sad and drafty place where classrooms were heated by a single charcoal stove.

그녀가 근무했던 학교는 한 교실에 난로가 한 대 밖에 없는 열악한 환경이었다.


*drafty : (of an enclosed space) cold and uncomfortable because of currents of cool air.

"anyone would get pneumonia living in the drafty old house"


“I began to feel uncomfortably cold so that when I was not teaching, I regularly followed the circling sun as it flooded through the windows around the school building,” she said. “

“추위를 견디기가 힘들어, 저는 수업이 없을 때는 학교 건물 주변 창문들을 통해 들어오는 햇볕이 있는 자리를 따라다니곤 했었어요”


"Even when it was very cold, students did not wear coats to school or to morning assemblies, and probably no one had a coat.”

심하게 추운 날에도, 학생들은 학교에도 아침 조회 시간에도 코트를 입고 오지 않았어요. 아마도 아무도 코트가 없었던 것이겠죠.


But Ms. Nathan developed strong emotional ties with her students, who were eager to learn English.

하지만, (어려운 근무 상황에도 불구하고) 네이썬 씨는 영어를 열심히 배우려는 학생들과 강한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하였다.


 She once took a poor and sickly girl to an American military doctor for treatment for intestinal parasites, a common problem in Korea back then. 

한 번은 그녀는 가난하고 병약한 소녀를 회충 - 당시 한국에서 흔한 문제였다 -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미군 의사에게로 데려갔다.



The girl’s mother later arrived at the school and presented Ms. Nathan with several warm eggs, soft gray feathers still attached. 

학생의 어머니는 나중에 학교에 도착하여 네이썬 씨에게 감사의 표시로, 아직 닭털이 붙어 있는 따뜻한 달걀 몇 알을 주고 갔다. 



“The eggs, which I am sure my student and her mother themselves needed, expressed such gratitude that I was close to tears,” she said.

“그 달걀들은, 제 생각에 그 학생과 부모 자신들이 하루를 사는데 꼭 필요한 식량이었을 거예요. 그렇게 (귀한 것을 주며) 감사 표시를 했던 거죠. 저는 그 선물을 받고 울 뻔했어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The irony of the reversal of fortunes during the pandemic did not escape her.

팬데믹 상황 동안 운이 역행하는 반전의 아이러니는 그녀를 피해 가지 않았다.


South Korea continues to keep the coronavirus largely under control, thanks in part to its aggressive contact tracing. 

한국은 공격적인 역학 조사 같은 훌륭한 대처 시스템 덕분에 코로나바이러스를 잘 통제해 나가고 있다.


Although it has recently faced a small rise in infections, it is nothing compared to what is happening in the United States, where Gov. Andrew M. Cuomo of New York has announced harsh new restrictions in Ms. Nathan’s home state.

최근 확진자수에 약간의 증가가 있었긴 했지만, 미국, 네이썬 씨의 집이 있는 뉴욕 -뉴욕 주지사 쿠오모가 새로이 강력한 제한 조치들을 발표한 - 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In August, she received the offer from the Korean Foundation to send her the gift box. 

지난 8월, 그녀는 한국 국제 교류 재단으로부터 그녀에게 선물을 보내도 되겠느냐는 제안을 받았었다.


She accepted, wondering if it was merely a public relations stunt for the Korean government.

그녀는 그것이 단순히 한국 정부가 벌이는 홍보성 이벤트인가 반신반의하는 마음으로 그 제안을 수락했다.


“I did not think much about it until the box arrived on Saturday, November 7, ironically the day that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was called for Joe Biden,” she wrote.

“지난 11월 7일 - 공교롭게도 조 바이든이 대통령으로 부름 받은 날 말이죠! - 토요일에 그 상자가 도착할 때까지 별 기대가 없었어요.”라고 그녀는 썼다.



Ms. Nathan said she delayed opening the package for about a week because she wanted to preserve the wonderful feeling that it gave her.

네이썬 씨는 그 상자가 그녀에게 주는 감격스러운 느낌을 더 오래 누리기 위해 일주일 정도 패키지를 개봉하지 않고 미루고 있었다고 말했다.


In addition to the masks, the box also included gloves, skin-care products, ginseng candies, a silk fan and two sets of silver chopsticks and spoons with the traditional Korean turtle design.

마스크와 함께, 그 박스 안에는 장갑과, 스킨-케어 제품들, 인삼 캔디, 실크 부채, 그리고 한국 전통 거북이 문양이 새겨진 두 벌의 은수저가 들어 있었다. 


“I am a practical person, not usually given to ideas unfounded by fact,” wrote Ms. Nathan. “But there was definitely something magical about the box.”

“저는 실용주의자라,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생각들에 마음을 주지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 박스엔 분명 마법 같은 무언가가 있었어요.”라고 네이썬 씨는 (이메일 인터뷰를) 썼다.




   





매거진의 이전글 김치 먹는 미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