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토리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토리 Sep 01. 2022

파스타샤 강변에 사는 아이들

[SIWFF데일리] <워터 오브 파스타샤> 리뷰

* 이 글은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한 리뷰입니다.

* 스포일러가 있으니 관람하지 않으신 분은 읽으실 때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영화리뷰


[포스터]

[감독] 이네스 알베스

[출연] 에콰도르와 페루의 국경지대인 파스타사강 변에서 살아가는 아추아 부족 아이들

[시놉시스] 아마존 우림에서 아이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간다. 파스타사강 줄기와 나무 꼭대기를 오가며 생활하는 그들은 협동하며 자율적인 일상을 이어간다. 


***


누군가의 삶을 엿본다는 것은 참으로 묘한 일이다. 다큐멘터리 같은 것을 볼 때면 나는 내 안의 관음증적인 욕망이 해갈되는 것을 느끼곤 한다. 다른 사람의 삶 그 자체를 살핀다는 것은 내가 미처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것과 다름 없기 때문이다. 파스타샤 강 유역에 사는 <워터 오브 파스타샤>의 주인공들의 이야기는 동북아시아의 도시인들이 감히 상상하지 못하는 종류의 삶을 산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를 통해 새로운 종류의 영감, 감회, 혹은 사색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자, 이제 아마존의 열대우림으로 떠나보자. 에콰도르와 페루의 어느 국경지대, 강과 숲을 벗하며 살아가는 아추아 부족의 아이들을 만나러.


***




우리는 열대우림에 있다. 거대한 파스타샤 강이 있고 그 옆에는 무성한 숲이 있다. 그 숲에는 많은 식물과 곤충, 날짐승과 들짐승이 있으며, 그 사이로는 한 무리의 아이들이 지난다. 그들은 서슴없이 나무를 올라 열매를 따고, 겁도 없이 거대한 칼을 휘둘러 그것을 깨먹는다. 어른의 도움도 없이 그릇을 빚고, 예쁜 목걸이를 만들고, 빨래를 하고 저녁을 짓는다. 그들의 부모가 너무 바쁜 까닭에 이 아이들은 저희들끼리, 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삶의 양식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부모가 없는 것도 아닌데, 카메라는 고집스럽게 그들만을 조명한 것은 이러한 낯선 곳에서 허물없이 자라나는 아이들을 담아내고자 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도시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아이들이 쉴 새 없이 가사노동에 시달리고, 그 열악하기 짝이 없는 지저분한 옷과 진흙 위를 뒹굴고 있는 것은 어쩌면 아동 학대처럼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그 거대한 정글칼을 겁도 없이 휘두르는 아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저러다 다치면 어쩌나' 싶어 공연히 보는 나의 간담이 다 서늘해진다. 그러나 우선은, 그러한 우려와 편견을 잠시 미루어 두자. 판단은 나중에 해도 늦지 않다.


거대한 숲은 아이들의 일터이기도 하지만 거대한 놀이터이기도 하다. 개구리와 풀벌레는 울고, 나무덩쿨과 개울은 각각 그네와 수영장이 되어 그들을 맞이한다. 바나나 잎은 근사한 치마가 되고, 나무 열매는 팽이가 되는 세상. 강과 숲은 아이들에게 그러한 세상이기도 하다.


아이들은 때가 되면 배를 타고 학교로 향한다. 숲의 한복판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그것에서부터 흘러나온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는 아이들은 결코 문명에서 아주 동떨어진 이들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들 착각하는 완전한 타인이 아니라는 소리다. 수십 명의 아이들이 노트북 화면에 출력된 영미 영화를 본다. 각자의 교과서를 들여다보며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들도 있다. 시간이 남으면 빗줄기를 뚫고서라도 공을 차고 논다. 그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치열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파스타샤 강변을 감히 원더랜드라고 칭하지는 않겠다. 이것은 그들의 삶을 단순히 낭만적으로 미화하고 그들의 노동의 가치를 폄훼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고통스럽고 '미개한' 삶을 살고 있노라 비하하지도 않겠다. 그런 오만함을 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나는 다만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지구 반대편에는 어떤 삶이 있는지 엿보았다. 그 어린 아이들의 세곱절은 살았는데도, 나로서는 감히 상상하지 못할 삶이었다.(우리의 삶의 터전이 다른 것에 기인한 것이다.)


나는 에리카, 눈크이, 지저스, 누피르, 위마스, 나이암, 로살리나, 베르톨메오, 라몬, 치아스, 차님, 슈와, 파멜라, 와인치, 니샤, 야지, 야기, 파트리샤, 사라, 셰리, 페인트, 그리고 그밖에 차마 내가 기록하지 못한 아이들에게 갈채를 보내고 싶다. 그들은 너무나 충실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그것을 긍정하면서. 어떤 고난이 닥치더라도 그것을 견뎌내면서. 그것이 삶이기 때문에. 나 또한 삶을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그들의 삶을 엿본 것은 대단히 기쁜 일이었다.


아직 파스타샤의 아이들을 만나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그들을 만나러 가보는 것은 어떨까?

아마존에서의 삶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워터 오브 파스타샤', 22.08.30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08/25(목) - 09/01(목)





매거진의 이전글 '캐롤' 작가의 탄탈로스적 사랑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