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토리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토리 Sep 01. 2022

'캐롤' 작가의 탄탈로스적 사랑 이야기

[SIWFF데일리] <러빙 하이스미스> 리뷰

* 이 글은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한 리뷰입니다.

* 스포일러가 있으니 관람하지 않으신 분은 읽으실 때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영화리뷰


[포스터]

[감독] 에바 비티야-샤이데거

[출연]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그의 연인, 가족, 지인들

[시놉시스] 유명한 스릴러 작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사적인 기록들과 가족, 연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만든 다큐멘터리. 사랑을 테마로 '정체성'이라는 것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하이스미스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본다. (2022년 제2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우리는 누구나 사랑을 갈망한다. 사랑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이 있겠지만, 그 중 대다수의 사람들이 가장 처음 맞이하는 사랑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부모의 사랑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적인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려운데, 어떤 사람들은 처음부터 이러한 사랑이 결핍된 채 인생을 시작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캐롤>, <리플리> 등 유명한 작품을 집필한 작가이자, <러빙 하이스미스>라는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인 '퍼트리샤 하이스미스'는 애석하게도 후자에 해당했다.


***

And here is my diary, contain the body. 
여기, 본체를 포함한 내 다이어리가 있다.


영화는 하이스미스의 수십 편에 달하는 일기와 그의 생전을 알던 사람들과 영상 기록으로 남은 작가 본인의 인터뷰로 구성된다. 그것들을 통해 우리는 그의 유년시절에서부터 말년까지를 살펴 볼 수 있다.


그의 삶은 분명 화려했으나 공허했다. 하이스미스는 생전에 그토록 많은 히트작을 집필하였고, 숱한 여성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인기인이었지만 그럼에도 그에게는 가장 중요한 것을 가지지 못했는데, 그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모의 사랑이었다. 그의 부모가 그를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사랑받고자 노력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하이스미스는 매번 심술궂고 모진 말을 일삼는 어머니를 위해 소위 '결혼할 수 있는 몸'이 되고자 그토록 노력하고, 어머니가 멋대로 짝지어준 남자친구를 사귀고자 안간힘을 썼다. 공들여 집필한 두 편의 작품을 제 어머니에게 헌정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보수적인 텍사스(미국 남부의 한 지역) 사람이었던 그의 어머니의 태도는 좀처럼 변하지 않았다. 그 시절 하이스미스의 일기를 보면, 그가 어머니의 관계에서 얼마나 환멸을 느꼈는지, 그리고 그 오랜 시간 동안 얼마나 상처 받아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무슨 죄를 지었는지 궁금하다’


어머니에게 하이스미스는 언제까지나 못미덥고 별난 자식이었고, 하이스미스는 그로 인해 사랑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어머니가 멋대로, 가명을 써서 발간했던 <캐롤>의 작가가 다름아닌 퍼트리샤 하이스미스라고 발설하며 그의 자식을 '커밍아웃'하게 되면서 완전히 단절되었다.


하이스미스가 별난 사람인 것은 맞았다. 그는 아직 동성애가 범죄이던 시절에 레즈비언으로 살았다. 그는 많은 밤을 비밀스럽게 감추어진 레즈비안 바에서 보냈고, 숱한 여인들과 어울렸다. 많은 여인을 사귀었고, 그들과 즐거운 식단을 보냈다. 그러나 그들이 그의 결핍을 모두 채워주지는 못한 것 같다. 연애는 언제나 짧게 끝이 났다.


그는 미국의 뉴욕과 펜실베니아,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를 전전하며 지냈다. 하이스미스는  그 숱한 곳들을 여행하면서 대단한 영감을 얻었으나, 결코 어느곳에서도 뿌리내리지 못했다. 그 어떤 사람과 장소에도 말이다. 인간으로서나 작가로서나 그는 대단히 매력적인 사람이었건만 그의 내면은 공허했다. 말년에 접어들었을 때, 그는 여전히 위대한 작가였지만 그의 곁에는 고양이만이 남았고, 그는 세상의 많은 것을 증오했다. 가령 유대인, 흑인, 아랍인 같은 또다른 약자 혹은 이방인들을 말이다. 그가 일평생 소수자로서 고통받아 온 것을 생각했을 때, 이것은 대단한 아이러니였다. 그는 점점 황폐해져 갔다. 그는 자신의 삶을 '실수의 연대기'였노라고 회고하곤 했다. 그가 발간된지 40년이 지난 <캐롤>을 실명으로 재발간한 것은, 그간 자신이 감추어 온 제 본 모습을 당당하게 드러내고자 했던 시도는 아니었을까?


하이스미스는 자신이 살지 못한 삶을 글로써 표현해낸 위대한 작가였다. 모두가 그를 사랑했다. 단 한 사람, 그의 어머니를 제외하고. 어머니가 그를 사랑하지 않았으므로 어쩌면 그는 그 자신을 사랑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그는 몽상의 세계를 살았고, 제 소설 속의 '남자 주인공들'처럼 당당한 삶의 주체가 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부모와 시대는 그의 본모습을 아끼지 않았고 퍼트리샤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숨기고, 새로운 사랑을 갈망하며 살아갔으리라. 마치 끝없이 굶주림과 목마름에 시달리는 탄탈로스처럼.


나는 이 영화에서 한 사람의 인생을 엿보았다. 그것은 아주 내밀한 이야기였다. 그가 이 시대를 살아갔다면 그는 덜 괴로웠을까? 그의 위대함이 좀 더 빛을 발할 수 있었을까? 나는 진실로 그러하기를 바라지만, 아직 세상은 여전히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는 방법에 익숙해지지 않았고, 그러므로 나는 이러한 막연한 추측조차 담보하기 어렵다. 그러나 나는 다만 희망한다. 세상의 많은 하이스미스들이 그 자신으로서 설 수 있는 어느 시대를. 더 이상 탄탈로스가 되지 않아도 되는 그런 시대를 말이다.




'러빙 하이스미스', 22.08.28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08/25(목) - 09/01(목)

매거진의 이전글 '아'들의 조우, 사랑, 일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